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함께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와 <언어와 매체>는 이전까지의 역대 교육과정과 달리 국어사가 ‘현재’의 국어에까지 미치는 ‘변화’에 주목하며 ‘역사성’을 함께 논하였다. 국어사 교육을 통하여 현재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것을 요구하며, 국어사 교육의 현재적 의의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세국어와 현대국어로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언어 변화에 단절이 생긴다는 점은 문제적이다. 교과서의 경우,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국어와의 비교 의식을 강조하는 서술 및 활동 구성이 전반적으로 부각되었다.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는 이전 성취기준에서보다 강조된 ‘자료’의 활용과 관련하여 변화된 면모를 찾기 어려웠다.
국어사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적 요구에 부응하고 교과서에 나타난 한계점을 보완하며 국어사 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석적 관점의 ‘탐구’가 추구되어야 한다. 교육과정 설계 시부터 탐구를 염두에 두어 성취기준이 구성되어야 한다. 교과서에서는 언어 변화를 추적하여 가는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반영하는 단계적 구성의 학습활동은 물론, 교과서의 서술 텍스트와 자료 텍스트에서도 탐구에 적절한 내용 요소 선택 및 구성을 모색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ontrast to previous Korean language history curricula, the 2015 Revised National Ccurriculum’s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nd the Media” section, addresses the Korean language’s history. It notes changes which, over time, have led...
In contrast to previous Korean language history curricula, the 2015 Revised National Ccurriculum’s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nd the Media” section, addresses the Korean language’s history. It notes changes which, over time, have led to the language’s current iteration. However, limit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to Middle and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s problematic. That is, this narrow focus overlooks significant language changes. In terms of textbook review, the descriptions and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highlighted the comparative description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In “Language and the Media”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find changes regarding the data use emphasized in achievement criteria.
It is important to pursue avenues leading toward inquiry from an interpretative perspective. Doing so will help to 1) meet Korean-language history’s current educational needs; 2) supplement textbooks’ limitations; and 3) develop future Korean-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curriculum design, achievement criteria will need to be established with the goal of fostering student inquiries. Textbooks should seek to select and organize appropriate content elements for student exploration via descriptive texts and material tex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소영,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텍스트 구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65-689, 2018
2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22) : 325-354, 2005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4 조진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의 구인 탐색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57) : 37-67, 2017
5 최초희, "탐구학습을 위한 국어사 내용의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억조, "초·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07-128, 2018
7 김억조, "초·중등 국어 ‘문법’ 영역 성취기준의 용어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6) : 41-66, 2017
8 김유범, "중세국어 교육 내용의 선정" 국어사학회 (16) : 63-96, 2013
9 김은주, "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위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정신의 변화를 안고 흐른 국어의 역사" 제이앤씨 2012
1 최소영,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텍스트 구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65-689, 2018
2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22) : 325-354, 2005
3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4 조진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의 구인 탐색 -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57) : 37-67, 2017
5 최초희, "탐구학습을 위한 국어사 내용의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억조, "초·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07-128, 2018
7 김억조, "초·중등 국어 ‘문법’ 영역 성취기준의 용어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6) : 41-66, 2017
8 김유범, "중세국어 교육 내용의 선정" 국어사학회 (16) : 63-96, 2013
9 김은주, "중등 국어과 학습자를 위한 범시적 문법 교육 내용 구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정신의 변화를 안고 흐른 국어의 역사" 제이앤씨 2012
11 이관규, "언어와 매체" 비상교육 2019
12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13 이삼형, "언어와 매체" 지학사 2019
14 방민호,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5 민현식,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2019
16 Keller, R., "언어변화" 서광학술자료사 1990
17 김광해, "어휘 현상과 교육" 박이정 2008
18 이승희, "어문 규범 교육과 연계한 국어사 교육 연구고등학교 ‘국어 II’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9 (49): 71-93, 2015
19 안주호, "성취 기준을 통해 본 2011 개정 교육과정기의 ‘문법’ 영역의 특징" 국제언어문학회 (26) : 227-253, 2012
20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1-34, 2012
21 김슬기, "문법 탐구에서의 문제발견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2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3 김은성, "문법 교육에서 창의 · 인성의 방향과 내용" 한국어교육학회 (140) : 73-107, 2013
24 강지영, "귀추적 관점의 국어사 탐구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5 장윤희, "국어생활사의 관점에서 본 문학 작품의 가치" 국어국문학회 141 : 107-132, 2005
26 장윤희, "국어생활사 교육의 성격과 목표"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287-311, 2009
27 구본관, "국어생활사 교육 내용" 한국문법교육학회 10 : 1-48, 2009
28 이동석, "국어사에서의 기술 문법과 학교 문법-<독서와 문법 Ⅱ>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9) : 283-329, 2014
29 허재영, "국어사 교육의 변천과 발전 방향 -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선정을 중심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7 : 263-293, 2016
30 김도혁, "국어사 교육 내용과 제재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31 이기문,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1998
32 이성영, "국어과 제재 텍스트의 요건" 국어교육학회 (48) : 65-94, 2013
33 이도영,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국어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7 (27): 303-326, 1999
34 김은성, "국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 처리의 문제" 국어교육학회 (33) : 333-365, 2008
35 이성영, "국어 교과서를 구성하는 텍스트들의 유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2) : 283-305, 2006
36 이삼형, "국어" 지학사 2018
37 고형진, "국어" 동아출판 2018
38 이성영, "국어" 천재교육 2018
39 류수열, "국어" 금성출판사 2018
40 민현식, "국어" 신사고 2018
41 박안수, "국어" 비상교육 2018
42 박영목, "국어" 천재교육 2018
43 박영민, "국어" 비상교육 2018
44 최원식, "국어" 창비 2018
45 정민, "국어" 해냄에듀 2018
46 신유식, "국어" 미래엔 2018
47 조진수, "교육적 인식론 관점의 국어사 교재 구성 원리 탐색 -하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78 : 81-110, 2018
48 구본관, "교육 내용으로서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1) : 77-127, 2008
49 양영희, "고등학교 국어사 교육의 방향 설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05-620, 2018
50 이규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국어사 교육 내용과 자료 분석" 한말연구학회 (51) : 161-184, 2019
51 이승희,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국어사 단원 내용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38) : 147-168, 2012
52 황선엽, "고대국어에 관한 국어사 교육" 국어사학회 (16) : 35-61, 2013
53 남가영, "文法 探究 過程에 대한 語彙計量的 接近 -高等學校 文法 敎科書의 漢字 學術語彙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359-380, 2009
54 양영희, "『국어Ⅱ』의 국어사 단원 분석 및 제언" 한국언어문학회 (91) : 389-410, 2014
55 양영희,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국어교육학회 51 (51): 155-179, 2016
56 이관희, "‘언어의 특성’의 문법교육 내용화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41) : 31-65, 2013
57 Bybee, J., "Languag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58 Traugott, E., "Gradience, Gradualness and Grammaticalization" Benjamins 2010
59 양정호,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국어사 지식 및자료 텍스트에 대한 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8 : 145-165, 2015
60 장윤희, "7차 國語科 敎科書의 國語史 知識 內容 구성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445-469, 2004
61 구본관, "2015 교육과정 ‘문법’ 영역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학회 51 (51): 89-133, 2016
62 서영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공통 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67-106, 2015
63 이병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비판적분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321-348, 2016
필자의 쓰기 수준과 수정 주체에 따른 수정하기 양상 고찰
다문화 소설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 내용 연구 - 김미월의 "중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훈민정음』(1446)에서 한글 자모 설명을 위한 한자 선정 방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6 | 0.96 | 0.8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91 | 1.378 | 0.31 |
한국어문법교육론
K-MOOC 경희대학교 박동호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학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2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2018년 소프트웨어(SW) 교육 초등 핵심교원 연수-학생 참여 중심 소프트웨어(SW) 수업 설계를 위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1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전용주 교사(사직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