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상미,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51-77, 2016
2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56) : 1-29, 2014
3 신지원, "한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동향분석-양적연구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 (28): 87-119, 2017
4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5 이향,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 대한 한국어 교사와 비교사 원어민 간의 평가 차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163-188, 2014
6 최열, "한국어 학습 목적에 따른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에 대한 인식 비교 -학문 목적 학습자와 이주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학과언어학회 (25) : 217-242, 2013
7 김진아, "한국어 팀티칭 수업이 학습자 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태국 대학의 교양 선택 한국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8 윤다솔, "한국어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 발화 대조 연구: 예비 교사 모의수업 발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9 류승의,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한국어 교사 자격’ 제도 인식 및 발전 방안" 한국어문화교육학회 11 (11): 25-60, 2018
10 니콜라 프라스키니,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이중언어학회 (43) : 345-370, 2010
11 니콜라 프라스키니,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 정체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2 강남욱, "한국어 교사의 학습자 오류 평가에 대한 연구 - 원어민(NS) 교사와 비원어민(NNS) 교사의 오류 판정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소 (22) : 185-227, 2008
13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4 강승혜,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47) : 687-712, 2011
15 방성원, "한국어 교사 재교육의 쟁점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79-103, 2016
16 이정희,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47) : 713-733, 2011
17 강승혜,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38, 2012
18 윤여탁,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교사 교육 비교 연구: 대학교 교사현황과 양성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학회 202 : 32-37, 2016
19 윤여탁,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교사 교육 비교 연구: 대학교 교사현황과 양성을 중심으로" 중국조선어문학회 203 : 55-58, 2016
20 왕해하, "학습자 반응 분석을 통한 한족, 조선족, 원어민 한국어 교사 집단 대조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21 원진숙, "학령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KSL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요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349-372, 2015
22 한원석, "태국인 한국어 교사의 교수 불안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2016
23 김가람, "중국인 한국어교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1-20, 2016
24 김가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교원에 대한 인식 연구 -북경 지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3 : 1-29, 2015
25 전설,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위한 재교육과정 개발 연구: 중국인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26 호욱문, "중국인 한국어 교사 수업 내 학습자 모어의 사용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27 유익림, "중국 내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사의 한국어 읽기 텍스트 개작양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28 김윤주,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과 과제(1) -지난 50년간의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1) : 325-353, 2018
29 강지은, "원어민·비원어민 교사의 공동 주도형 팀티칭을 이용한 한국어초급 교육 방안" 6 : 1-19, 2017
30 류승의, "원어민-비원어민 교사의 팀티칭 수업 및 운영 방안 연구"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15
31 전나영, "외국인 한국어교원 양성의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1 : 225-242, 2014
32 김영규, "연구 유형 분류를 통한한국어교육학 연구의 경향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71-89, 2005
33 김가람, "비원어민 한국어교원 교육의 과제와 방향 - 중국의 ‘한어국제교육’과 비교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59) : 1-22, 2015
34 최열,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교수 효율성 증대를 위한 교사 교육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6
35 윤지원,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의 교수 불안감 연구" 한국어교육연구소 11 (11): 123-152, 2015
36 최윤곤,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현황과 역할 -중국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5 : 187-206, 2010
37 허경,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 연구 : 중국인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38 유혜정,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 개발 연구 : 태국인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39 한상미,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수업 담화 오류 연구 - 한국어 교사 연수 과정 수료생의 담화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8 (8): 325-349, 2012
40 최문정,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역할 수행 인식 연구:태국 대학을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18
41 Dilhara,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 개발 연구: 스리랑카인 한국어 예비 교원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42 이재리, "비원어민 교사를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지침서 개발 연구: 홍콩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16
43 심상민,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한)국어교육 학위 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153-183, 2014
44 김주영, "국어교육에서 수업대화 연구의 경향과 과제 - 연구 목적, 대상, 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1 (11): 357-384, 2017
45 로버트 파우저, "“Multicultural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연구소 (24) : 119-141, 2009
46 김성연, "When the Learner Becomes a Teacher: Foreign Language Anxiety as an Occupational Hazard" 한국영어교육학회 59 (59): 165-186, 2004
47 Brown, J. D., "The handbook of applied linguistics" Blackwell 476-500, 2004
48 Braine, G., "Teaching English to the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5
49 Medgyes, P.,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and Heinle 429-443, 2001
50 Llurda, E., "Self-awareness in NNS EF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13 : 220-235, 2003
51 Auerbach, E., "Reexamining English on1y in the ESL classroom" 27 (27): 9-32, 1993
52 Canagarajah, A. S, "Reclaiming the local in language policy and practice" Erlbaum 2005
53 Lasagabaster, D., "Non-native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challenges, and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Springer 217-242, 2005
54 Llurda, E., "Non-native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challenges, and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Springer 2005
55 Moussu, L., "Native and non-native English-speak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teachers: Student attitudes, teacher self-perceptions, and intensive English program administrator beliefs and practices" Purdue University 2006
56 Phillipson, R., "Linguistic imperi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57 Mahboob, A., "Learning and teaching from experience: Perspectives o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ional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0-120, 2004
58 Kamhi-Stein, L., "Learning and teaching from experience: Perspectives on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ional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1-99, 2004
59 Medgyes, P., "Language training : A neglected area in teacher education" Erlbaum 177-196, 1999
60 Chomsky, N.,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The MIT Press 1965
61 배경민,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343-364, 2012
62 한국국제교류재단, "2018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2018
63 김지형, "2017 국외 한국어교육 현황 조사 결과보고서" 세종학당재단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