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0년 수운 최제우가 창도한 동학은 한국 신종교의 효시이다. 동학은 1860년에 창도된 이래, 지배층의 탄압 속에서도 크게 성장하여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의 사상적, 조직적 기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98261
2014
Korean
동학 ; 천도교 ; 최제우 ; 손병희 ; 근대 ; New religious movement ; Donghak ; Cheondogyo
KCI등재
학술저널
53-87(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860년 수운 최제우가 창도한 동학은 한국 신종교의 효시이다. 동학은 1860년에 창도된 이래, 지배층의 탄압 속에서도 크게 성장하여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의 사상적, 조직적 기반...
1860년 수운 최제우가 창도한 동학은 한국 신종교의 효시이다. 동학은 1860년에 창도된 이래, 지배층의 탄압 속에서도 크게 성장하여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혁명’의 사상적, 조직적 기반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860년에 성립되는 동학의 창도과정 및 그 발전과정을 비롯하여, 동학의 후신으로 널리 알려진 천도교의 성립과정에 이르기까지를 분석 시기로 삼아 ‘동학’ 계열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그 사상적 특징의 변화 과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860년에 수운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동학이 등장하게 되는 역사적 배경 및 동학의 사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수운 최제우 사후, 2대 교주 해월 최시형에 의한 동학의 제도종교화 과정 및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해월의 역할을 해명하였다. 셋째, 동학농민혁명 이후 변화된 시대 환경 속에서 ‘근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천도교의 성립 과정 및 천도교에 의한 민족운동의 전개과정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reviews the Donghak affiliated religious movemen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ronological change of thoughts in three aspects.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features of Donhak, which Choe Je-U(1824-1864) had advan...
This research reviews the Donghak affiliated religious movemen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ronological change of thoughts in three aspects.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deological features of Donhak, which Choe Je-U(1824-1864) had advanced are analyzed. Second, the post period of Choe Je-U’s death, institutionalization’s process of Donghak by the second leader, Choi Si-Hyung(1827-1898), and his role in 1894 are explained. Third, the establishing process and the radical movements of Cheondogyo, which had actively accepted ‘modern’ in the changed ear after Donhak peasant revolution were clarified.
목차 (Table of Contents)
‘유교계’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갱정유도의 ‘유도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