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PDA on the Communication and Stereotype Behavior of a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2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program using PDA on communication and stereotype behavior of a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Three different situations, the school, home and fast-food restaurant, was selected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AAC intervention using PDA. The study design was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setting design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he script activities, symbolic learning program and communicative function train using milieu teaching strategy. The data collected was by analysing the video clip of three different situations recorded in portable camcorder and the outco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mmunicative function, role, vocal imitation, and the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 The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chang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Second,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stimulate his vocal imitation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Third,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improve the stereotype behavior of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A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nly on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it`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 the subject and the situation will be extended in the further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program using PDA on communication and stereotype behavior of a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Three different situations, the school, home and fast-food restaurant, was sel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program using PDA on communication and stereotype behavior of a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Three different situations, the school, home and fast-food restaurant, was selected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AAC intervention using PDA. The study design was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setting design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osed of the script activities, symbolic learning program and communicative function train using milieu teaching strategy. The data collected was by analysing the video clip of three different situations recorded in portable camcorder and the outcome was analyzed in terms of communicative function, role, vocal imitation, and the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 The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changing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Second,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stimulate his vocal imitation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Third, AAC intervention using PDA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improve the stereotype behavior of th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A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nly one student with nonverbal autism, it`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 the subject and the situation will be extended in the further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67-192, 2007

      2 이상훈,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49-75, 2006

      3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4 최서영, "통합 환경에서의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이용한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20 : 1-23, 2008

      5 김기옥, "통합 상황에서 실시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6 (6): 97-121, 2007

      6 김정연, "지체장애 학생 교육" 학지사 2010

      7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8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9 한경임, "중증 뇌성마비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33 (33): 169-190, 1998

      10 박은혜, "장애아동을 위한 웹 기반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개발 연구" 35 (35): 17-43, 2000

      1 박일수,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4 (14): 167-192, 2007

      2 이상훈,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와 반향어 산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49-75, 2006

      3 이혜경, "환경중심 교수절차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정신지체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4 최서영, "통합 환경에서의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를 이용한 중재가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20 : 1-23, 2008

      5 김기옥, "통합 상황에서 실시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6 (6): 97-121, 2007

      6 김정연, "지체장애 학생 교육" 학지사 2010

      7 강우정, "지역사회 상황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213-231, 2010

      8 김정연,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25-643, 2011

      9 한경임, "중증 뇌성마비 아동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33 (33): 169-190, 1998

      10 박은혜, "장애아동을 위한 웹 기반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개발 연구" 35 (35): 17-43, 2000

      11 문현미, "자폐성 유아의 자발적 요구 증진을 위한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와 수화(Sign Language) 훈련의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 (22): 315-342, 2006

      12 신영배, "스크립트를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도구 사용훈련이 비구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 6 (6): 355-373, 2001

      13 김경양,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6 (6): 331-354, 2001

      14 김정연,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7 : 265-289, 2006

      15 김인학, "사진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이용한 중재가 중도 자폐아동과 비장애 형제간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6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의한 중복 지체부자유아 문제 행동 지도" 39 : 267-284, 2002

      17 한경임, "보완․대체 의사소통 조기 중재의 가능성 탐색과 중재 시 고려 사항에 관한 고찰" 6 (6): 5-26, 2007

      18 박은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를 위한 기초어휘 조사: 뇌성마비 초등 저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13 (13): 1-25, 1996

      19 한경임, "또래 참여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109-130, 2007

      20 문현미, "뇌성마비 유아의 요구하기와 자발화 변화에 대한 사진의사소통과 손짓기호 체계의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321-348, 2009

      21 조응경,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에 의한 대체행동 습득이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22 채수정, "기능적 보완․대체 의사소통 도구 사용 훈련이 중도장애 학생의 물건 사기를 위한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4 : 119-138, 1999

      23 상지연,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훈련이 자폐 유아의 자발적 사물요구하기 기능 습득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9 (9): 1-23, 2009

      24 허은정,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요구하기, 자발적 발화 및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179-208, 2010

      25 김응범,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이 경도 및 중등도 자폐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17 : 69-87, 2006

      26 이소현, "교육 및 임상현장 적용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00

      27 이주영, "가정에서의 자연적 일과를 이용한 스크립트 중심의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훈련이 레트 증후군(Rett's Syndrome) 아동의 요구하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8 Horner, R. H., "Toward a techonology of"nonaversive"behavioral support" 15 (15): 125-132, 1990

      29 Cress, C. J., "Strategies for promoting voc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relying on AAC: Three case illustrations" 1998

      30 Hodgdon, L. A., "Solving behavior problems through better communication strategies" 1991

      31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Repo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SHA 9-12, 1991

      32 장혜성, "PECS를 통한 자폐아동의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고찰" 1 (1): 29-46, 2002

      33 강우정, "PDA를 활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34 Tincani M, "Comparing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and sign language training for children with autism" 19 (19): 152-163, 2004

      35 Romski, M. A., "Breaking the Speech Barrier" Paul H Brookes 1996

      36 Mirenda, P.,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AC" Paul H. Brookes 2009

      37 Anderson, A., "Augmentative communication and autism: a comparison of sign language and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University of California 2001

      38 Beukelman, 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Paul H. Brookes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