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형 융합인재의 육성을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산업융합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59260
2013
Korean
융합 ; 융합인재 ; 융합교육 ; 융합프로젝트 ; 팀티칭 ; 교수학습모형 ; convergence ; convergence talent ; convergence education ; project ; team teaching ; instructional model ; higher education
370
KCI등재
학술저널
543-580(38쪽)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창조경제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형 융합인재의 육성을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산업융합 특...
창조경제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형 융합인재의 육성을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산업융합 특성화 인재 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각 대학은 융합학과를 신설하거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때문에 학문간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융합교육이 대학교육의 핵심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융합관련 학과를 신설하고, 다양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핵심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형 융합인재육성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모형은 국내에서 2004년부터 고등교육수준에서 최초로 융합학과를 신설하여 10년여 동안 융합교육을 실시하여 온 A대학교의 교수학습방법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은 사전 협력적 교수설계 및 개발과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으로 크게 구분되며, 사전 협력적 교수설계 및 개발의 과정은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을 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써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자, 학습내용, 학습환경 등을 분석하고 교수학습전략을 설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의 과정은 기업의 비즈니스 문제를 대학의 다양한 전공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하여 해결함으로써 학습자의 협력적 융합문제해결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활동의 내용 및 전략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모형을 바탕으로 보다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s an instructional model of teaching company scheme based convergence project for cultivating industrial convergence talent. To address this goal,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ggest apractical instruction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s an instructional model of teaching company scheme based convergence project for cultivating industrial convergence talent. To address this goal,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ggest a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by analyzing the real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was linked with industrial business needs and engineering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Korea, which has been conduc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since 2004. As a result, there was developed an instructional model of teaching company scheme based convergence project that is constructed two part. Oner part is advance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that is make up teaching staff, invite company, an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with professors and business staff, which process includ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analyze and design refers for convergence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and also it is to analyze learner analysis, learning content, learning environment. The other part i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convergence project that is explain of instructional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teaching professor and business staff, organize team and team building, select topic of convergence project, plan and present of convergence project, role sharing of team task, perform individual task, perform collaborative task, interim presentation, redo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task, final presentation and evaluation, which process present step by ste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to improve learners' collaborative convergenc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is instructional model, there were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in orderto increasing applicability in higher education contex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경, "프로젝트중심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1999
3 손여울,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75-94, 2011
4 성의석,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255-274, 2012
5 이경진,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5-81, 2012
6 임정훈,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7 김방희, "초등학교 실과의 T-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적용"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209-228, 2012
8 안혜리,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8 (28): 146-167, 2010
9 임정훈, "초ㆍ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 (20): 101-133, 2004
10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1 김혜경, "프로젝트중심학습에서 수행역량기반 학습지원체제 설계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대현,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1999
3 손여울,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6 (36): 75-94, 2011
4 성의석,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255-274, 2012
5 이경진,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55-81, 2012
6 임정훈, "커뮤니티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7 김방희, "초등학교 실과의 T-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적용"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2 (12): 209-228, 2012
8 안혜리,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팀티칭 사례연구 - 미술교육전문가, 미술가, 학급교사의 파트너십에 기초한 공공미술 수업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8 (28): 146-167, 2010
9 임정훈, "초ㆍ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 (20): 101-133, 2004
10 김왕동,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한국영재교육학회 11 (11): 97-119, 2012
11 최유현,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 (12): 63-87, 2012
12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2010
13 최재천, "지식의 통섭" 이음 2007
14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73-87, 2011
15 김정효,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75-200, 2012
16 최양희, "인재정책의 방향과 기본과제" 2010
17 김성원,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388-401, 2012
18 김형숙,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105-115, 2012
19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2012
20 김영석, "우리말 IT: Convergence: 어울림" 한국전파진흥원 134 : 20-, 2007
21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22 지식경제부, "산업융합 특성화 인재양성 사업 추진계획(안)" 2013
23 김덕현, "산업간 융합 패러다임과 기업활용 전략" 62 : 1-16, 2010
24 김진동, "바람직한 산학협동에 관한 연구" 10 : 59-71, 2004
25 이광선, "독일 포르츠하임 조형대학의 주얼리를 중심으로한 산학협동모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8 (8): 175-187, 2010
26 정인성,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7 (7): 27-50, 2001
27 이혜정, "대학교육에서 대학생 중심의 교수설계를 위한 최우수 학습자의 학습특성 및 학습전략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27 (27): 1-35, 2011
28 홍병선,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3 (3): 51-78, 2009
29 이성종, "대학 교육과정의 혁신적 개편을 통한 융합과학자 육성 방안" 265-277, 2009
30 이공래, "다분야 기술융합의 혁신시스템 특성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5
31 손욱, "기업에 필요한 이공계 인재" 2004
32 김진수,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29, 2007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성취변화의 특성" 2008
34 송정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11-22, 2011
35 오헌석,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의 융합연구 입문과 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297-335, 2012
36 임강빈, "공학교육인증 체제의 지역대학을 위한 산학협동과제 기반 실무인력양성 모델" 19 (19): 67-74, 2009
37 배선아,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5 (35): 44-67, 2010
38 이병욱, "공업계 고교에서의 산학협력 실태 조사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4 (34): 1-19, 2009
39 Gately, S. E., "Understanding co-teaching components" 33 (33): 40-47, 2001
40 안철수, "T자형 인재 뛰어넘는 A자형 인재되라" 2010
41 Boyatzis, R., "Transforming qualitative information: Thematic analysis and code development" Sage 1998
42 de Groot, A., "Thoughts and choice in chess" Mouton 1978
43 Ericsson, K. A.,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100 : 363-406, 1993
44 Kilpatrick, W. H., "The project of method"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24
45 Kilpatrick, W. H., "The project method" 19 : 319-335, 1918
46 Frodeman, R., "The oxford handbook of interdisciplinar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7 Edward Nissan, "Technological Change and Contribution to Growth and Convergence" 경제연구소 31 (31): 113-134, 2006
48 Rosenberg, N., "Techn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23 (23): 414-443, 1910
49 Shaplin, J. T., "Team teaching" Harper & Row 1964
50 Connelly, F. M., "Stories of experience and narrative inquiry" 19 (19): 2-14, 1990
51 Clark, L. H., "Secondary and middle school teaching methods"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1
52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 11 (11): 124-139, 2011
53 이효녕, "STEAM 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 STEM 교육 고찰" 161 (161): 8-11, 2011
54 Scott, W., "Reliability of content analysis : The case of nominal scale coding" 19 : 315-325, 1955
55 Cerych, L., "Reforms and higher education: Implementation, In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Volume 2" Pergammon Press 1992
56 Granger, R. C., "Re-spatializing the creative industries : a relational examination of underground scenes, and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lock-in" 3 (3): 47-60, 2010
57 Strauss, A.,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8 Moursund, 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Publications 2003
59 Stoller, F., "Project work : A means to promote language content" 35 (35): 29-37, 1997
60 현창희, "IT 기반 융합정책방향" 23 (23): 1-13, 2008
61 Katz, L. G., "Engaging children’s minds : The project approach" Abiex 1989
62 Kodama, F., "Emerging patterns of innovation: Sources of Japan’s technological 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1
63 Bauwens, J., "Cooperative teaching: Rebuilding the schoolhouse for all students" PRO-ED 1995
64 Spencer, L. M., "Competence at work" Wiley 1993
65 Aitkent, J. L., "Becoming a teacher : Five questions in search of an answer" 20 (20): 345-357, 1994
66 Markham, T.,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003
67 성은모, "A Study on Development of Group Dynamics-based Debate Instructional Model Using a New Technology" 한국교육공학회 11 (11): 77-103, 2010
교육 연구에서의 탐색적 요인분석 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공학전공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6-1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4 | 1.94 | 2.0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23 | 2.35 | 2.393 | 0.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