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적응행동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 = Developmental Validation study of a Adaptive Vehavior Assess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생용 적응행동 평가도구의 표준화를 위한 문항 타당도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 지역 7세에서 12세의 초등학생 699명으로 실시되었다. ...

      이 연구는 초등학생용 적응행동 평가도구의 표준화를 위한 문항 타당도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대전, 충남 지역 7세에서 12세의 초등학생 699명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문항의 난이도에서 기본지식(개념) 영역과 작업기술 영역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변별도와 관련한 집단간 빈도차이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집단간 차이를 잘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분신뢰도는 .68~.97사이에 분포하였으며, Cronbach의 α계수에 의한 문항내적일치도는 67~.96 사이에 분포하였다. AMOS를 이용한 단일요인 모형과 3요인 모형에 대한 검증에 따르면 단일요인에 비하여 3요인 구조모형이 적합도 차이에서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평균점수와 관련하여 10세와 11세(대체로 4학년과 5학년 사이)의 평균차이가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duct psychometric analysis of a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instrument, being developed to identify overall levels of adaptive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target population f...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nduct psychometric analysis of a adaptive behavior assessment instrument, being developed to identify overall levels of adaptive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study are 699 children with the age distribution of 7 to 12 from elementary school which located in Seoul, Daejeon, Choongnam, Kyunggi. A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Primary knowledge(concept of knowledge) and vocational skill subdomains are different relatively. Explorations of item discrimination yielded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That means these items well organized by groups. The half-spilt reliability was between .68 and .97. Cronbach α was between .67 and .96.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ubscale variables produces one factor solution. AMOS 5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ubscale variables produces one factor solution AMOS 5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llowed AMOS three model was less parsimonious than one factor model, but the former was more fitted than the lat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치연, "한국판 적응행동검사의 표준화 예비연구" 16 (16): 53-65, 2000

      2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ABI)의 표준화 예비연구" 16 (16): 53-65, 2000

      3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평가도구(SIB-R)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20 (20): 123-152, 2004

      4 백은희,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평가도구 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20 (20): 123-152, 2004

      5 이준석, "적응행동의 이론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397-410, 2004

      6 "적응행동의 이론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397-410, 2004

      7 김승국,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중앙적성출판사 1990

      8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중앙적성출판사 1990

      9 김태련,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 62 (62): 5-102, 1994

      10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 62 (62): 5-102, 1994

      1 윤치연, "한국판 적응행동검사의 표준화 예비연구" 16 (16): 53-65, 2000

      2 "한국판 적응행동검사(K-ABI)의 표준화 예비연구" 16 (16): 53-65, 2000

      3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평가도구(SIB-R)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20 (20): 123-152, 2004

      4 백은희,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적응행동 평가도구 의 한국 표준화 예비연구" 20 (20): 123-152, 2004

      5 이준석, "적응행동의 이론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397-410, 2004

      6 "적응행동의 이론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397-410, 2004

      7 김승국,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중앙적성출판사 1990

      8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중앙적성출판사 1990

      9 김태련,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 62 (62): 5-102, 1994

      10 "이화-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EWHA-VABS개발 및 표준화 연구" 62 (62): 5-102, 1994

      11 "유아용 발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 연구" 18 (18): 179-196, 2004

      12 전병운, "유아용 발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 연구" 18 (18): 179-196, 2004

      13 "영ㆍ유아 발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한 1차 표준화 연구" 34 (34): 111-137, 2000

      14 조광순, "영ㆍ유아 발달진단검사도구의 개발을 위한 1차 표준화 연구" 34 (34): 111-137, 2000

      15 성태제,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학지사 1996

      16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학지사 1996

      17 김승국, "^사회성숙도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5

      18 "^사회성숙도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5

      19 "The structure of adaptive behavior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97-110, 1996

      20 & McGrew, "The structure of adaptive behavior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97-110, 1996

      21 McGrew,K.S, "The factor structure of adaptive behavior" 18 : 64-81, 1989

      22 "The factor structure of adaptive behavior" 18 : 64-81, 1989

      23 "The Assessment of children" 1992

      24 Sattler, "The Assessment of children" 1992

      25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of-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 588-606, 1980

      26 Bentler,P.M,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of-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88 : 588-606, 1980

      27 "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SIB-R) Comprehensive Manual" Riverside Publishing 1996

      28 Woodcock, "Scales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Riverside Publishing 1996

      29 "Psychological testing (7th ed.)" Prentice Hall 1997

      30 "K-CBCL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7

      31 오경자, "K-CBCL 아동ㆍ청소년 행동평가검사" 중앙적성출판사 1997

      32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mental retardation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5-42, 1999

      33 Thompson,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mental retardation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15-42, 1999

      34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1970

      35 3rd ed,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1970

      36 "Conceptual and psychometric issues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1-25, 1987

      37 Kamphaus, "Conceptual and psychometric issues in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1-25,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