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바이어던』 4부 ‘어둠의 왕국’은 이전의 3부와는 전적으로 다르다. ‘1부 인간’, ‘2부 국가’, ‘3부 기독교 국가’의 경우 논리적인 전개인 반면 4부의 경우 그렇지않다. 앞의 각 3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41093
2023
-
리바이어던 ; 토마스 홉스 ; 어둠의 왕국 ; 상상력 ; 수사학적 언어관 ; 구약성서 ; Leviathan ; Thomas Hobbes ; The Kingdom of Darkness ; Imagination ; rhetorical view of language ; Old Testament
001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3-164(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리바이어던』 4부 ‘어둠의 왕국’은 이전의 3부와는 전적으로 다르다. ‘1부 인간’, ‘2부 국가’, ‘3부 기독교 국가’의 경우 논리적인 전개인 반면 4부의 경우 그렇지않다. 앞의 각 3부...
『리바이어던』 4부 ‘어둠의 왕국’은 이전의 3부와는 전적으로 다르다. ‘1부 인간’, ‘2부 국가’, ‘3부 기독교 국가’의 경우 논리적인 전개인 반면 4부의 경우 그렇지않다. 앞의 각 3부가 특정 주제의 성격을 갖는 제목인데, 4부는 제목부터가 ‘어둠의왕국’이라는 비유적인 성격을 갖는다. 4부가 이전의 제목들과 연속성을 갖지 않는것은 근본적으로 홉스가 리바이어던의 전개 과정을 변경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변화는 충분히 그 나름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른바 철학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세계이자 현실 속에 공존하는 ‘어둠의 왕국’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홉스의 방법론으로 과학을 끌어들이면서 동시에 현존하는 악과 어둠의 세계를 받아들이기 위한 방편으로 수사학적, 비유적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가능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노력을 옅볼 수 있다. 따라서 4장을 단순히 논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범위에한정시켜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리바이어던』 전체적인 흐름을 염두에두면서 홉스의 숨은 의도를 파악하고 재해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이해할 필요가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vaiathan』 Part IV, “Kingdom of Darknes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rt 3. In the case of “Part 1 Man,” “Part 2 Nation,” and “Part 3 Christian Nation,” this is a logical development, while in the case of Part 4 ...
『Livaiathan』 Part IV, “Kingdom of Darknes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art 3. In the case of “Part 1 Man,” “Part 2 Nation,” and “Part 3 Christian Nation,” this is a logical development, while in the case of Part 4 it is not. Each of the first three parts has a specific subject character, but the fourth part has a metaphorical character from the title as “Kingdom of Darkness.” The reason why Part 4 is not continuous with the previous title is fundamentally because Hobbs is chang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vaiathan. However, the change has its own meaning. It will be accepted as part of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of how to accept the so-called philosophically unrecognizable world and the “dark kingdom” that coexists in reality. Hobbes’ methodology to solve this problem shows his efforts to find possible solutions by drawing science and applying rhetorical and figurative methods as a way to accept the existing world of evil and dark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Chapter 4 with a focus on grasping and reinterpreting Hopps’ hidden intentions with the overall flow of “Reviathan” in mind, rather than simply limiting it to a logical and predictable ext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관한 기초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