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A대학상담소 마음건강 혁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41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이 제안한 프로그랜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정서조절을 위해, 정서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5 명 이하 소규모 활동형 심리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90-120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87 명에 대한 정서에 대한 신념을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추가로 참여학생 및 운영강사 피드백, 프로그랜 만족도, A대학 핵심역량 도움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정서에 대한 경직된 신념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정서 감수성, 사고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이 제안한 프로그랜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정서관리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이 제안한 프로그랜 개발 모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정서조절을 위해, 정서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15 명 이하 소규모 활동형 심리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90-120분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87 명에 대한 정서에 대한 신념을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추가로 참여학생 및 운영강사 피드백, 프로그랜 만족도, A대학 핵심역량 도움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정서에 대한 경직된 신념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핵심역량(의사소통능력, 정서 감수성, 사고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ffect a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 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Chang-Dai Ki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90-120 minutes, an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 s of thi 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asures for the beliefs about emotions right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Second, students reported that this training helped improve three core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sensitivity, and flexibility of thinking. The result s of thi 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ffect a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 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Chang-Dai Kim.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ffect a Emotion Management Psycho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 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suggested by Chang-Dai Kim. The program was composed of 90-120 minutes, an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 s of thi 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asures for the beliefs about emotions right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Second, students reported that this training helped improve three core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sensitivity, and flexibility of thinking. The result s of thi 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 서 론
      • II. 방 법
      • III. 결 과
      • Ⅳ. 논 의
      • I . 서 론
      • II. 방 법
      • III. 결 과
      • Ⅳ. 논 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