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가먼트는 기존 의복에 디지털 정보기기 기능이 융복합된 웨어러블 컴퓨터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섬유와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직물전자소자 및 직물회로보드를 구현하고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가먼트는 기존 의복에 디지털 정보기기 기능이 융복합된 웨어러블 컴퓨터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섬유와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직물전자소자 및 직물회로보드를 구현하고 이를 ...
디지털 가먼트는 기존 의복에 디지털 정보기기 기능이 융복합된 웨어러블 컴퓨터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섬유와 ICT 기술을 융합하여 직물전자소자 및 직물회로보드를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지털 가먼트를 제작하는 연구를 1990년대 초부터 진행하고 있다. 초기 디지털 가먼트는 군복과 같은 특수복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 들어서는MP3 플레이어가 내장된 의류, 색상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의류, 헬스케어 기능이 내장된 의류 등 일반 소비자를 위한 제품들이 연구개발 되고, 출시되고 있다. 디지털 가먼트는 전통 산업에 신소재, 부품, 센서 등 새로운 첨단ICT 기술을 접목하여 섬유, 패션, 의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는 신산업 · 신시장을 개척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가 차세대 패션/의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섬유의류/패션과 ICT를 융합하는 핵심원천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융합 분야의 이해를 높이고자 디지털 가먼트 구현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을 분류하고, 각 요소 기술별 연구개발 및 제품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garment is a wearable computer that functions of the digital device has been fusing and combining the existing clothes. Since the early 1990s, mainly in America and Europe, it has been implemented textile electronic components and fabric circu...
Digital garment is a wearable computer that functions of the digital device has been fusing and combining the existing clothes. Since the early 1990s, mainly in America and Europe, it has been implemented textile electronic components and fabric circuit boards by fusing the textile and ICT technology and it is in progress the study of making a digital garment. The initial product of digital garment was developed for special purpose such as soldier uniforms. Recently, garments have been designed and released for general consumer such that they are built MP3 player, the color can be freely changed, clothing and healthcare functions are built. Digital garment are combined a new advanced ICT technologies into existing traditional industries, such as new materials, parts, sensors, and so that will be expected to achieve high added value and create a new industry and markets of textile, fashion, and apparel industries. In order to lead the new market of fashion and apparel, for Korea, it is needed urgently to secure the core technology to fuse the textile/clothing/fashion and ICT technologies. In this paper, for the purpose of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fusion field, we classify the core technology for the digital garment and analyze the trends of each technology and product. Also, we will prospec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hich is based on tha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빈희, "직물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웨어러블 직물형 컴퓨터"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4 (4): 34-41, 2008
2 양용석, "인쇄전자 기술 및 동향" 2013
3 이명수, "의복 부착형 하드웨어 디자인 프로토타입 제안"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4 (4): 38-45, 2008
4 박충범, "웨어러블 컴퓨팅을 위한 Fabric Area Network 토폴로지"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5 (5): 5-14, 2009
5 박만호, "금속섬유 제조 기술개발 현황" 2012
6 D. Lehn, "e-TAGs: e-Textile Attached Gadgets" 2004
7 M. Stoppa, "Wearable Electronics and Smart Textiles: A Critical Review" 14 (14): 2014
8 G.G. Eichinger, "Using a PCB Layout Tool to Create Embroidered Circuits" 2007
9 S. Park, "The wearable motherboard: a framework for personalized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PMIP)" ACM 2002
10 S. Gilliland, "The Textile Interface Swatchbook: Cre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like Widgets with Conductive Embroidery" 2010
1 김빈희, "직물형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웨어러블 직물형 컴퓨터"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4 (4): 34-41, 2008
2 양용석, "인쇄전자 기술 및 동향" 2013
3 이명수, "의복 부착형 하드웨어 디자인 프로토타입 제안"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4 (4): 38-45, 2008
4 박충범, "웨어러블 컴퓨팅을 위한 Fabric Area Network 토폴로지"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5 (5): 5-14, 2009
5 박만호, "금속섬유 제조 기술개발 현황" 2012
6 D. Lehn, "e-TAGs: e-Textile Attached Gadgets" 2004
7 M. Stoppa, "Wearable Electronics and Smart Textiles: A Critical Review" 14 (14): 2014
8 G.G. Eichinger, "Using a PCB Layout Tool to Create Embroidered Circuits" 2007
9 S. Park, "The wearable motherboard: a framework for personalized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PMIP)" ACM 2002
10 S. Gilliland, "The Textile Interface Swatchbook: Cre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like Widgets with Conductive Embroidery" 2010
11 Stella Project, "Stretchable Circuits"
12 "Philips Luminous Textiles"
13 C. Tijus, "Open innovation and prospective ergonomics for smart clothes" 2014
14 "MIT Wearable Computing Lab"
15 L. Buechley, "Fabric PCBs, Electronic Sequins, and Socket Buttons: Techniques for e-textile Craft" 13 (13): 2007
16 S. Jung, "Enabling Technologies for Disappearing Electronics in Smart Textiles" 2003
17 T. Linz, "Embroidering Electrical Interconnects with Conductive Yarn for The Integration of Flexible Electronic Modules into Fabric" 2005
18 D. Cottet, "Electrical characterization of textile transmission lines" 26 (26): 182-190, 2003
19 S. Coyle, "BIOTEX – Biosensing textiles for personalised healthcare management" 14 (14): 2010
20 "AmberStrand fiber"
21 S.S. Shin, "A flexible textile wristwatch using Transfer Printed Textile Circuit technique" 2012
22 S. Dhupkariya, "A Review of Textile Materials for Wearable Antenna" 1 (1): 2014
경로 탐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격자 기반의 보행 안내 알고리즘
외식업체의 원가관리를 위한 OLAP 시각화 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1 | 0.55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