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행정체제개편의 탐색적 분석 : 자치구 통합에 관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Analysis of Urban Boundary Change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7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local boundary change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survey for public official in autonomous districts(Gu)'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current debate on local boundary change, especially focusing on consolidation of 'Gu's. The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ough local boundary issue is so significant, there has been no active discussions among them. Furthermore, local boundary change or consolidation may render complex issues regarding preferred 'Gu'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local boundary change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survey for public official in autonomous districts(Gu)'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current debate on local boundary change, especially focusing on consolidation of ...

      This study examines local boundary change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onducted survey for public official in autonomous districts(Gu)'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current debate on local boundary change, especially focusing on consolidation of 'Gu's. The findings suggest that even though local boundary issue is so significant, there has been no active discussions among them. Furthermore, local boundary change or consolidation may render complex issues regarding preferred 'Gu'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연합뉴스, "행정구조 개편 민주당 입장. 1. 4"

      2 김선명, "행정구역개편안에 관한 주요 쟁점 및 평가"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351-381, 2008

      3 복문수, "행정구역개편과정에 관한 다중합리모형 분석 : 삼려(여수시ㆍ여천시ㆍ여천군)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97-136, 2010

      4 우종덕, "행정구역 확대 논의의 타당성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179-197, 2007

      5 배득종,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10 : 31-42, 2008

      6 원윤희,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세출에 미치는 영향" 10 : 17-30, 2008

      7 박완규,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의 필요성" 10 : 3-16, 2008

      8 정재진, "행정구역 개편의 학습 정보로서 시・군 통합의 효과 분석 : 지방재정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 대한 단기 효과와 장기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57-89, 2010

      9 문영동, "행정구역 개편 성과의 영향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7-25, 2009

      10 이달곤, "행정계층 및 구역의 개편 방향에 관한 연구" 33 (33): 145-159, 1995

      1 연합뉴스, "행정구조 개편 민주당 입장. 1. 4"

      2 김선명, "행정구역개편안에 관한 주요 쟁점 및 평가"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351-381, 2008

      3 복문수, "행정구역개편과정에 관한 다중합리모형 분석 : 삼려(여수시ㆍ여천시ㆍ여천군) 통합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97-136, 2010

      4 우종덕, "행정구역 확대 논의의 타당성 검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1 (21): 179-197, 2007

      5 배득종,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10 : 31-42, 2008

      6 원윤희,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세출에 미치는 영향" 10 : 17-30, 2008

      7 박완규,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 행정구역 개편의 필요성" 10 : 3-16, 2008

      8 정재진, "행정구역 개편의 학습 정보로서 시・군 통합의 효과 분석 : 지방재정 운영의 효율성 측면에 대한 단기 효과와 장기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57-89, 2010

      9 문영동, "행정구역 개편 성과의 영향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3 (13): 7-25, 2009

      10 이달곤, "행정계층 및 구역의 개편 방향에 관한 연구" 33 (33): 145-159, 1995

      11 대전일보, "한나라 권경석 의원, ‘행정체제 개편 특별법’ 발의. 11. 4"

      12 박기춘, "한국 지방행정체제개편의 방향과 전략" 새로운 사람들 2010

      13 하혜수, "특별시・광역시 자치구의 개편대안 연구: 자치역량의 관점에서" 서울행정학회 20 (20): 93-114, 2009

      14 하혜수,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치단체간 자율통합 방안 ; 지방자치행정체제 개편의 추진전략 및 체제" 707-743, 2008

      15 최봉기, "지방행정체제개편에 대한 여야 정당안의 비판적 검토와 개선방향"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29-54, 2010

      16 이기우, "지방행정체제개편론: 본질과 과제" 도서출판 금붕어 2009

      17 이승종, "지방행정체제개편론" 법문사 2009

      18 김석태, "지방행정체제 개편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적정구역과 구역문제 해결단계의 관점에서" 한국정부학회 21 (21): 331-353, 2009

      19 배준구, "지방행정체제 개편, 국토, 도시발전계획과 조화돼야" 44 (44): 10-12, 2009

      20 안용식, "지방행정론" 대영문화사 2007

      21 한동효, "지방정부간 행정자치구역 통합에 관한 탐색 연구 -진주 · 사천시 통합논의 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129-156, 2008

      22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09

      23 이승종, "지방역량강화를 위한 광역자치구역의 개편방안" 한국행정연구소 46 (46): 361-390, 2008

      24 양영철, "제주특별자치도 특별지방행정기관 통합의 성과와 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3 (23): 59-100, 2009

      25 최영출, "제주특별자치도 시군통합의 성과평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3 (23): 3-29, 2009

      26 배응환, "정책형성의 비교연구- 1차와 2차 청주청원행정구역통합정책" 한국정책학회 15 (15): 1-32, 2006

      27 허훈, "자치행정체제개편에 대한 전문가의견조사와 바람직한 추진방향"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29-55, 2009

      28 매일경제, "자치구 폐지 내년에 결론…선거구 개편도 속도낸다. 4. 6"

      29 오재일, "일본의 행정구역 개편에 관한 고찰 -市町村 통폐합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351-, 2007

      30 권영주, "일본의 지방행정체제 개편" 60 (60): 36-39, 2011

      31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32 윤봉근, "우리나라 행정구역과 계층의 개편에 관한 연구" 21 (21): 225-246, 2000

      33 최영출, "외국의 단층자치단체 비교분석: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6 (16): 251-276, 2005

      34 연합뉴스, "여권 `경기도분할설' 강력 부인. 8. 22"

      35 최영출, "신정부의 지방분권 정책 : 지방자치 행정체제 개편의 방향 -일반 행정구의 개편을 중심으로" 389-410, 2008

      36 홍준현, "시・군통합이 지역내 및 지역간 균형성장에 미친 효과" 서울행정학회 16 (16): 299-324, 2005

      37 유재원, "시군통합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분석: 단절적 시계열모형(ARIMA)의 적용" 한국행정학회 43 (43): 285-306, 2009

      38 유재원, "시군통합의 추진동력과 정책대안" 한국행정학회 44 (44): 179-202, 2010

      39 최영출, "시군통합의 예산절감효과 추정 : 중복 공공시설의 절감효과" 한국도시행정학회 18 (18): 147-169, 2005

      40 매일경제, "서울시, 자치구 통합때 인센티브. 9. 24"

      41 김찬동, "서울시 자치구 행정구역 개편방안 -생활권을 중심으로" 47 : 1-20, 2009

      4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 자치구 행정구역 개편방안" 시정개발연구원 2009

      43 내일신문, "서울 자치구 통합논의 급물살. 9. 25"

      44 김동훈, "도농통합형 행정구역개편의 효과분석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7 : 235-277, 1996

      45 김재홍, "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정부의 효율성 변화에 미친 영향 연구" 9 (9): 47-66, 2000

      46 하혜수, "대도시 자치구제 개편의 쟁점과 대안" 5 (5): 27-48, 2001

      47 김재훈, "대도시 자치구제 개선" 87-107, 2000

      48 안성호, "광역시와 자치구의 정부간 관계 분석" 9 (9): 95-124, 1997

      49 김순은, "광역시와 자치구간의 제문제와 개선방안" 9 (9): 43-65, 1997

      50 이해종, "광역시 도농통합형 도시개발에 관한 연구" 10 : 147-171, 1997

      51 김종순, "광역·특별시와 자치구의 세원배분체계 개편" 12 (12): 113-133, 2000

      52 Lyons, W., "The politics of dissatisfaction: Cities, services, and urban institutions" M. E Shape 1992

      53 Savitch, H. V., "Regional Politics: America in a Post-City Age" SAGE Publications 1996

      54 Feiock, R. C., "Rational choice and regional governance" 29 (29): 49-65, 2007

      55 Vogel, R. K., "Metropolitan Government, In Handbook Of Research On Urban Politics And Policy In The United States" Greenwoo 185-196, 1997

      56 Scott, A., "Global city-regions: Trends, theory, and poli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7 서울시 통계, "<인구부문> 및 <재정부문>"

      58 서울특별시, "2020년 서울도시기본계획:전략보고서" 서울시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