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간의 흐름(Sequence)에 의한 공간의 경험과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  :  Duane Michals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Cognitive Change of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 of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6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진은 '도상적 행위'로서, 그것 자체로 인화물일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의 상활과 그것을 있게 한 원인 밖에서는 더 이상 생각할 수 없게 하는 이미지이며 행위이다. 특히 이 '행위'는 이미지 생산을 위한 촬영하는 행위, 뿐만 아니라 이미지 속의 행위, 이미지를 수용하고 응시하는 행위, 그리고, 그 사진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또 다른 경험의 행위가 있다. 사진적 행위는 사진을 찍을 때의 행위를 포함하는 말로써, 한 장의 사진을 표현하기 위해서 작가가 구상하고 계획하고 사진을 촬영하고, 그것을 현상해서 표현하기까지의 모든 행위가 포함된 말이다. 즉, 사진 한 장이 표현되기까지의 행위자체를 사진적 행위로 보고 그러한 행위를 예술의 한 영역으로 끌어드리는 것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그 사진이 가지고 있는, 혹은 그 사진이 말하는 의미를 관람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은 시간과 공간을 함축하고 있으며, 그것들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매체이다. 특히 연속사진(sequence photo)은 여러 사진들간의 관계(sequence와 sequence 사이의 암전과도 같은 간극이, 관람자로 하여금 상상의 유희를 "창작"하게 하고 사물들을 통해서 도움을 받는다. 속에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고 또 변화하게 되는 상황을 담고 있다.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말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다양성과 복합성'이란 말이다. 현대사회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욕구들이 복합적으로 표출되고, 그러한 욕구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왜곡된 사회통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절대적 진리가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니체적 사회인식의 전이는 현대사회의 다양성을 증명하는 바탕이 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은 우리에게 복합적인 사회현상에 대하여, 다양한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가 우리에게 흥미를 주는 이유는 시간적 흐름을 배경으로 고정되어 있는 frame을 통해서 sequence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흥미 있고 의미 있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매우 일상적인 공간에 간섭되어지는 사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공간이 이동하여 새로운 공간으로의 전이가 인지되는 현상이나 행위자와 바라보는 관찰자의 관계가 뒤바뀌는 현상, 심지어 3차원의 현상이 2차원으로 압축되기도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즉, 시간의 흐름(sequence)에 따라 공간과 상황의 인지가 변화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점은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관한 문제와 공간과 이미지와의 관계, 그리고 공간의 전이에 관한 문제가 그것이다.
      설계의 진행은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을 분석에서 드러나는 4가지 주제에 의하여 정리하고 그것을 여러 study model로 실험해 봄으로 해서 공간의 원리를 발견하고, 그러한 원리에 의해 작품 『THINGS ARE QUEER』에서 나타나는 같은 공간경험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 4가지 주제는 1) frame, 2) 순차적 story에 의한 sequence, 3) interference element, 4) transition of space이다. 이러한 4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다시 재구성하고 설계함으로 해서 듀안 마이클의 작품에서 보이는 흥미로운 공간적 시간적 전환을 건축공간에서 시도하였다.
      이와 갈이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복합성과 다양성에 대한 문제를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통하여 공간적 구성과 전이과정, 그리고 간섭요소들에 의해서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을 설계, 제시한다.
      번역하기

      사진은 '도상적 행위'로서, 그것 자체로 인화물일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의 상활과 그것을 있게 한 원인 밖에서는 더 이상 생각할 수 없게 하는 이미지이며 행위이다. 특히 이 '행위'는 이미...

      사진은 '도상적 행위'로서, 그것 자체로 인화물일 뿐만 아니라 그 이미지의 상활과 그것을 있게 한 원인 밖에서는 더 이상 생각할 수 없게 하는 이미지이며 행위이다. 특히 이 '행위'는 이미지 생산을 위한 촬영하는 행위, 뿐만 아니라 이미지 속의 행위, 이미지를 수용하고 응시하는 행위, 그리고, 그 사진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또 다른 경험의 행위가 있다. 사진적 행위는 사진을 찍을 때의 행위를 포함하는 말로써, 한 장의 사진을 표현하기 위해서 작가가 구상하고 계획하고 사진을 촬영하고, 그것을 현상해서 표현하기까지의 모든 행위가 포함된 말이다. 즉, 사진 한 장이 표현되기까지의 행위자체를 사진적 행위로 보고 그러한 행위를 예술의 한 영역으로 끌어드리는 것이다. 그렇게 되었을 때 그 사진이 가지고 있는, 혹은 그 사진이 말하는 의미를 관람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진은 시간과 공간을 함축하고 있으며, 그것들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매체이다. 특히 연속사진(sequence photo)은 여러 사진들간의 관계(sequence와 sequence 사이의 암전과도 같은 간극이, 관람자로 하여금 상상의 유희를 "창작"하게 하고 사물들을 통해서 도움을 받는다. 속에 시간과 공간이 존재하고 또 변화하게 되는 상황을 담고 있다.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말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다양성과 복합성'이란 말이다. 현대사회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욕구들이 복합적으로 표출되고, 그러한 욕구를 여러 각도에서 동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왜곡된 사회통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절대적 진리가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니체적 사회인식의 전이는 현대사회의 다양성을 증명하는 바탕이 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은 우리에게 복합적인 사회현상에 대하여, 다양한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가 우리에게 흥미를 주는 이유는 시간적 흐름을 배경으로 고정되어 있는 frame을 통해서 sequence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흥미 있고 의미 있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매우 일상적인 공간에 간섭되어지는 사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공간이 이동하여 새로운 공간으로의 전이가 인지되는 현상이나 행위자와 바라보는 관찰자의 관계가 뒤바뀌는 현상, 심지어 3차원의 현상이 2차원으로 압축되기도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즉, 시간의 흐름(sequence)에 따라 공간과 상황의 인지가 변화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목해야할 점은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에 관한 문제와 공간과 이미지와의 관계, 그리고 공간의 전이에 관한 문제가 그것이다.
      설계의 진행은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을 분석에서 드러나는 4가지 주제에 의하여 정리하고 그것을 여러 study model로 실험해 봄으로 해서 공간의 원리를 발견하고, 그러한 원리에 의해 작품 『THINGS ARE QUEER』에서 나타나는 같은 공간경험을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그 4가지 주제는 1) frame, 2) 순차적 story에 의한 sequence, 3) interference element, 4) transition of space이다. 이러한 4가지 특성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다시 재구성하고 설계함으로 해서 듀안 마이클의 작품에서 보이는 흥미로운 공간적 시간적 전환을 건축공간에서 시도하였다.
      이와 갈이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복합성과 다양성에 대한 문제를 듀안 마이클의 작품 『THINGS ARE QUEER』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통하여 공간적 구성과 전이과정, 그리고 간섭요소들에 의해서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을 설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n iconographic act,' photography is not only a photographic paper itself, but also an image and act that cannot be imagined without the situation of the image and its cause. Especially, this 'act' includes the act that films the production of image, an act within the image, an act that accepts and looks at the image and an act that one experiences through the photo. Such a viewpoint is well expressed in『Photographic Act (L'acte photographique)』(1983) by Philippe Dubois. In his writing, he said that the photographic act would have more than the act itself in its meaning.
      One of the reasons that we have been interested in Duane Michals' work 『THINGS ARE QUEER』 is that he has told us interesting and meaningful stories while the sequence was being processed through the frame that was fixated along with the flow of time. This was achieved by the objects that have been interrupted in the very ordinary space; eventually, it resulted in the following phenomena - the phenomenon of recognizing the transfer of the space into another space or the phenomenon of switching the location of the doer and observer and the phenomenon of condens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to the two-dimensional. That is to say, the recognition of space and situation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 of time, which is one of the biggest characteristics. Here one has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matters: viewpoint to look at spac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mage; and transformation of space.
      From Duane Michals' THINGS ARE QUEER』, four different themes, (1) frame (2)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secutive story (3) interference element (4) transition of space, were analyzed. This thesis endeavored to experiment the themes in th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space and to finally suggest the transformation of space and time.
      번역하기

      As 'an iconographic act,' photography is not only a photographic paper itself, but also an image and act that cannot be imagined without the situation of the image and its cause. Especially, this 'act' includes the act that films the production of ima...

      As 'an iconographic act,' photography is not only a photographic paper itself, but also an image and act that cannot be imagined without the situation of the image and its cause. Especially, this 'act' includes the act that films the production of image, an act within the image, an act that accepts and looks at the image and an act that one experiences through the photo. Such a viewpoint is well expressed in『Photographic Act (L'acte photographique)』(1983) by Philippe Dubois. In his writing, he said that the photographic act would have more than the act itself in its meaning.
      One of the reasons that we have been interested in Duane Michals' work 『THINGS ARE QUEER』 is that he has told us interesting and meaningful stories while the sequence was being processed through the frame that was fixated along with the flow of time. This was achieved by the objects that have been interrupted in the very ordinary space; eventually, it resulted in the following phenomena - the phenomenon of recognizing the transfer of the space into another space or the phenomenon of switching the location of the doer and observer and the phenomenon of condens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to the two-dimensional. That is to say, the recognition of space and situation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equence of time, which is one of the biggest characteristics. Here one has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matters: viewpoint to look at spac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mage; and transformation of space.
      From Duane Michals' THINGS ARE QUEER』, four different themes, (1) frame (2)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secutive story (3) interference element (4) transition of space, were analyzed. This thesis endeavored to experiment the themes in the design and the principles of space and to finally suggest the transformation of space and ti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