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아 환자의 진정을 위한 chloral hydrate의 효과 = Ef fect of Chloral Hydrate Used for Pediatric Sed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7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소아에게 검사나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진정이 필요하다. Chloral hydrate는 소아의 진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이나 때로 그 진정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다. Chloral hydr...

      목 적 : 소아에게 검사나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진정이 필요하다. Chloral hydrate는 소아의 진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이나 때로 그 진정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다. Chloral hydrate의 진정 효과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아 이 에 chloral hydrate의 효과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소아에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정 방법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 입원 환아 중 chloral hydrate를 사용하였던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나이, 성별, 체중, 진단명, 신경계 질환의 유무, 경련의 유무, 발달 지연의 유무, 시행한 검사, chloral hydrate의 용량, 초기 반응, 지연 반응 등을 조사하였다. 진정 효과는 투여 30분 후 Skeie scale 상 3점 미만인 경우 진정 실패로 간주하였다. 진정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midazolam, diazepam, ketamine 혹은 phenobarbital등을 단독 혹은 병용하여 추가로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의 연령은 평균 27개월(16일-14세 1개월) 이었다. 324명중 chloral hydrate에 의한 진정이 실패한 환아는 107명(33.0%) 이었다. 신경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아 161명중 77명이 실패하여 47.8%에 해당되었다. 발달 지연, 경련, 발달 지연과 경련이 동시에 있는 경우의 진정 실패는 56.8%(25/44), 50.0%(58/116), 64.7%(22/34)이었다. Chloral hydrate에 반응하지 않아 midazolam 등의 추가 진정약물을 병용한 환아는 101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14명(13.9%)이 진정에 실패하였다.
      결 론 : 발달 지연, 경련 발작 등의 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아에서는 chloral hydrate에 의한 진정이 힘들고 과도한 용량으로 인한 부작용을 보이기 쉬워 chloral hydrate 에 진정 작용을 보이지 않는 환아들에 있어서, 반복하여 동일 제제를 사용하기보다는 midazolam 등의 약제를 고려해 보아야 하며, 이들 약제에도 진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효과적인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pose : Sedation is often needed to perform an imaging study or procedure on a child. Although chloral hydrate is the most commonly used drug for pediatric sedation, little data are available for its efficacy or adverse effects. This study was under...

      Propose : Sedation is often needed to perform an imaging study or procedure on a child. Although chloral hydrate is the most commonly used drug for pediatric sedation, little data are available for its efficacy or adverse effec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hloral hydrate for sedation and define any problems for using this agent in children.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324 infants and children, who were admitted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ge, sex, body weight, underlying diagnosis, performed procedure, dose of chloral hydrate, initial response, delayed response and other additional agents for sedation were reviewed. If the desired level(3 on the Skeie scale) was not reached within 30 min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rugs, sedation was considered as potentially failed.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group was 27 months. Among 324 patients, 107 (33.0%) failed for chloral hydrate sedation. 77(47.8%) of the neurologically impaired 161 patients and 30(18.4%) of the unimpaired 163 patients failed on sedation with chloral hydrate. Among neurologically impaired cases, who had either developmental delay or seizures or both of them, 56.8%(25/44), 50.0%(58/116) and 64.7%(22/34) in each category respectively failed on sedation with chloral hydrate.
      Conculsion : In neurologically impaired patients, sedation by chloral hydrate was so difficult and prone to have adverse effects that it is recommended to supplement another drug than to administer the same drug again. However, further studies on effective methods of sedation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결론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