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English)을 개략적인 검토를 통해 교육과정 내에서 매체 언어 교육은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고, 매체 언어 교육을 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8729
2009년
Korean
매체 언어 교육 ; 미디어 교육 ; 호주의 매체 언어 교육 ; 호주의 자국어 교육 ; 호주의 교육과정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English)을 개략적인 검토를 통해 교육과정 내에서 매체 언어 교육은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고, 매체 언어 교육을 실...
이 연구는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English)을 개략적인 검토를 통해 교육과정 내에서 매체 언어 교육은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고, 매체 언어 교육을 실현함에 있어서 학습 영역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교육 체제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거의 절대적인 문서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비해 호주에서의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그러한 성격이 전혀 없지는 않으나 각 주별 교육과정의 설정을 위한 큰 틀로서의 역할이 강하다. 호주 연방 정부가 제시한 틀 안에 각 주(state) 교육부는 나름의 교육 내용을 설정하고 교육 방법과 전략을 모색한다. 이러한 자율성과 유동성은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과 교육 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와 검토를 실시하고 있다.
영어가 모국어인 호주는 일찍부터 모국어 교육에서 매체 언어에 대한 사회문화적·교육적 인식의 필요성을 느끼고 진행해 왔다. 이것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그대로 반영이 되었으며, 각 주별 교육과정 수립에 영향을 미쳤고,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모국어 교육과정에서 매체 언어 교육을 수용하고 있는 나라는 호주, 캐나다, 영국 등 몇 개 나라가 있지만, 그 중 호주는 그간의 많은 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매체 언어 교육 체제를 갖추고 있는 나라이다.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은 각 주별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큰 틀은 호주 교육 위원회(Australian Education Council)에서 제안한 “호주의 영어 교육과정(A statement on English for Australian schools, 1994)”에 근간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도 호주 연방 정부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각 주별 교육과정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호주 교육 위원회(Australian Education Council)에서 제시한 영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의 체계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학습 영역으로서 영어 교육(English as an area of learning)에 대한 개괄적 내용으로, 영어 교육과정의 목표, 문식성(literacy)의 개념, 영국이나 미국과 구별되는 호주 영어의 기준, 영어 학습의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두 번째 부분은 학습 영역에 대한 내용으로, 영어 교육에서 사용되는 텍스트의 영역과 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언어 교육 영역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세 번째 부분은 성취 수준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데, 성취 수준을 수준 A(Band A)부터 수준 D(Band D)까지 구분하여 학생들이 앞서 두 번째 부분에서 제시한 텍스트와 언어 영역별로 도달해야 할 목표점을 나타내 주고 있다.
호주 역시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미디어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은 텍스트 영역의 구분만 보아도 알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텍스트의 갈래를 장르에 따라 문학, 매체, 실용문으로 구분하고 있지만, 프로파일에는 텍스트의 형식에 대해서도 문자 언어, 음성 언어, 시각 언어로 구분지어 언급하고 있다. 그만큼 미디어를 통해 소통되는 언어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매체 텍스트는 맥락 이해, 언어 구조와 특징, 전략의 범주로 나뉘어 학습 목표와 내용이 각각 제시되어 있다.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한 학습 영역 구분도 주(state)별로 다른 양상을 띠는데, 주로 이해 과정으로서 ‘보기’와 표현 과정으로서의 ‘쓰기’ 영역 설정이 일반적이다.
매체 언어를 둘러싼 언어 환경의 변화가 우리나라가 교육과정 개정의 하나의 배경이 될 정도로 매체 언어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호주의 자국어 교육과정 속에서 매체 언어 교육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나라 매체 언어 교육의 발전과 개선을 위해 큰 의미가 있었다.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연계 교육 방안 연구 1. 서론 2. 미디어 교육의 원리 2.1. 교수-학습 내용에 관한 원리 2.2.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원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연계 교육 방안 연구
1. 서론
2. 미디어 교육의 원리
2.1. 교수-학습 내용에 관한 원리
2.2.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원리
3. 가정과 학교의 미디어 연계 교육 방안
3.1. 교수-학습 내용에 관한 방안
3.2. 교수-학습 환경에 관한 방안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