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 from P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7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their discharge fromprison and such a study on the social adaption is critical for preventing secondconviction after inmates’ discharge from prison and for ensuring that they canbecome viable members of their respective socie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targeting six inmates who are confined to the XX Prison located in GyeonggiProvince by administering in-depth interviews. To carry out analysis of thequalitative contents, inmates’ experience with crim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family members, their experience in the prison, and the set of supports needed forsocial adaptation were analyzed in-depth.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inmates face hardship during the time of confinement due to the severance of theties with the outside environment and their family relations. Some of themexperience family dismantling. This severance with their family and theenvironment negatively affect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 fromprison.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support system after the discharge, and it isvery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serves as the link to the outside environment.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inmates participate in religious programs whileconfined while not man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at exert significantinfluence on their social adaption such as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 Moreover,inmates fear social stigma,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y and the challenge of having to maintain their work life after getting discharged. Accordingly, this studycapitaliz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socialservices and policies to ensure effectiv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from prison. Moreover,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adopt corrective socialwelfare worker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set of services to ensure inmates’adaptation in the prison and after their discharge to prevent dismantling ofinmates’ families and to develop programs in the prisons to help maintain sense ofaffinity with family members, counseling program so that the inmates can sustainlink with the outside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
      번역하기

      This study i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their discharge fromprison and such a study on the social adaption is critical for preventing secondconviction after inmates’ discharge from prison and for ensuring that they canbecome viable m...

      This study i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their discharge fromprison and such a study on the social adaption is critical for preventing secondconviction after inmates’ discharge from prison and for ensuring that they canbecome viable members of their respective socie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targeting six inmates who are confined to the XX Prison located in GyeonggiProvince by administering in-depth interviews. To carry out analysis of thequalitative contents, inmates’ experience with crim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family members, their experience in the prison, and the set of supports needed forsocial adaptation were analyzed in-depth.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inmates face hardship during the time of confinement due to the severance of theties with the outside environment and their family relations. Some of themexperience family dismantling. This severance with their family and theenvironment negatively affect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 fromprison. Family is the most important support system after the discharge, and it isvery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serves as the link to the outside environment.
      There are many instances in which inmates participate in religious programs whileconfined while not man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at exert significantinfluence on their social adaption such as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 Moreover,inmates fear social stigma,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y and the challenge of having to maintain their work life after getting discharged. Accordingly, this studycapitaliz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socialservices and policies to ensure effective social adaptation of inmates after dischargefrom prison. Moreover,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to adopt corrective socialwelfare worker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set of services to ensure inmates’adaptation in the prison and after their discharge to prevent dismantling ofinmates’ families and to develop programs in the prisons to help maintain sense ofaffinity with family members, counseling program so that the inmates can sustainlink with the outside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training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이며, 수형자가 출소 후 사회로 복귀하여 재범을 막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기 위해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OO교도소에 수감 중인 6명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수형자의범죄 경험, 가족과의 관계, 교도소에서의 경험, 사회적응을 위해 필요한 지원 등을심도있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형자들은 수감 기간 동안 외부 환경과의 단절과가족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족 해체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러한가족 및 환경과의 단절은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된다. 가족은 수형자가 출소 후에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이며, 외부 환경과의 연결고리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수형자들은 수감 중 주로 종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직업훈련과 같은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참여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 서비스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수형자들의 가족 해체를 방지하고, 가족과의 유대감을 유지할 수 있는 교도소 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이들이 외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 직업 관련 프로그램, 그리고 수형자의 교도소내 적응과 출소 후 사회적응에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사의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이며, 수형자가 출소 후 사회로 복귀하여 재범을 막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기 위해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

      본 연구는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이며, 수형자가 출소 후 사회로 복귀하여 재범을 막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기 위해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OO교도소에 수감 중인 6명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수형자의범죄 경험, 가족과의 관계, 교도소에서의 경험, 사회적응을 위해 필요한 지원 등을심도있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형자들은 수감 기간 동안 외부 환경과의 단절과가족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족 해체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러한가족 및 환경과의 단절은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된다. 가족은 수형자가 출소 후에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이며, 외부 환경과의 연결고리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수형자들은 수감 중 주로 종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직업훈련과 같은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 참여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수형자의 출소 후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 서비스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수형자들의 가족 해체를 방지하고, 가족과의 유대감을 유지할 수 있는 교도소 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이들이 외부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 직업 관련 프로그램, 그리고 수형자의 교도소내 적응과 출소 후 사회적응에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사의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 캐나다"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 영국"

      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4 연성진, "처벌의 범죄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5 서혜석, "집단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특성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10) : 2008

      6 나동석,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9

      7 손연숙, "재소자 교화를 위한 차 치료 프로그램의 이론적 예비 연구" 경찰학연구소 8 (8): 305-328, 2013

      8 이현희,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 형벌과 사회적 결속" 한국교정학회 24 : 97-122, 2004

      9 이원복, "재범방지를 위한 범죄자처우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 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10 지성한, "원예치료가 재소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5 (15): 441-447, 2012

      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 캐나다"

      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해외 갱생보호제도 조사보고: 영국"

      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4 연성진, "처벌의 범죄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5 서혜석, "집단프로그램이 교도소 수형자의 특성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10) : 2008

      6 나동석,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9

      7 손연숙, "재소자 교화를 위한 차 치료 프로그램의 이론적 예비 연구" 경찰학연구소 8 (8): 305-328, 2013

      8 이현희,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 형벌과 사회적 결속" 한국교정학회 24 : 97-122, 2004

      9 이원복, "재범방지를 위한 범죄자처우의 과학화에 관한 연구 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10 지성한, "원예치료가 재소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5 (15): 441-447, 2012

      11 최영신,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 지원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97-1018, 2009

      12 박여울, "영화를 이용한 집단치료가 여성 재소자들의 스트레스 반응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7 (7): 105-124, 2011

      13 배다현, "여성 재소자들의 정신건강 상태와 정신건강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479-497, 2008

      14 이명선, "심폐소생술금지와관련된병원간호사들의경험" 한국간호과학회 38 (38): 298-309, 2008

      15 홍성열, "수형자의 교도소 생활에 대한 적응" 한국교정학회 35 : 99-115, 2007

      16 법무부 교정본부, "수형자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연구를 위한 노르웨이 교정기관 방문 보고서" 2011

      17 전석환, "수용자 처우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고찰 - 구조변화의 의미를 중심으로 -" 경찰학연구소 5 (5): 375-398, 2010

      18 배임호, "교정시설 내 종교프로그램이 재소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41 : 115-140, 2008

      19 박영숙, "교정복지론" 학현사 2009

      20 홍봉선, "교정복지론" 학현사 2004

      21 홍영오, "강력범죄의 재범률 및 재범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22 최인섭, "강력범죄에 대한 선고형량이 재범방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

      23 Petersilia, J., "When prisoners come home:parole and prisoner reent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24 Lazarus, R. S., "The riddle of man" Prentice-Hall 1974

      25 Visher, C., "Research Brief: Life after Prison-Tracking the Experiences of Male Prisoners Returning to Chicago, Cleveland, and Houston" Urban Institute Justice Policy Center 2010

      26 Maltz. M. D, "Recidivism"

      27 Johnson, B. R., "More God, Less Crime: why faith matters and how it could matter more" Templeton Press 2011

      28 Visher, C., "Life after Prison: Tracking the Experiences of Male Prisoners Returning to Chicago, Cleveland, and Houston" Urban Institute publications 2010

      29 Kelly, J., "Criminal Justice Social Work in The Unitied States: Adapting to New Challenges"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10

      30 "Bureau of Justi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