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제된 다양성: 베트남의 소수 민족과 민족학 박물관 = Controlled Diversity: Ethnic Minority in Vietnam and the Vietnam Museum of Ethnology (V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5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베트남은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가이며, 1979년 베트남 정부에 의해 54개의 민족분류가 공식화되었다. 베트남 전체의 인구의 88%를 차지하는 비엣족(낀족)에 비해, 나머지 53개의 소수민족들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차별과 견제를 받아왔다. 베트남 정부의 공식적인 정책의 기조에 따르면, 54개 민족은 한 가족과 같아서, 다양한 문화가 서로 어우러지며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베트남의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본고에서 살펴보는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에서 보이는 54개 민족에 대한 전시 역시 이러한 담론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각 민족의 문화, 역사, 전통의 특징이 외연상 대등한 형태로 관람객에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박물관에서의 전시를 통한 재현은 베트남 소수민족들이 경제적, 정치적으로 겪어온 역사적 경험과 현재 처해있는 열악한 상황에 대한 맥락적 고려가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의와 타의로 여러 차원의 변화를 겪고 있는 소수민족들을 전통의 보호라는 명목 하에 박제화된 형태로 통제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진정한 다문화의 존중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번역하기

      베트남은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가이며, 1979년 베트남 정부에 의해 54개의 민족분류가 공식화되었다. 베트남 전체의 인구의 88%를 차지하는 비엣족(낀족)에 비해, 나머지 53개의 소수민...

      베트남은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국가이며, 1979년 베트남 정부에 의해 54개의 민족분류가 공식화되었다. 베트남 전체의 인구의 88%를 차지하는 비엣족(낀족)에 비해, 나머지 53개의 소수민족들은 사회적, 경제적으로 차별과 견제를 받아왔다. 베트남 정부의 공식적인 정책의 기조에 따르면, 54개 민족은 한 가족과 같아서, 다양한 문화가 서로 어우러지며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베트남의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본고에서 살펴보는 베트남 민족학 박물관에서 보이는 54개 민족에 대한 전시 역시 이러한 담론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각 민족의 문화, 역사, 전통의 특징이 외연상 대등한 형태로 관람객에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박물관에서의 전시를 통한 재현은 베트남 소수민족들이 경제적, 정치적으로 겪어온 역사적 경험과 현재 처해있는 열악한 상황에 대한 맥락적 고려가 부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의와 타의로 여러 차원의 변화를 겪고 있는 소수민족들을 전통의 보호라는 명목 하에 박제화된 형태로 통제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진정한 다문화의 존중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ietnam is a country that consists of multiple ethnicities. In 1979, the Vietnamese government officialized that it had fifty-four ethnic groups within its territorial boundary. The majority is the Viet (Kihn) ethnicity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eighty-eight percentage of the entire population of Vietnam, while the other fifty-three groups are considered as ethnic minorities of Vietnam. Fifty-three ethnic minorities have faced discrimination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official policy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is based on a discourse that all fifty-four ethnic groups of
      Vietnam form a family, with respective cultures of each group exist in harmony based on which the Vietnamese identity is established. Exhibits at the Vietnam Museum of Ethnology (VME) in Hanoi is based on this dominant discourse, portraying the ethnic groups as having equally distinct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ir own. However, the exhibits and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minorities at the VME obscure their painful history of oppression and current dire circumstances of economic disadvantages and social discriminations.
      번역하기

      Vietnam is a country that consists of multiple ethnicities. In 1979, the Vietnamese government officialized that it had fifty-four ethnic groups within its territorial boundary. The majority is the Viet (Kihn) ethnicity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

      Vietnam is a country that consists of multiple ethnicities. In 1979, the Vietnamese government officialized that it had fifty-four ethnic groups within its territorial boundary. The majority is the Viet (Kihn) ethnicity which accounts for approximately eighty-eight percentage of the entire population of Vietnam, while the other fifty-three groups are considered as ethnic minorities of Vietnam. Fifty-three ethnic minorities have faced discrimination economically and socially. The official policy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is based on a discourse that all fifty-four ethnic groups of
      Vietnam form a family, with respective cultures of each group exist in harmony based on which the Vietnamese identity is established. Exhibits at the Vietnam Museum of Ethnology (VME) in Hanoi is based on this dominant discourse, portraying the ethnic groups as having equally distinct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ir own. However, the exhibits and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minorities at the VME obscure their painful history of oppression and current dire circumstances of economic disadvantages and social discrimin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베트남의 민족집단
      • Ⅲ. 기념과 기억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
      • Ⅳ. 맺으며: 다민족의 재현과 박물관
      • Ⅰ. 들어가며
      • Ⅱ. 베트남의 민족집단
      • Ⅲ. 기념과 기억의 공간으로서의 박물관
      • Ⅳ. 맺으며: 다민족의 재현과 박물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림, "베트남의 소수종족과 국가 : 종족분류체계 및 종족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역사문화학회 15 (15): 527-567, 2012

      2 당응이엠 반, "베트남의 소수민족" 민속원 2013

      3 박소현, "박물관의 윤리적 미래 -박물관 행동주의(museum activism)의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박물관학회 (33) : 13-40, 2017

      4 최호림, "동남아시아의 박물관: 국가 표상과 기억의 문화정치" 이매진 2011

      5 Bennett, Tony, "The Birth of the Museum: History, Theory, Politics" Routledge 1995

      6 Ames, Michael, "Cannibal Tours and Glass Boxes: The Anthropology of Museum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95

      1 최호림, "베트남의 소수종족과 국가 : 종족분류체계 및 종족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역사문화학회 15 (15): 527-567, 2012

      2 당응이엠 반, "베트남의 소수민족" 민속원 2013

      3 박소현, "박물관의 윤리적 미래 -박물관 행동주의(museum activism)의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박물관학회 (33) : 13-40, 2017

      4 최호림, "동남아시아의 박물관: 국가 표상과 기억의 문화정치" 이매진 2011

      5 Bennett, Tony, "The Birth of the Museum: History, Theory, Politics" Routledge 1995

      6 Ames, Michael, "Cannibal Tours and Glass Boxes: The Anthropology of Museum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