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그리드 서비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 프레임워크 =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 on Grid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95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그리드 서비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자원관리는 그리드 서비스의 핵심이며, 자원의 가변적 특성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GridRMF(Grid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를 모델링하고 개발한다. GridRMF는 그리드 자원의 참여 의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관리한다. 계층적 자원 관리는 가상 조직 관리를 위한 VMS(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와 메타데이타 관리를 위한 RMS(Resource Management System)로 관리 도메인을 구분한다. VMS는 최적 가상 조직 선택 전략에 의해 자원을 중개하며, LRM(Local Resource Manager) 자동 회복 전략에 의해 가상 조직의 결함에 대처한다. RMS는 자원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적응적 성능 기반 작업 할당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부하균등화와 결함에 대처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그리드 서비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자원관리는 그리드 서비스의 핵심이며, 자원의 가변적 특성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본 논문은 그리드 서비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자원관리는 그리드 서비스의 핵심이며, 자원의 가변적 특성에 적응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GridRMF(Grid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를 모델링하고 개발한다. GridRMF는 그리드 자원의 참여 의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관리한다. 계층적 자원 관리는 가상 조직 관리를 위한 VMS(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와 메타데이타 관리를 위한 RMS(Resource Management System)로 관리 도메인을 구분한다. VMS는 최적 가상 조직 선택 전략에 의해 자원을 중개하며, LRM(Local Resource Manager) 자동 회복 전략에 의해 가상 조직의 결함에 대처한다. RMS는 자원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적응적 성능 기반 작업 할당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부하균등화와 결함에 대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velops a framework for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grid service environment. Resource management is the core element of the grid service; therefore, GridRMF(Grid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 is modeled and developed in order to respond to such variabl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as accordingly as possible. GridRMF uses the participation level of grid resource as a basis of its hierarchical management. This hierarchical management divides managing domains into two parts: VMS(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for 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and RMS(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metadata management. VMS mediates resources according to optimal virtual organization selection mechanism, and responds to malfunctions of the virtual organization by LRM(Local Resource Manager) automatic recovery mechanism. RMS, on the other hand, responds to load balance and fault by applying resource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into adaptive performance-based task allocation algorithm.
      번역하기

      This paper develops a framework for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grid service environment. Resource management is the core element of the grid service; therefore, GridRMF(Grid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 is modeled and developed in orde...

      This paper develops a framework for efficient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grid service environment. Resource management is the core element of the grid service; therefore, GridRMF(Grid Resource Management Framework) is modeled and developed in order to respond to such variabl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as accordingly as possible. GridRMF uses the participation level of grid resource as a basis of its hierarchical management. This hierarchical management divides managing domains into two parts: VMS(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for virtual organization management and RMS(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metadata management. VMS mediates resources according to optimal virtual organization selection mechanism, and responds to malfunctions of the virtual organization by LRM(Local Resource Manager) automatic recovery mechanism. RMS, on the other hand, responds to load balance and fault by applying resource status monitoring information into adaptive performance-based task allocation algorith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3. 그리드 자원 관리 프레임워크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관련연구
      • 3. 그리드 자원 관리 프레임워크
      • 4. 그리드 자원 관리 프레임워크의 적용 및 수행 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 W. Knop, "Windows performance monitoring and data reduction using watchtower and argus" Technical Report NWU-CS-01-6,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2001

      2 Steve J. Chapin, "The Leg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62-178, 1999

      3 I. Foster, "The Grid: Blueprint for a Future Computing Infrastructure" Morgan Kaufmann Publishers 1999

      4 I. Foster, "The Anatomy of the Grid: Enabling Scalable Virtual Organizations" 15 (15): 200-222, 2001

      5 Young-Sik Jeong, "Realtime Monitoring for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based on Internet" High Performance Computing for Computational Science 857-862, 2004

      6 Microsoft Corporation, "Performance Data Helper Library"

      7 Henri Casanova, "NetSolve: A Network Server for Solving Computational Science Problems" 11 (11): 21-223, 1997

      8 Sun Microsystems, "Inc, Overview of the JNI(Java Native Interface)"

      9 I. Foster, "Globus: A Metacomputing Infrastructure Toolkit" 11 (11): 115-128, 1997

      10 Young-Sik Jeong, "Dynamic and Adaptive Parallel Task Processing on GRID Service Architecture" PDCN 270-275, 2005

      1 M. W. Knop, "Windows performance monitoring and data reduction using watchtower and argus" Technical Report NWU-CS-01-6,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2001

      2 Steve J. Chapin, "The Leg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62-178, 1999

      3 I. Foster, "The Grid: Blueprint for a Future Computing Infrastructure" Morgan Kaufmann Publishers 1999

      4 I. Foster, "The Anatomy of the Grid: Enabling Scalable Virtual Organizations" 15 (15): 200-222, 2001

      5 Young-Sik Jeong, "Realtime Monitoring for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based on Internet" High Performance Computing for Computational Science 857-862, 2004

      6 Microsoft Corporation, "Performance Data Helper Library"

      7 Henri Casanova, "NetSolve: A Network Server for Solving Computational Science Problems" 11 (11): 21-223, 1997

      8 Sun Microsystems, "Inc, Overview of the JNI(Java Native Interface)"

      9 I. Foster, "Globus: A Metacomputing Infrastructure Toolkit" 11 (11): 115-128, 1997

      10 Young-Sik Jeong, "Dynamic and Adaptive Parallel Task Processing on GRID Service Architecture" PDCN 270-275, 2005

      11 Domingues, P., "DRMonitor - A Distributed Resource Monitoring System" 127-133, 2003

      12 Rajkumar Buyya, "Architectural Models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Grid" 20-33, 2000

      13 R. Buyya, "Architectural Models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Grid"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8-34, 2000

      14 Haban, D., "Application of real-time monitoring to scheduling tasks with random execution times" 16 : 1374-1389, 1990

      15 Haban, D., "Application of real-time monitoring to scheduling tasks with random execution times" 16 : 1374-1389, 2000

      16 A. Waheed, "An Infrastructure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in Computational Grid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35-245, 2000

      17 Roger T. Stevens, "Advanced Fractal Programming in C" M&T Books 117-123,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9-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3-04-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