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이냐 윤리냐 = Technique or Morality : The Kim Kyunglin’s Poetry and Essay on Poetry in the first half years of 194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7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좁게는 일제 말기 김경린의 시와 시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고, 넓게는 이를 통해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과 나아가 전후 세대의 기층에 놓인 식민지 체험이 가진 의미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김경린은 일제 말기에 조선어와 일본어 습작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나 조선어문학의 가능성이 봉쇄되자 일본어로 문학 활동을 전개한다. 그는 국제적인 모더니즘 운동 가운데 놓여 있던 VOU에 가입하여 국제성, 실험성, 시각적 조형성이라는 모더니즘의 핵심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는 시에서 사상과 윤리를 제거하고 언어의 기술적 측면에 천착하는 운동이었다. 그러나 김경린이 VOU에 가입할 시기는 일본 모더니즘이 전향을 도모하던 시기였고 그 종점에는 모더니즘을 포기한, 전통적 노래에 근거한 서정시인 향토시가 놓여 있었다.
      실험적인 시를 쓰던 김경린은 이러한 모더니즘의 국가주의적 전향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조선에 돌아와서도 사상(윤리)과 기술의 이분법을 제시하며 시가 후자에 속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민문학’ 하에서 모더니즘은 전통과 노래(소리)에 입각한 국민시와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었기에 집중적인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가운데 김경린은 초기의 실험시에서 후퇴하여 기술에서 사상으로 옮겨가고 마침내는 향토시를 씀으로써 모더니즘으로부터 멀어진다.
      해방 이후의 김경린은 전향 이전의 모더니즘으로 돌아가 다시 시의 실험성, 국제성, 시각적 조형성을 주된 가치로 내세운다. 이는 국가주의로 전향한 일본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이자 자기비판이기도 했다. 그에게 일본어 창작활동은 자산이자 동시에 부채이기도 했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좁게는 일제 말기 김경린의 시와 시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고, 넓게는 이를 통해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과 나아가 전후 세대의 기층에 놓인 식민지 체험이 가진 의미...

      이 글은 좁게는 일제 말기 김경린의 시와 시론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고, 넓게는 이를 통해 전후 모더니즘의 특성과 나아가 전후 세대의 기층에 놓인 식민지 체험이 가진 의미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김경린은 일제 말기에 조선어와 일본어 습작을 동시에 진행하였으나 조선어문학의 가능성이 봉쇄되자 일본어로 문학 활동을 전개한다. 그는 국제적인 모더니즘 운동 가운데 놓여 있던 VOU에 가입하여 국제성, 실험성, 시각적 조형성이라는 모더니즘의 핵심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는 시에서 사상과 윤리를 제거하고 언어의 기술적 측면에 천착하는 운동이었다. 그러나 김경린이 VOU에 가입할 시기는 일본 모더니즘이 전향을 도모하던 시기였고 그 종점에는 모더니즘을 포기한, 전통적 노래에 근거한 서정시인 향토시가 놓여 있었다.
      실험적인 시를 쓰던 김경린은 이러한 모더니즘의 국가주의적 전향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조선에 돌아와서도 사상(윤리)과 기술의 이분법을 제시하며 시가 후자에 속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민문학’ 하에서 모더니즘은 전통과 노래(소리)에 입각한 국민시와는 가장 거리가 먼 것이었기에 집중적인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가운데 김경린은 초기의 실험시에서 후퇴하여 기술에서 사상으로 옮겨가고 마침내는 향토시를 씀으로써 모더니즘으로부터 멀어진다.
      해방 이후의 김경린은 전향 이전의 모더니즘으로 돌아가 다시 시의 실험성, 국제성, 시각적 조형성을 주된 가치로 내세운다. 이는 국가주의로 전향한 일본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이자 자기비판이기도 했다. 그에게 일본어 창작활동은 자산이자 동시에 부채이기도 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Kim Kyunglin’s poem and poetics written by Japanes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stwar modernism and the meaning of colony experience laid in the mentality of postwar generation.
      In Japan Kim joined VOU, the club of modernist movement which was in the midst of global modernist movement. He wrote experimental, international and visually formative poem by the influence of VOU. He tried to remove ideology and morality from poem and focus on linguistic technique in writing. But Japan modernist movement including VOU was at the point of turning to nationalism and lyricism based on the Japanese traditional poem.
      But Kim could not accept the turn of modernism entirely. After the return to Korea, he continuously insisted the dichotomy of technique and ideology(morality) and advocated the priority of the former in modernist poem. But this insistence did not go with the national poem movement which was the majority in Korea and based on traditional poem. Finally he abandoned the modernism and retreated to lyric poem which depicts the hometown. In post colony era he criticized the turn of modernism and returned to authentic modernism movement which advocate the priority of technique. Colony experience was assets and liabilities for his post-colonial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examine Kim Kyunglin’s poem and poetics written by Japanes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stwar modernism and the meaning of colony experience laid in the mentality of p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Kim Kyunglin’s poem and poetics written by Japanes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stwar modernism and the meaning of colony experience laid in the mentality of postwar generation.
      In Japan Kim joined VOU, the club of modernist movement which was in the midst of global modernist movement. He wrote experimental, international and visually formative poem by the influence of VOU. He tried to remove ideology and morality from poem and focus on linguistic technique in writing. But Japan modernist movement including VOU was at the point of turning to nationalism and lyricism based on the Japanese traditional poem.
      But Kim could not accept the turn of modernism entirely. After the return to Korea, he continuously insisted the dichotomy of technique and ideology(morality) and advocated the priority of the former in modernist poem. But this insistence did not go with the national poem movement which was the majority in Korea and based on traditional poem. Finally he abandoned the modernism and retreated to lyric poem which depicts the hometown. In post colony era he criticized the turn of modernism and returned to authentic modernism movement which advocate the priority of technique. Colony experience was assets and liabilities for his post-colonial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해방 전후(前後) 문학의 연속성과 ‘전후(戰後) 세대’
      • 2. VOU 동인 김경린의 시와 시론
      • 3. ‘국민문학’ 하에서의 김경린의 시와 시론
      • 4. 다시 기술로 - 해방 이후의 자기비판
      • 국문초록
      • 1. 해방 전후(前後) 문학의 연속성과 ‘전후(戰後) 세대’
      • 2. VOU 동인 김경린의 시와 시론
      • 3. ‘국민문학’ 하에서의 김경린의 시와 시론
      • 4. 다시 기술로 - 해방 이후의 자기비판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