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 =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Hydro-seral Stages in the East Coastal Lagoons,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3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석호의 건륙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석호습지의 수생천이계열은 수체의 특성, 침수식생, 정수식생 및 발달한 목본층의 수고와 수직적인 층 구조의 발달 등을 고려하여, 노출수면 단계로부터 교목림 단계까지 7단계로 구분하였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수질은 해수성으로부터 기수성으로 그리고 담수성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천이진행에 따라 수심이 점차 얕아져 수체가 사라졌고, 후기 단계에서 토양층내 유기물함량과 낙엽층이 발달하였다. 천이진행에 따라 식생변화는 노출수면 → 침수식물과 부엽식물 → 정수식물과 침수식물 → 정수식물 → 정수식물과 중생식물, 관목식생 → 교목성 중생식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목본이 출현하는 천이 후기 단계에서는 토양기질의 배수성과 양분의 상태에 다라 서로 다른 유형의 목본식생이 발달하였다. 기질이 습하게 유지되는 지역에는 버드나무계열의 군집이, 토양이 모래로 이루어 있고 배수성이 양호한 입지에는 곰솔, 좀보리사초 등의 중생식물과 사구성식물로 이루어진 군락이, 인위적 매립과 산림지역 토사의 매립으로 이루어진 지역에는 소나무, 아까시나무, 김의털, 강아지풀 등과 같은 인간에 의해 식재된 목본, 교란지 식물로 구성된 식물 군락이 발달하였다.
      번역하기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석호의 건륙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석호습지의 수생천이계열은 수체의 특성, 침수식생, 정수...

      동해안에 분포하고 있는 석호의 건륙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환경요인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석호습지의 수생천이계열은 수체의 특성, 침수식생, 정수식생 및 발달한 목본층의 수고와 수직적인 층 구조의 발달 등을 고려하여, 노출수면 단계로부터 교목림 단계까지 7단계로 구분하였다.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수질은 해수성으로부터 기수성으로 그리고 담수성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천이진행에 따라 수심이 점차 얕아져 수체가 사라졌고, 후기 단계에서 토양층내 유기물함량과 낙엽층이 발달하였다. 천이진행에 따라 식생변화는 노출수면 → 침수식물과 부엽식물 → 정수식물과 침수식물 → 정수식물 → 정수식물과 중생식물, 관목식생 → 교목성 중생식물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목본이 출현하는 천이 후기 단계에서는 토양기질의 배수성과 양분의 상태에 다라 서로 다른 유형의 목본식생이 발달하였다. 기질이 습하게 유지되는 지역에는 버드나무계열의 군집이, 토양이 모래로 이루어 있고 배수성이 양호한 입지에는 곰솔, 좀보리사초 등의 중생식물과 사구성식물로 이루어진 군락이, 인위적 매립과 산림지역 토사의 매립으로 이루어진 지역에는 소나무, 아까시나무, 김의털, 강아지풀 등과 같은 인간에 의해 식재된 목본, 교란지 식물로 구성된 식물 군락이 발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천이단계의 구분 기준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2.1 천이단계의 구분 기준
      • 2.2 조사지점의 선정
      • 2.3 식생조사
      • 2.4 입지 환경요인의 측정
      • 2.5 통계분석
      • 3. 결과
      • 3.1 입지환경의 변화
      • 3.2식생구조의 발달
      • 3.3 군집속성의 변화
      • 3.4 종조성의 변화
      • 3.5 건생천이 계열과 수생천이 계열의 분화
      • 4. 논의 감사의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홍, "호소생물의 생태학" 북스힐 2002

      2 김준호, "현대생태학" 교문사 434-, 2007

      3 민병미, "해안염습지 갈대군락의 무기영양소 순환과 분배" 26 : 17-32, 1983

      4 김철수, "합천 박실늪의 교란된 습지에서 식생의 회복 과정" 7 : 1-17, 1999

      5 이민부,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449-460, 2006

      6 박인협,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군락의 물질생산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78 : 323-330, 1989

      7 마호섭, "하상 퇴적지의 식생 침입과 안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낙동강칠서면 삼각주를 중심으로-" 6 : 29-38, 1996

      8 김태근,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의 군집구조와 1차 생산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박인협, "백운산지역 천연군락생태계의 삼리군락구조 및 물질생산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5

      10 김철수, "박실늪의 퇴적과 교란에 따른 수생 및습생관속식물의 군집 동태와 생산성" 경상대학교대학원 2000

      1 김종홍, "호소생물의 생태학" 북스힐 2002

      2 김준호, "현대생태학" 교문사 434-, 2007

      3 민병미, "해안염습지 갈대군락의 무기영양소 순환과 분배" 26 : 17-32, 1983

      4 김철수, "합천 박실늪의 교란된 습지에서 식생의 회복 과정" 7 : 1-17, 1999

      5 이민부,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449-460, 2006

      6 박인협, "한국산 4개 지역형 소나무 천연군락의 물질생산량 추정식에 관한 연구" 78 : 323-330, 1989

      7 마호섭, "하상 퇴적지의 식생 침입과 안정화 과정에 관한 연구-낙동강칠서면 삼각주를 중심으로-" 6 : 29-38, 1996

      8 김태근, "우포늪 지역에서 버드나무류의 군집구조와 1차 생산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9 박인협, "백운산지역 천연군락생태계의 삼리군락구조 및 물질생산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85

      10 김철수, "박실늪의 퇴적과 교란에 따른 수생 및습생관속식물의 군집 동태와 생산성" 경상대학교대학원 2000

      11 이창석, "묵논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 10 : 29-43, 1998

      12 이점숙,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염습지의 조위구배에 따른 염생식물의 정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0

      13 유흥식, "동해안 호수와 그 유역의 경관변화-경포호와 영랑호를 중심으로-" 강릉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9-16, 1996

      14 문덕수, "동해안 석호의 수질 특성" 2007

      15 엄정훈,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매호를 사례로-" 6 : 95-110, 1998

      16 허우명, "동해안 석호의 부영양화 평가" 32 : 141-151, 1999

      17 김혜영, "동해안 석호에서 수생천이계열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와 18개 석호의 건육화 상태평가"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09

      18 원주지방환경관리청, "동해안 석호 수질개선대책" 원주지방환경관리청 1997

      19 원주지방환경관리청, "동해안 석호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II)"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009a

      20 원주지방환경관리청, "동해안 석호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I)" 원주지방환경관리청 2008

      21 김일회, "동해안 기수호 동물상의 특징" 27-38, 1996

      22 이충영, "남강댐 상류 하중도의 초기 천이에 따른 식생 구조와 토양의 성질" 경상대학교 대학원 1991

      23 문형태, "낙동강 하구의 식생 천이에 관한 연구" 1984

      24 신승춘, "기수호의 습성천이 現狀과 생태적 복원정책" 한국환경과학회 13 (13): 11-17, 2004

      25 박상덕, "경포호의 변천" 50 : 52-56, 2002

      26 민병미, "韓國 西海岸 干拓地의 土壤과 植生 變化"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27 이규송, "珍“(江原道 平昌郡) 일대 火田 후 묵밭의 植生 遷移 機構"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28 Carpenter, S.R., "submerged vegetation: An internal factor in lake ecosystem succession" 118 : 372-383, 1981

      29 Egler, F.E., "Vegetation science concepts. I. Initial floristic composition a factor in old-field vegetation development" 4 : 412-417, 1954

      30 Odum, E.P.,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164 : 262-270, 1969

      31 Niiyama, K., "The role of seed dispersal and seedling traits in colonization and coexistence of Salix species in a seasonally flooded habitats" 5 : 317-331, 1990

      32 Walker, L.R., "The role of life history processes in primary succession on an Alaskan floodplain" 67 : 1243-1253, 1986

      33 Johnson, W.B., "Succession of vegetation in an evolving river delta, Atchafalaya Bay, Louisiana" 73 : 973-986, 1985

      34 Van der Valk, A.G., "Succession in wetlands: a Gleasonian approach" 62 : 688-696, 1981

      35 Tilman, D., "Plant strategies and the dynamics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ies" Prineceton University Press 237-24, 1988

      36 Connell, J.H., "Mechanisms of succession in natural communities and their role in community stability and organization" 111 : 1119-1144, 1997

      37 Simpson, E.H., "Measurement of diversity" 163 : 688-, 1949

      38 Wetzel, R.G., "Limnology" Saunders College pub. 857-, 1983

      39 Dionigi, C.P., "Fertility and disturbance gradients: A summary model for riverine marsh vegetation" 69 : 1044-1054, 1985

      40 Alliende, M.C., "Demoographic studies of a dioecious tree. I. Colonization, sex and age structure of Salix cinerea" 77 : 1029-1047, 1989

      41 Kjerfve. B., "Coastal Lagoon Processes" Elsevier 1-4, 1994

      42 Curtis, J.J.,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32 : 476-496, 1951

      43 Pielou, E.C.,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ely-Interspecies 165-, 19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 Journal of Wetlands Researh KCI등재
      2011-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5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