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교에서 본 다문화교육 시론 = A sketch of Consider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Confucianism differs from the economic capitalism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paradigm. The multi-cultural discussion need for thinking of multi-p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Confucianism differs from the economic capitalism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paradigm. The multi-cultural discussion need for thinking of multi-paradigm as a necessary condition. The sticking to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was partially caused of confucianism, not the inherent essence but the distorted form in spite of many-sided multi-cultural discussion. I will take a reflective stand of the distorted confucianism form, then find out principles of the multi-cultural thought. My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s groping for education method grounding in that principles. The Sinocen-trism and the code of clan regulations have an effect on the soundness of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an negative instrument. The multi-cultural principle that abstracting from confucianism are ⒜ principle of the balance of relativity and universality[理一分殊], ⒝ principal of harmony and tolerance[ 和而不同 abd 忠恕], ⒞ principal of self-introspection[愼獨 and 誠]. Confucianism pursues the great union society(大同社會) on the based peace of the world. In the cause of peace , harmony and tolerance, self-introspection are important. The stress of diversity and pluralism are apt to be biased value relativ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alance of relativity and universality. For realization of this principl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onsist of care education, anti-bias education, philosophy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Just wh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ork not only for one society stability but also for the world peace, it may be come up to peaceful coexistence or pacifism, that is essence of confucia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부정적 기제로 작용하는 유교의 제요소를 반성하고, 유교의 본질을 바탕으로 다문화교육방법을 모색한 다문화교육 試論이다. 유교는 다문화사회의 바탕인 경...

      이 글은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부정적 기제로 작용하는 유교의 제요소를 반성하고, 유교의 본질을 바탕으로 다문화교육방법을 모색한 다문화교육 試論이다. 유교는 다문화사회의 바탕인 경제자본주의⋅자유민주주의와 패러다임이 다르다. 따라서 다문화담론을 위해서는 이를 수용하는 다패러다임적 사고가 전제되어야 한다. 다양한 다문화담론에도 불구하고 단일민족의식에 집착하는 한국 사회의 특성은 유교의 본질이 아니라 잘못 실현된 유교문화의 형태에 원인이 있다. 중화사상과 종법주의는, 대동사회를 근간으로 하는 ‘평화주의 사상인 유교’가 정치 이데올로기화한 결과이다. 유교의 본질에서 찾을 수 있는 다문화주의 원리는 세 가지이다. ① 상대성과 보편성의 균형 원리 : 理一分殊, ② 어울림과 관용의 원리 : 和而不同과 忠恕, ③ 자기 성찰의 원리 : 愼獨과 誠이다. 유교는 본질적으로 대동사회를 지향하는 평화주의 사상이며, 이의 실현을 위해 어울림과 관용이 필요하고, 평천하를 위해 먼저 자기 성찰이 요구된다. 다양성의 강조가 자칫 가치상대주의로 흐를 수 있는 위험은 보편성[理一]의 강조와 상대성[分殊]의 수용으로 극복할 수 있다. 다양성에 대한 인정은 타인에 대한 배려를 넘어 자신에 대한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유교의 다문화 원리 실현을 위한 다문화교육방법으로 배려교육, 반편견교육, 철학교육, 평화교육을 들 수 있다. 다문화교육은 한 사회만이 아니라 세계 평화에 기여할 때 가치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교의 본질인 평화사상과도 상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論語集註大全 影印本)" 학민문화사 1990

      2 김영진, "한국인을 위한 윤리와 논리" 철학과현실사 2000

      3 금장태, "한국유교의 이해" 민족문화사 1989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6 추병완,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교육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평가원 11 (11): 2008

      7 좌경옥, "철학교육의 도덕교육적 효과: IAPC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회 7 : 1995

      8 김상률, "차이를 넘어서:탈식민시대의 미국문화읽기"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 안외순, "중화주의의 형성원리와 특성"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1) : 2004

      10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문화" 사계절 1997

      1 "論語(論語集註大全 影印本)" 학민문화사 1990

      2 김영진, "한국인을 위한 윤리와 논리" 철학과현실사 2000

      3 금장태, "한국유교의 이해" 민족문화사 1989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오석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6 추병완,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교육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평가원 11 (11): 2008

      7 좌경옥, "철학교육의 도덕교육적 효과: IAPC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회 7 : 1995

      8 김상률, "차이를 넘어서:탈식민시대의 미국문화읽기"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 안외순, "중화주의의 형성원리와 특성" 예문동양사상연구원 (11) : 2004

      10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문화" 사계절 1997

      11 임홍빈, "인권의 이념과 아시아가치론" 아연출판사 2003

      12 김낙진, "의리의 윤리와 한국의 유교문화" 집문당 2004

      13 장승희, "유교적 가치질서와 시민윤리의 정립: ‘和’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국민윤리학회 (61) : 2006

      14 박홍식, "유교의 본질과 역사, 그리고 미래 전망: 한국 유교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50 : 2007

      15 최영진,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3

      16 임태승, "유가사유의 기원" 학고재 2004

      17 심보선, "온정주의 이주노동자 정책의 형성과 변화: 한국의 다문화 정책을 위한 시론적 분석" 한국사회지역학회 10 (10): 2007

      18 이유택, "어린이와 함께 철학하기: 어린이철학의 가능성과 방법론적 원칙에 관하여" 대한철학회 86 : 253-278, 2003

      19 우경섭, "송시열의 화이론과 조선중화주의의 성립" 진단학회 101 : 2006

      20 송영배, "세계화 시대의 유교적 윤리관의 의미" 한국철학회 62 : 2000

      21 이철승, "세계화 시대 ‘유교공동체주의’의 의의와 문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2007

      22 이지애, "세계무대와 철학교육" 철학과 현실사 (가을) : 2007

      23 김형인, "미국의 다문화주의의 방향:세계화와 9.11의 여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1 (11): 2007

      24 김종석, "미국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고찰" 충남대학교북미주연구소 1984

      25 한국철학회, "다원주의,축복인가 재앙인가" 철학과현실사 2003

      26 허라금, "다원주의 윤리와 윤리 다원주의의 경계에서" 철학과현실사 2003

      27 한경구, "다민족ㆍ다문화사회로의 전환: 문제점과 전략"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8): 2008

      28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29 우현민, "논어" 한국교육출판공사 1985

      30 조응태, "국제결혼 가정 자녀를 위한 다문화 도덕 교육"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7 (7): 2006

      31 진성수, "陳來"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 2008

      32 "孟子(孟子集註大全 影印本)" 학민문화사 1990

      33 "大學ㆍ中庸(大學?中庸章句大全 影印本)" 학민문화사 1990

      34 儒敎事典編纂委員會, "儒敎大事典" 박영사 1990

      35 David S. Nivison, "The Ways of Confucianism: Investigation in Chinese Philosophy"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6

      36 Chad Hansen, "Duty and Virtue , Ivanhoe, Thought, and Culture: Nivison and his Critics"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96

      37 Ellen Frankel Paul, "Cultural Pluralism and Moral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8 XinZhong Yao, "An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