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당대시로 본 ‘무자제주참변’ = A study on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in North Korean contemporery(1948-1950)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3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that happened at Jeju Island in 1948 is a tragedy continued over 7 years. This writing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8 poems(including 2 different version) of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
      First, Park Se Young’ 「Jeju Island」 and An Yong Man’s 「Camellia Postage stamps」 are the works published in 1948. They are characterized by realistic expression. From the early stage,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was the
      peolple’s struggle against American imperialism, single handed election and single government
      Second, Park San Un’s 「A Song」 and Kim Dong Ik’s 「Jeju Island」 were published in 1949. They are formulaic in an aspect of the content. Park San Un’ work is standardized by temporal structure while Kim Dong Ik’s works
      is standardized by defining spatial meaning.
      Third, Cho Byuck Am’s 「Fighting Jeju Island」 and Baek Tae San’s 「Struggling Islande」 are the works published in 1950. They are characterized by three part reiteration and foregrounding of abstract political declaration.
      The poems of 1948 show the effort for formalization, while poems of 1949 show abstract formalization. Political ideology i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1950. They have multiple subject and three part reiteration structure.
      As a conclusion,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is rooted in Kim Il Seung’s anti-Japan struggle and the core of it is political realization as a catalyst for armed struggle on South Korea.
      Studies including other genre of literature and argument of fact such as a newspaper article should be conducted. Compare and contrast on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arguments based on such researches are also required.
      번역하기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that happened at Jeju Island in 1948 is a tragedy continued over 7 years. This writing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8 poems(including 2 different version) of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 First, Park Se Y...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that happened at Jeju Island in 1948 is a tragedy continued over 7 years. This writing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8 poems(including 2 different version) of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
      First, Park Se Young’ 「Jeju Island」 and An Yong Man’s 「Camellia Postage stamps」 are the works published in 1948. They are characterized by realistic expression. From the early stage,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was the
      peolple’s struggle against American imperialism, single handed election and single government
      Second, Park San Un’s 「A Song」 and Kim Dong Ik’s 「Jeju Island」 were published in 1949. They are formulaic in an aspect of the content. Park San Un’ work is standardized by temporal structure while Kim Dong Ik’s works
      is standardized by defining spatial meaning.
      Third, Cho Byuck Am’s 「Fighting Jeju Island」 and Baek Tae San’s 「Struggling Islande」 are the works published in 1950. They are characterized by three part reiteration and foregrounding of abstract political declaration.
      The poems of 1948 show the effort for formalization, while poems of 1949 show abstract formalization. Political ideology i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1950. They have multiple subject and three part reiteration structure.
      As a conclusion,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is rooted in Kim Il Seung’s anti-Japan struggle and the core of it is political realization as a catalyst for armed struggle on South Korea.
      Studies including other genre of literature and argument of fact such as a newspaper article should be conducted. Compare and contrast on Jeju April 3rd tragic incident arguments based on such researches are also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머리
      • 2. 1948년도 시와 유형화 가능성
      • 3. 정형화의 길과 1949년도 시
      • 4. 1950년도 시의 정론성
      • 5. 마무리
      • 1. 들머리
      • 2. 1948년도 시와 유형화 가능성
      • 3. 정형화의 길과 1949년도 시
      • 4. 1950년도 시의 정론성
      • 5. 마무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조선문학선집(시집) 1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2 "해방후 4년간의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투쟁"

      3 강승한, "한나산"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4 "한 깃발 아래에서" 문화전선사 1950

      5 박필현,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3) : 225-250, 2015

      6 "청년생활"

      7 "창작집" 국립인민출판사 1948

      8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9 "조선중앙년감 1953" 조선중앙통신사 1953

      10 "조선인민군의 강력한 무장력은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 무장 유격투쟁을 고무 격려하며 승리에 대한 굳은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있다"

      1 "현대조선문학선집(시집) 1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2 "해방후 4년간의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투쟁"

      3 강승한, "한나산"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4 "한 깃발 아래에서" 문화전선사 1950

      5 박필현,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3) : 225-250, 2015

      6 "청년생활"

      7 "창작집" 국립인민출판사 1948

      8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9 "조선중앙년감 1953" 조선중앙통신사 1953

      10 "조선인민군의 강력한 무장력은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 무장 유격투쟁을 고무 격려하며 승리에 대한 굳은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있다"

      11 "조선문학사 10(해방후편)" 사회과학출판사 1994

      12 안함광, "조선문학사" 연변교육출판사 1956

      13 "조선녀성"

      14 김병택, "제주현대문학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5

      15 현길언, "제주문화론" 탐라수목원 2001

      16 신상준, "제주도43사건(상)(하)" 한국복지행정연구소 2000

      17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18 조남현, "제주43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1993

      19 고문승, "제주 사람들의 설움" 신아문화사 1991

      20 조남현, "제주 43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1993

      21 허호준,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2 김동윤,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3 박찬식,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4 "인민"

      25 박서동, "영원한 우리들의 아픔 43" 1990

      26 제주작가회의, "역사적 진실과 문학적 진실" 각 2004

      27 리맥, "시를 어떻게 지을 것인가" 문예출판사 1979

      28 "선전원수책12권" 민족보위성문화훈련국 1950

      29 "새조선"

      30 朴贊殖, "북한의 ‘제주4·3사건’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30) : 172-202, 2004

      31 조벽암, "벽암시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32 이동순, "박세영 시전집" 소명출판 2012

      33 "민주조선"

      34 "미제의 조선 침략사 2" 조선로동당출판사 1962

      35 "문학예술"

      36 "문학"

      37 "로동자"

      38 "로동신문"

      39 "남반부 청년들의 영용한 투쟁 모습" 민주청년사 1950

      40 "남반부 인민들의 영웅적 구국 투쟁 , 강연자료집"

      41 하성수, "남로당사" 세계 1986

      42 김남식, "남로당 연구" 돌베개 1984

      43 김동윤, "기억의 현장과 재현의 언어" 도서출판 각 2006

      44 "근로자"

      45 허호준, "그리스와 제주, 비극의 역사와 그 후" 선인 2014

      46 장정희, "在北 아동문학가 康承翰의 생애와 동시 세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37-83, 2013

      47 문혜원, "4ㆍ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제주학회 (19) : 19-37, 2001

      48 김동윤, "43의 진실과 문학" 각 2003

      49 고성만, "43과 역사5집" 제주43연구소 346-372, 2005

      50 김재용, "43과 분단극복" (6) : 172-184, 2001

      51 김철민, "1950년대시선(1)" 문학예술출판사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