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대조선문학선집(시집) 1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2 "해방후 4년간의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투쟁"
3 강승한, "한나산"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4 "한 깃발 아래에서" 문화전선사 1950
5 박필현,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3) : 225-250, 2015
6 "청년생활"
7 "창작집" 국립인민출판사 1948
8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9 "조선중앙년감 1953" 조선중앙통신사 1953
10 "조선인민군의 강력한 무장력은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 무장 유격투쟁을 고무 격려하며 승리에 대한 굳은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있다"
1 "현대조선문학선집(시집) 1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60
2 "해방후 4년간의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투쟁"
3 강승한, "한나산"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4 "한 깃발 아래에서" 문화전선사 1950
5 박필현, "폭력의 경험과 근대적 민족국가 — 초기 4.3소설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3) : 225-250, 2015
6 "청년생활"
7 "창작집" 국립인민출판사 1948
8 "창작의 벗" 사로청출판사 1974
9 "조선중앙년감 1953" 조선중앙통신사 1953
10 "조선인민군의 강력한 무장력은 남반부 인민들의 구국 무장 유격투쟁을 고무 격려하며 승리에 대한 굳은 자신감을 북돋아 주고 있다"
11 "조선문학사 10(해방후편)" 사회과학출판사 1994
12 안함광, "조선문학사" 연변교육출판사 1956
13 "조선녀성"
14 김병택, "제주현대문학사"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5
15 현길언, "제주문화론" 탐라수목원 2001
16 신상준, "제주도43사건(상)(하)" 한국복지행정연구소 2000
17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18 조남현, "제주43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1993
19 고문승, "제주 사람들의 설움" 신아문화사 1991
20 조남현, "제주 43사건의 쟁점과 진실" 돌담 1993
21 허호준,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2 김동윤,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3 박찬식, "제주 43 연구의 새로운 모색" 제주대학교출판부 2013
24 "인민"
25 박서동, "영원한 우리들의 아픔 43" 1990
26 제주작가회의, "역사적 진실과 문학적 진실" 각 2004
27 리맥, "시를 어떻게 지을 것인가" 문예출판사 1979
28 "선전원수책12권" 민족보위성문화훈련국 1950
29 "새조선"
30 朴贊殖, "북한의 ‘제주4·3사건’ 인식" 한국근현대사학회 (30) : 172-202, 2004
31 조벽암, "벽암시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7
32 이동순, "박세영 시전집" 소명출판 2012
33 "민주조선"
34 "미제의 조선 침략사 2" 조선로동당출판사 1962
35 "문학예술"
36 "문학"
37 "로동자"
38 "로동신문"
39 "남반부 청년들의 영용한 투쟁 모습" 민주청년사 1950
40 "남반부 인민들의 영웅적 구국 투쟁 , 강연자료집"
41 하성수, "남로당사" 세계 1986
42 김남식, "남로당 연구" 돌베개 1984
43 김동윤, "기억의 현장과 재현의 언어" 도서출판 각 2006
44 "근로자"
45 허호준, "그리스와 제주, 비극의 역사와 그 후" 선인 2014
46 장정희, "在北 아동문학가 康承翰의 생애와 동시 세계"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3) : 37-83, 2013
47 문혜원, "4ㆍ3을 소재로 한 시들의 유형과 특징" 제주학회 (19) : 19-37, 2001
48 김동윤, "43의 진실과 문학" 각 2003
49 고성만, "43과 역사5집" 제주43연구소 346-372, 2005
50 김재용, "43과 분단극복" (6) : 172-184, 2001
51 김철민, "1950년대시선(1)" 문학예술출판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