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 쓰기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step-by-step writing lessons” for korean learn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3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writing ability for korean learner. To validate the effect of step-by-step writing lessons, it applied to real cas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Korean writing 1' course, which is course of the liberal arts in university. This research started from investigation of awareness on writing and examined the process writing of students. Lastly we analyzed the final output submitted by students to validate this research. The advantage of the process of writing class we propose lies in its ability to induce the learner’s internal motivation and to encourage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reduces the burden of writing due to the continuous cooperation and feedback between learner and teacher.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is two-fold. first, we add the step of 'warming-up step before writing' to general writing process and redefined the previous 'pre-writing step' as 'pre-writing step before writing the body text '. Second, we focused on the writing instruction rather than integrated process expending into other function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al class and compared the works done by who have not experienced writing education with the writing done after writing education. As a result, the overall performance is improved such as objective subject and well-constructed sentences. learners show higher satisfaction in learning. They state that they can know more vocabularies before they start writing because of the Step by-step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one other significant satisfactory point is that learners can receive feedbacks from company and instructor more frequent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writing ability for korean learner. To validate the effect of step-by-step writing lessons, it applied to real cas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Korean writing 1' course, which is course 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writing ability for korean learner. To validate the effect of step-by-step writing lessons, it applied to real cas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Korean writing 1' course, which is course of the liberal arts in university. This research started from investigation of awareness on writing and examined the process writing of students. Lastly we analyzed the final output submitted by students to validate this research. The advantage of the process of writing class we propose lies in its ability to induce the learner’s internal motivation and to encourage their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addition, it reduces the burden of writing due to the continuous cooperation and feedback between learner and teacher.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is two-fold. first, we add the step of 'warming-up step before writing' to general writing process and redefined the previous 'pre-writing step' as 'pre-writing step before writing the body text '. Second, we focused on the writing instruction rather than integrated process expending into other function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al class and compared the works done by who have not experienced writing education with the writing done after writing education. As a result, the overall performance is improved such as objective subject and well-constructed sentences. learners show higher satisfaction in learning. They state that they can know more vocabularies before they start writing because of the Step by-step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one other significant satisfactory point is that learners can receive feedbacks from company and instructor more frequ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기
      • 2.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 고찰
      • 3. 단계별 쓰기 수업의 실제
      • 4. 수업의 효과
      • 5. 나오기
      • 1. 들어가기
      • 2.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 고찰
      • 3. 단계별 쓰기 수업의 실제
      • 4. 수업의 효과
      • 5. 나오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2 이수민,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명민경, "한국어 과정 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교사 피드백 효율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신헌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138-, 2002

      5 김은정,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41-568, 2012

      6 신문경,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7 홍정현,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8 최주리, "인지 구성주의 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227-260, 2008

      9 이덕희, "요구 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장향실,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55-279, 2009

      1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2 이수민,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교사 피드백이 학생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명민경, "한국어 과정 중심 쓰기 교육에서의 학습자 오류 분석을 통한 교사 피드백 효율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신헌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138-, 2002

      5 김은정,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41-568, 2012

      6 신문경,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의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7 홍정현,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8 최주리, "인지 구성주의 쓰기 전략 교수가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227-260, 2008

      9 이덕희, "요구 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장향실,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255-279, 2009

      11 William Grave, "쓰기 이론과 실천 사례" 박이정 2008

      12 이상태, "사고력 함양을 위한 국어교육 설계" 박이정 2010

      13 김정숙,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한국어학회 (6) : 1999

      14 최승권, "단계별 글쓰기 교수.학습모형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5 이재승,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과정 중심 접근" 교육과학사 2002

      16 방인태, "국어교육과 국문학" 도서출판 역락 2002

      17 허재영, "국어 쓰기 교육의 변천과 발전" 소통 2010

      18 N.N.Spivey, "구성주의와 읽기 . 쓰기" 박이정 2004

      19 이미혜, "과정중심의 한국어 쓰기 교육-작문 수업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2000

      20 이주섭, "과정중심쓰기교육에 따른 학생의 쓰기결과물 분석연구" 제주대초등교육연구원 (9) : 2004

      21 김정애, "과정 중심의 한국어 쓰기교육 방안 : 피드백을 이용한 다시 쓰기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2 주지현, "과정 중심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23 여순민,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전략 연구 : '문제-해결'글쓰기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4 Brown, H.D, "Teaching by Principles" Longman 1994

      25 정다운,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