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환경운동의 형성과 도전 =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4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개발주의 지향의 지방정부와 지역의 개발동맹을 견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지역 환경운동단체의 활동여부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에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지역환경NGO인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 지역환경운동의 형성과정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90년대 안면도 핵폐기물처리장, 대산공단 공해문제 등을 경험하면서 각성한 지역주민과 지역의 사회운동세력들이 결합하여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을 결성했다. 결성 초기 보수적인 지역적 정서로 인하여 반체제·반정부 단체라는 오해도 받았지만, 대중적인 시민참여 운동을 통하여 시민운동단체로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이후 철새보호운동, 해안사구보전운동 등과 같이 서산과 태안의 환경적 특징을 반영한 환경의제를 발굴하고, 중앙저수지 생태공원화 사업 등을 통하여 환경이 일상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는 사실을 주민들에게 체감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보수적인 관변조직 중심의 지역 시민사회에서 공익을 추구하고 민주적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서산태안환경운동 연합의 활동은 지역 시민사회의 균형을 잡아주었을 뿐만 아니라 시민참여의 선택 폭을 넓혀 주었다. 하지만 서산태안환경연합의 이러한 운동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민 운동단체가 겪고 있는 회원확보 및 재정문제, 그리고 후속 활동가의 재생산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서산태안지역의 환경운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체 상태에 빠져있는 회원 및 재정증대와 동시에 소수의 상근 활동가와 열성회원들에게 의존하는 운동방식을 넘어 다양한 회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동을 재조직하는 것이 핵심적인 과제로 제기된다.
      번역하기

      지역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개발주의 지향의 지방정부와 지역의 개발동맹을 견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지역 환경운동단체의 활동여부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

      지역 환경문제 해결에 있어 개발주의 지향의 지방정부와 지역의 개발동맹을 견제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지역 환경운동단체의 활동여부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에서 20여 년간 지속적으로 활동해온 지역환경NGO인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을 중심으로 지역환경운동의 형성과정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90년대 안면도 핵폐기물처리장, 대산공단 공해문제 등을 경험하면서 각성한 지역주민과 지역의 사회운동세력들이 결합하여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을 결성했다. 결성 초기 보수적인 지역적 정서로 인하여 반체제·반정부 단체라는 오해도 받았지만, 대중적인 시민참여 운동을 통하여 시민운동단체로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이후 철새보호운동, 해안사구보전운동 등과 같이 서산과 태안의 환경적 특징을 반영한 환경의제를 발굴하고, 중앙저수지 생태공원화 사업 등을 통하여 환경이 일상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는 사실을 주민들에게 체감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보수적인 관변조직 중심의 지역 시민사회에서 공익을 추구하고 민주적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서산태안환경운동 연합의 활동은 지역 시민사회의 균형을 잡아주었을 뿐만 아니라 시민참여의 선택 폭을 넓혀 주었다. 하지만 서산태안환경연합의 이러한 운동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민 운동단체가 겪고 있는 회원확보 및 재정문제, 그리고 후속 활동가의 재생산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서산태안지역의 환경운동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체 상태에 빠져있는 회원 및 재정증대와 동시에 소수의 상근 활동가와 열성회원들에게 의존하는 운동방식을 넘어 다양한 회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동을 재조직하는 것이 핵심적인 과제로 제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local areas, it is crucial for ‘Region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to conduct activities to keep the local governments oriented to developmentalism and local areas’ alliance for development in check and also provide sustainable social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local environmental movement and its significance centering around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one of the grass root environmental NGOs that have constantly performed activities in the area for 20 or so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y organized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combining the local residents and also the power of social movement realizing how serious the problem was as experiencing such issues as the Anmyeondo nuclear waste disposal plant in the 1990’s and pollution in Daesan Industrial Complex. In the beginning of its organization, it was also misunderstood as an antiestablishment and antigovernment group due to the conservative emotion in the area; however, through its popular movement with civil participation, its social status became recognized as a civic movement group. After that, it excavated environmental agendas reflecting Seosan and Taea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migratory bird protection movement or coastal sand dune preservation movement and let the residents actually feel the fact that environ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everyday life through such projects as making the central reservoir an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operated by democratic principles and pursuing public interest in the region’s civil society centering around conservative official organizations did not only balance the region’s civil society but also increase the range of options of civil participation. However, despite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fruition gained by that movement, it still exhibited problems that most Korea civic movement groups suffer from such as securing members, overcoming financial problems, and reproducing follow-up activists. In particular, local civic groups having as their stage of activity small minor cities in local areas with relatively less population show these kinds of problems more distin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environmental movement in Seosan Taean area sustainably afterwards,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he members being inactive, increase budget, and also reorganize the movement to the direction that allows more members and citizens to participate, not with the method of movement depending on minority of full-time activists or enthusiastic members.
      번역하기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local areas, it is crucial for ‘Region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to conduct activities to keep the local governments oriented to developmentalism and local areas’ alliance for development in check and also...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local areas, it is crucial for ‘Region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to conduct activities to keep the local governments oriented to developmentalism and local areas’ alliance for development in check and also provide sustainable social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ing local environmental movement and its significance centering around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one of the grass root environmental NGOs that have constantly performed activities in the area for 20 or so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y organized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combining the local residents and also the power of social movement realizing how serious the problem was as experiencing such issues as the Anmyeondo nuclear waste disposal plant in the 1990’s and pollution in Daesan Industrial Complex. In the beginning of its organization, it was also misunderstood as an antiestablishment and antigovernment group due to the conservative emotion in the area; however, through its popular movement with civil participation, its social status became recognized as a civic movement group. After that, it excavated environmental agendas reflecting Seosan and Taea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like migratory bird protection movement or coastal sand dune preservation movement and let the residents actually feel the fact that environmen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own everyday life through such projects as making the central reservoir an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he activities of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operated by democratic principles and pursuing public interest in the region’s civil society centering around conservative official organizations did not only balance the region’s civil society but also increase the range of options of civil participation. However, despite the Seosan-Ta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fruition gained by that movement, it still exhibited problems that most Korea civic movement groups suffer from such as securing members, overcoming financial problems, and reproducing follow-up activists. In particular, local civic groups having as their stage of activity small minor cities in local areas with relatively less population show these kinds of problems more distinctivel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environmental movement in Seosan Taean area sustainably afterwards, it is essential to activate the members being inactive, increase budget, and also reorganize the movement to the direction that allows more members and citizens to participate, not with the method of movement depending on minority of full-time activists or enthusiastic memb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지역환경운동의 형성과정과 현황
      • 3.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의 형성과 성장
      • 4. 운동의 성과와 한계
      • 5. 결론
      • 1. 서론
      • 2. 지역환경운동의 형성과정과 현황
      • 3.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의 형성과 성장
      • 4. 운동의 성과와 한계
      • 5. 결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균,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한울 2011

      2 이득현, "환경운동의 사회학" 민영사 1998

      3 진상현, "환경운동과 가치변화 측면에서 본 천성산 사례 연구"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3-103, 2006

      4 장미정,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미숙, "환경운동 안에서의 여성의 역할 : 부안 반핵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6

      6 정진주, "환경분쟁에 있어서 지역운동사의 전개: 동강댐 건설을 중심으로" (창간) : 238-266, 2001

      7 최병두, "환경갈등과 불평등: 한국 환경문제의 재인식" 한울아카데미 1999

      8 이시재, "환경 문제, 환경운동, 그리고 민주주의, In 한국공간환경의 재인식: 사회위기는 공간환경에 어떻게 투영되고 매개되는가" 한울아카데미 1992

      9 김도균, "허베이 스프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실패와 재난 복원력의 약화― 관련 행위자들 간의 이해와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7-43, 2012

      10 전재진, "핵 그리고 안면도 항쟁" 충남저널사 1993

      1 김도균, "환경재난과 지역사회의 변화" 한울 2011

      2 이득현, "환경운동의 사회학" 민영사 1998

      3 진상현, "환경운동과 가치변화 측면에서 본 천성산 사례 연구" 한국환경사회학회 10 (10): 73-103, 2006

      4 장미정,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5 이미숙, "환경운동 안에서의 여성의 역할 : 부안 반핵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6

      6 정진주, "환경분쟁에 있어서 지역운동사의 전개: 동강댐 건설을 중심으로" (창간) : 238-266, 2001

      7 최병두, "환경갈등과 불평등: 한국 환경문제의 재인식" 한울아카데미 1999

      8 이시재, "환경 문제, 환경운동, 그리고 민주주의, In 한국공간환경의 재인식: 사회위기는 공간환경에 어떻게 투영되고 매개되는가" 한울아카데미 1992

      9 김도균, "허베이 스프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실패와 재난 복원력의 약화― 관련 행위자들 간의 이해와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6 (16): 7-43, 2012

      10 전재진, "핵 그리고 안면도 항쟁" 충남저널사 1993

      11 문순홍, "한국의 여성환경운동: 그 역사, 주체, 그리고 운동유형들" 아르케 2011

      12 박현옥, "한국의 공업도시와 환경운동: 온산 공업단지의 경우" 4 : 192-221, 1986

      13 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민간단체총람" 시민운동정보센터 2012

      14 구도완, "한국 환경운동의 이데올로기 지형, In 현대와 탈현대" 사회문화연구소 1993

      15 최경애, "한국 환경운동의 성장과 가치지향" 38 : 192-242, 1991

      16 구도완, "한국 환경운동의 사회학: 정의롭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996

      17 구도완, "한국 환경운동의 사례 비교 연구: 온산, 페놀, 팔당 사례를 중심으로" 44 : 129-192, 1996

      18 구도완, "한국 환경운동의 담론: 낭만주의와 합리주의" 비판사회학회 (69) : 128-154, 2006

      19 조대엽, "한국 시민운동의 구조와 동학" 집문당 2007

      20 임희섭,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21 박재묵, "지역시민운동의 현황과 과제: 대전광역시 사례연구, In 한국사회론" 전북대학교 출판부 2005

      22 박재묵, "지역반핵운동과 주민참여 : 4개지역 원자력시설반대운동의 비교"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23 구도완, "지방자치시대의 환경과 개발" 7 : 282-307, 1996

      24 김재훈, "지방자치단체의 환경규제 결정요인 분석" 30 (30): 105-120, 1996

      25 이득현, "주민환경운동의 전개과정과 의미구성: 반핵발전운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92

      26 정근식, "주민운동의 구조와 역학에 관한 비교연구 : 1980년대 전남지역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1

      27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정기총회자료집"

      28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와 환경문제, In 한국공간환경의 재인식: 사회위기는 공간환경에 어떻게 투영되고 매개되는가" 한울아카데미 1992

      29 김정연, "안면도 종합계획 수립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9

      30 나정숙, "시화호 유역의 지역 여성환경운동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9

      31 남현우,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성원으로 성장한 환경연합, In 그 10년의 역사" 2004

      32 천수만 철새기행위원회, "서산천수만 철새기행전 자료집"

      33 정규호, "생태민주주의 특성과 쟁점 그리고 과제, In 민주주의 대 민주주의" 아르케 2006

      34 구도완, "생태 민주주의 관점에서 본 환경운동 사례연구"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5) : 8-33, 2011

      35 홍성태, "새만금보존운동의 전개, 특성, 과제" 7 (7): 43-77, 2004

      36 윤박경, "새만금 그곳에 여성들이 있다" 푸른사상 2004

      37 박순열, "불만(不滿)의 새만금" 한국학술정보 2009

      38 홍성태, "부안항쟁과 생태민주주의" 6 : 220-240, 2004

      39 김재훈, "민선단체장 이후 환경규제행정의 변화" 30 (30): 121-136, 1996

      40 이은지, "도시지역 관변단체의 조직적 특징" 6 (6): 39-67, 2004

      41 맹정호, "대산지역의 어제와 오늘: 대산공단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고찰, In 그 10년의 역사" 2004

      42 정경숙, "대구지역 전업주부들의 여성환경운동 참여에 관한 연구" 9 : 78-89, 2004

      43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늘푸른 통신"

      44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그 10년의 역사"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1994

      45 구도완, "개발동맹과 녹색연대: 담론구성체 연구" 7 (7): 171-192, 2004

      46 윤지환, "「서산천수만 세계철새기행전」참가자의 행태와 만족도"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189-208, 2006

      47 Hyuk-Rae, Kim,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 Transition: the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13 (13): 593-613, 2000

      48 Kriesi, H.,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f New Social Movement: Its Impact on Their Mobilization, In The Politics of Social Protes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67-19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7 1.24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