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schematic eye)의 calibration 상태를 평가하고 검사에 따른 정확 도를 비교 분석하여 검영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HEINE BETA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41002
2007
Korean
검영법 ; 모형안 ; 눈금조정 ; Retinoscopy ; Schematic eye ; Calibration
KCI등재
학술저널
413-42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schematic eye)의 calibration 상태를 평가하고 검사에 따른 정확 도를 비교 분석하여 검영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HEINE BETA 20...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schematic eye)의 calibration 상태를 평가하고 검사에 따른 정확 도를 비교 분석하여 검영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검영법 훈련용 모형안 (HEINE BETA 200 Para Stop US PAT. 5859 687) 7개를 선정하여 눈금을 영점에 맞추고 자동굴절검사기로 영점의 굴절상태를 측정하고, 검사거리(50cm) 보정용+2.00 D 시험렌즈를 모형안에 가입시킨 상태에서 전문 retinoscopist와 검영법을 처음 배우는 안경광학과 2학년 재학생들이 각각 중화거리를 측정한 후 눈금설정 상태를 평가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력과 검영법을 이용하여 전문 retinoscopist와 학생들이 측정한 굴절력은 7개의 모형안 중 3개 (모형안 3번, 4번 및 5번)에서 모두 차이가 있었다(P< 0.05). 측정 결과 모형안의 일부에서 영점 눈금이 정확하지 않았고, 자동굴절검사기와 전문 retinoscopist 의 측정값은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검영법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에게 calibration 과정을 훈련시키는 것이 실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libration state of schematic eye and the accuracy of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levels of the examiner. Seven schematic training eyes with same model were set the zero mark on the graduated sca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libration state of schematic eye and the accuracy of calibra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levels of the examiner. Seven schematic training eyes with same model were set the zero mark on the graduated scale, and then +2.00 diopter trial lens was added to the schematic training eye. Neutralizing distance was measured at 180 degree meridian by one proficient retinoscopist and students of optometry who are not highly skilled yet.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automated refractor and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retinoscopist and students at zero mark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3 of 7 schematic eyes(P < 0.05).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automated refractor at zero mark were -0.41±0.07 D, -0.28±0.08 D, and -0.45±0.07 D,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retinoscopist at zero mark were -0.49±0.10 D, -0.41±0.06 D, and -0.49±0.13 D, and the differences in refraction with retinoscope by students at zero mark were -0.17±0.14 D, -0.15±0.06 D, -0.22±0.27 D(P < 0.05). In some schematic eyes, neutralizing point was not correct. Correct and excise calibration before training of refraction by schematic eye is important. It might be helpful training calibration of schematic eye for the students.
일산 거주 초등학생의 2년간 굴절이상도 변화에 따른 안광학상수와 비구면계수의 상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