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주시 시가화 지역 내ㆍ외 도시녹지 간 생태적 상호연계성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0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tudy has intended to select urban green areas in Cheongju city, to calculat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dex with gravity model, and to analyz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between urban green areas within and outside Cheongju City.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employed a gravity model to calculate th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dex (Index of Biodiversity-based Interrelations between Urban Green Areas : IBIG) within each individual green area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IBIG,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within and outside Cheongju city.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e landscape ecological elements affecting IBIG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bigger and higher the areas and altitude, the higher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 the aspect of quantity and natural condition; and 2) related to indicators such as area, distance between urban green areas, and shape,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green areas within urbanized district was lower than that outside the urbanized district as the area of green area decreased and the shape of it also decreased and became monotonous respectively because of various kinds of human activities.
      번역하기

      The study has intended to select urban green areas in Cheongju city, to calculat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dex with gravity model, and to analyz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between urban green areas within and outside Cheongju City. To reac...

      The study has intended to select urban green areas in Cheongju city, to calculat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dex with gravity model, and to analyz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between urban green areas within and outside Cheongju City.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employed a gravity model to calculate th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dex (Index of Biodiversity-based Interrelations between Urban Green Areas : IBIG) within each individual green area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IBIG, this study analyzed the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within and outside Cheongju city.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e landscape ecological elements affecting IBIG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bigger and higher the areas and altitude, the higher ecological interrelationship in the aspect of quantity and natural condition; and 2) related to indicators such as area, distance between urban green areas, and shape,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green areas within urbanized district was lower than that outside the urbanized district as the area of green area decreased and the shape of it also decreased and became monotonous respectively because of various kinds of human activ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동만,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계획 연구 - 생물서식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서울시 녹지조성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1 (31): 34-41, 2003

      2 이동근, "패치크기, 연결성, 가장자리를 고려한 보전가치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56-67, 2005

      3 Forman, R. T. T, "토지모자이크 :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1995

      4 이주희, "중력모형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요모형 개발" 8 (8): 45-49, 2004

      5 충북대학교 건설기술 연구소, "시민이 함께하는 도시생태현황도 구축" 청주시 2007

      6 김종원, "산림, 조경, 생태, 환경을 위한 식물사회학적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2004

      7 류연수, "도시공원의 연결성, 순환성 및 고립도 분석에 따른경관생태학적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15-32, 2007

      8 김명수,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 : 경관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나정화,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 분석 -대구광역시의 사례" 한국조경학회 29 (29): 37-49, 2002

      10 안영희, "녹지 환경학" 태림문화사 2001

      1 안동만, "환경친화적인 도시공원녹지계획 연구 - 생물서식처 연결성 향상을 위한 서울시 녹지조성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1 (31): 34-41, 2003

      2 이동근, "패치크기, 연결성, 가장자리를 고려한 보전가치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8 (8): 56-67, 2005

      3 Forman, R. T. T, "토지모자이크 : 지역 및 경관생태학"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1995

      4 이주희, "중력모형을 이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요모형 개발" 8 (8): 45-49, 2004

      5 충북대학교 건설기술 연구소, "시민이 함께하는 도시생태현황도 구축" 청주시 2007

      6 김종원, "산림, 조경, 생태, 환경을 위한 식물사회학적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2004

      7 류연수, "도시공원의 연결성, 순환성 및 고립도 분석에 따른경관생태학적 개선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15-32, 2007

      8 김명수,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 : 경관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9 나정화, "녹지연계망 조성을 위한 거점 분석 -대구광역시의 사례" 한국조경학회 29 (29): 37-49, 2002

      10 안영희, "녹지 환경학" 태림문화사 2001

      11 사공정희, "녹지 잠재 영향권역 설정을 통한 녹지단절구역 분류 및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 33 (33): 1-15, 2005

      12 사공정희, "녹지 상호간 연계성 및 기질특성 평가를 통한 녹지 연계망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 34 (34): 18-36, 2006

      13 한주성, "교통지리학" 법문사 1996

      14 사공정희,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한국조경학회 34 (34): 10-21, 2007

      15 조성호, "공간상호작용모형에 의한 대구의 공간구조"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1998

      16 노정현, "고속도로 이용차량에 대한 통행분포 모형의 적합성 연구- 중력모형과 간섭기회 모형의 비교" 국토연구원 45 : 93-104, 2005

      17 이도원, "경관생태학 : 환경계획과 설계·관리를 위한 공간생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8 이명우, "경관생태학" 보문당 2004

      19 김재진, "TCS데이터를 이용한 고속도로 구간 교통량 추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1

      20 Forman, R.T.T,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1986

      21 Zonneveld, I.S, "Changing Landscape: An Ecological Perspective" Springer-Verlag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시행정학보 -> 도시행정학보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3 1.29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