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갈등상황에서 유아의 도덕적 대응이 ‘상황 중심적 대응’인지, 아니면 ‘피해자 중심적 대응’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4, 5세 유아 403명이며, 이들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52178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5-101(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갈등상황에서 유아의 도덕적 대응이 ‘상황 중심적 대응’인지, 아니면 ‘피해자 중심적 대응’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4, 5세 유아 403명이며, 이들을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갈등상황에서 유아의 도덕적 대응이 ‘상황 중심적 대응’인지, 아니면 ‘피해자 중심적 대응’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4, 5세 유아 403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유아는 대인갈등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덕적 대응의 전략이 피해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문제 상황에 맞게 가해자로서 사죄행동의 표현, 죄책감의 인식, 대인감정의 이해를 하는 ‘상황 중심적 대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보육장면에서 발생하는 또래 간의 갈등상황에서 유아들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도덕적 대응능력을 갖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eschoolers" moral reactions are situation-oriented or victim-orien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03 preschoolers, aged between four to five years of age. The interviews enabled the moral re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reschoolers" moral reactions are situation-oriented or victim-orien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03 preschoolers, aged between four to five years of age. The interviews enabled the moral reaction of preschoolers to solve problems caused from situations of interpersonal conflict. Findings from this research indicate that preschoolers rely more on situation-oriented reactions rather than victim-oriented reactions. The reaction of preschoolers experiencing situations of interpersonal conflict includes apologetic behavior, cognition of guilty feelings and understanding of others" feeling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is result shows that preschoolers have the ability to react appropriately towards conflict which occurs during dayca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한국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죄책감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35-55, 2002
2 김진선, "유아의 정서귀인과 도덕적 행동" 9 (9): 131-142, 2000
3 허정아, "유아의 배려지향적 도덕성 양상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77-298, 2013
4 최미숙,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발달 특징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5-271, 2010
5 김진아,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85-100, 2006
6 임성관, "유아의 도덕발달을 도울 수 있는 도서자료 연구" (7) : 113-130, 2007
7 정희영,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77-296, 2012
8 정영숙, "수단행위의 정당성 여부에 따른 취학전 아동의 도덕판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17-135, 2006
9 최양미, "또래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행동의 차이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49-75, 2014
10 김시은, "도덕판단에서 취학전 아동의 의도 사용과 의도성 구분의 발달" 13 (13): 49-64, 2000
1 김경희, "한국 아동과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죄책감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5 (15): 35-55, 2002
2 김진선, "유아의 정서귀인과 도덕적 행동" 9 (9): 131-142, 2000
3 허정아, "유아의 배려지향적 도덕성 양상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77-298, 2013
4 최미숙,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발달 특징 및 공감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5-271, 2010
5 김진아,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85-100, 2006
6 임성관, "유아의 도덕발달을 도울 수 있는 도서자료 연구" (7) : 113-130, 2007
7 정희영,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77-296, 2012
8 정영숙, "수단행위의 정당성 여부에 따른 취학전 아동의 도덕판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9 (19): 117-135, 2006
9 최양미, "또래 인기도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정서 및 도덕적 행동의 차이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49-75, 2014
10 김시은, "도덕판단에서 취학전 아동의 의도 사용과 의도성 구분의 발달" 13 (13): 49-64, 2000
11 현정환, "대인갈등상황에서의 유아의 사죄행동과 대인감정이해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2 (12): 45-62, 2012
12 中川美和, "幼児の誠実な謝罪に他者感情推測が及ぼす影響" 16 (16): 165-174, 2005
13 加用文男, "幼児のけんかの心理学的分析" 7 : 176-189, 1981
14 中川美和, "対人葛藤場面における幼児の謝罪行動と親密性の関連" 52 (52): 159-169, 2004
15 Browning, L., "What do you mean Think before I act ? : Conflict resolution with choices" 14 : 232-238, 2000
16 Piaget, J., "The moral judgement of child" Kegan Paul 1932
17 Wellman, H. M., "The Child’s theory of mind" Bradford Books 1990
18 Tangney, J. P., "Situational determinants of shame and guilt in young adulthood" 18 : 199-206, 1992
19 Nelson-Le Gall, S. A., "Motive outcome matching and outcome foreseeability : Effect on attribution of intentionality and moral judgements" 21 : 332-337, 1985
20 Tavuchis, N., "Mea culpa: A sociology of apology and reconcili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21 McCullough, M. E.,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 : Ⅱ.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75 : 1586-1603, 1998
22 Fukuno, M., "How effective are different accounts of harm-doing in softening victims’ reaction? A scenario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severity, relationship, and culture" 1 : 167-178, 1998
23 Kohlberg, L.,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R and McNally 1969
24 Eisenberg, N.,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51 : 665-697, 2000
25 Shultz, T. R.,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Vol. 13)" Erlbaum 1980
26 Flavell, J. H., "Cognitive Development" Prentice Hall 2002
27 Darby, D. W., "Children’s reactions to transgressions : Effects of the actor’s apology, reputation and remorse" 28 : 353-364, 1989
28 Darby, D. W., "Children’s reactions to apologies" 43 : 742-753, 1982
29 Petrucci, C. J., "Apology in the criminal justice setting : Evidence for including apology as an additional component in the legal system" 20 : 337-362, 2002
30 Itoi, R., "A cross-cultural study of preference of accounts : Relationship closeness, harm severity, and motives of account making" 26 : 913-934, 1996
자연친화적 헝겊인형놀이가 유아의 사회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