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 및 확산을 위한 PDS(전문성 개발 체제) 구축’으로, 마지막 3단계의 연구 결과이다. 연구의 필요성으로 첫째, 지속가능한 교육과 학교문화 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2522
-
201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 및 확산을 위한 PDS(전문성 개발 체제) 구축’으로, 마지막 3단계의 연구 결과이다. 연구의 필요성으로 첫째, 지속가능한 교육과 학교문화 변...
본 연구는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 및 확산을 위한 PDS(전문성 개발 체제) 구축’으로, 마지막 3단계의 연구 결과이다. 연구의 필요성으로 첫째, 지속가능한 교육과 학교문화 변화와 둘째,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를 강조하였다. 교사는 수업과 학교문화 변화의 핵이기 때문에 교사가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을 갖추지 못하면 지속가능한 교육과 학교문화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수업과 학교문화변화를 위해서는 이를 추동하는 교사의 역량, 즉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을 확인하고 이를 의식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와 수업 문화, 학교 문화 개선을 위해 교사의 자기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교사의 자기주도적 전문성 개발 체제 구축을 위해 대학이 지원하고 체계화 할 수 있는 보다 심화된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지속가능한 교육, 수업 및 학교 문화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을 크게 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 수업 소통 능력, 수업 성찰 능력으로 구분하고 ‘수업전문성 요소’ 로 개념화하였다. 이러한 수업 전문성 요소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설계 및 실행 능력 영역에서‘교육과정 문해력과 미래형 수업 모델 구현’, 수업 성찰 영역에서‘수업비평과 국제 수업 비교’, 그리고 수업 소통 영역에서‘PLC를 통한 교육과 학교문화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한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능력의 신장 및 촉진을 위하여 PDS(대학과 학교의 협력)를 구축하고 체계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사의 자기 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를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전문성개발체제(PDS)의 틀 안에서 수업과 학교문화의 변화가 추구될 때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동반된 지속가능한 교육 및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PDS의 구축과 체계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3단계 목표로, 1차년도는 ‘PDS 실천 전략 개발’을, 2차년도는 ‘PDS Glocalization’을, 3차년도는 ‘지속가능한 PDS’를 설정하였다. 1차년도의 ‘PDS 실천 전략 개발’은 1, 2단계의 연구의 결과와 축적된 교사 전문성 개발 관련 지식을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의 실용적 지식으로 풀어낸 과정이다. 2차년도의 ‘PDS Glocalization’은 지역 기반의 PDS 모델을 구축하고, 지역에 뿌리를 내린 PDS를 토대로 다른 지역으로의 PDS 구축 및 확산을 추동하는 연구이다. 3차년도의 ‘지속가능한 PDS’는 지역의 물적 토대를 갖추고 참여자, 조직, 전문적 역량 면에서 지속적인 재생산의 조건을 마련하여 자체의 힘으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PDS) for strengthening and spreading the self-directed teaching capacity of teachers'. This project is supported by the Institute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selected in...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Developmen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PDS) for strengthening and spreading the self-directed teaching capacity of teachers'. This project is supported by the Institute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selected in 2008, as the result of the last three step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stablish and systemize the PDS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self-initiative, sustainable education, the ability for teachers to contribute to the change of class and school culture. Therefore, we set the following goals in three stages:‘PDS Practical Strategy Development' for 1st year , ‘PDS Glocalization' for the 2nd year, and ‘PDS for sustainability'.
In this context,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urriculum Literacy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Classroom Model' in Instructional Design and Practice Area, ‘Class Critique and International Classroom Comparative' in Class reflection Area, ‘Educational Change in School Culture through PLC' , And conducted in-depth studies on the three sub-areas of focu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with the Action Research method,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of diagnosing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seeking solutions,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ogether with the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