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명환, "한스 붐스(Hans Booms)의 ‘시대의 가치 기록화’ 패러다임을 통해 본 ‘구술기록’의 위상과 의미: 기호학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용과 함께" 한남대학교 2014
2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 2003
3 오항녕,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일지사 2009
4 Pierce, Charles,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5 김성도,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6 Foucault, Michel,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7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살림 2008
8 신병주, "조선후기의 기록물 편찬과 관리" 한국기록학회 (17) : 39-84, 2008
9 오항녕, "조선초기 성리학과 역사학 : 기억의 복원, 좌표의 성찰"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7
10 윤훈표, "조선초기 공기록 관리제의 개편" 2 : 129-168, 2000
1 노명환, "한스 붐스(Hans Booms)의 ‘시대의 가치 기록화’ 패러다임을 통해 본 ‘구술기록’의 위상과 의미: 기호학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용과 함께" 한남대학교 2014
2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 2003
3 오항녕,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일지사 2009
4 Pierce, Charles,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5 김성도, "퍼스의 기호 사상" 민음사 2006
6 Foucault, Michel,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7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 인간은 죽음을 향한 존재" 살림 2008
8 신병주, "조선후기의 기록물 편찬과 관리" 한국기록학회 (17) : 39-84, 2008
9 오항녕, "조선초기 성리학과 역사학 : 기억의 복원, 좌표의 성찰"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7
10 윤훈표, "조선초기 공기록 관리제의 개편" 2 : 129-168, 2000
11 오항녕, "조선전기 기록관리 체계의 이해" 한국기록학회 (17) : 3-37, 2008
12 박홍갑, "조선왕조실록의 의의와 편찬방식" 22 (22): 2008
13 신병주, "조선왕조실록의 관리와 보관" 22 : 2008
14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 동방미디어 1999
15 심재우, "조선왕조 儀軌의 현존 상황과 연구 활성화 방안" 한국고전번역원 31 (31): 279-310, 2008
16 김병규, "조선시대 일사기록관리의 현재적 의미와 시사점"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17 신병주, "조선시대 儀軌 편찬의 역사" 조선시대사학회 (54) : 269-300, 2010
18 권오영, "조선성리학의 의미와 양상" 일지사 2011
19 김기태, "조선사고(史庫)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29,30) : 2002
20 김경일, "조선 전기 사관과 실록 편찬에 대한 연구" 62 : 125-167, 2001
21 김문식,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8
22 송효섭, "인문학, 기호학을 말하다" 이숲 2013
23 손주영, "이슬람. 교리, 사상, 역사" 일조각 2005
24 손주영, "이슬람 전통에서의 삶과 내세관" 한국이슬람학회 18 (18): 1-31, 2008
25 조민지,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한국기록학회 (39) : 73-100, 2014
26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
27 한영우,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지식산업사 1999
28 申炳周, "왕실에서의 기록물 생산과 보존" 한국고문서학회 28 : 1-15, 2006
29 김용곤, "역사와 함께 부침한 4대사고" 1991
30 노명환, "역사연구와 기록관리 상호 관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본 역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 랑케의 역사주의와 실증사학에 대한 본질주의(Essentialism)와 구성주의(Constructivism) 시각의 검토와 함께-" 역사문화연구소 (41) : 145-172, 2012
31 한영우, "양성지. 조선 수성기 제갈량" 지식산업사 2008
32 Fehr, Johannes, "소쉬르 언어학과 기호학 사이" 인간사랑 2002
33 오항녕, "성리학적 역사관의 성립 : 초월에서 현실로" 9 : 1-28, 1999
34 김주관, "생활사 아카이브 구축의 의미와 방법"
35 이영남, "새로운 기록방법론을 위한 기호론적 접근" 한국기록학회 (41) : 113-173, 2014
36 이영남, "상징아카이빙 :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38) : 125-187, 2013
37 Giddens, Anthony, "사회구성론" 자작아카데미 1998
38 이정연,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의 시·공간으로서 경관 아카이브 연구: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39 Foucault, Michel, "말과 사물" 민음사 2012
40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민음사 2011
41 Hall, Sean, "기호학 입문: 의미와맥락" 도서출판 비즈앤비즈 2016
42 노명환, "기호학 및 ‘성리학적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기록과 기록관리 행위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의 이해: 레코드 컨티뉴엄의 보완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문화연구소 (57) : 149-220, 2016
43 Eco, Umberto, "기호: 개념과 역사" 도서출판 열린책들 2009
44 조민지, "기록과 기억의 문화정치 : 국가기록 전시의 기호학적 접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45 노명환, "국정통치기록의 이관에 관한 국제비교 미국, 독일, 프랑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48) : 145-210, 2013
46 Klotz, Audie, "구성주의 이론과국제관계 연구 전략"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47 노명환, "구성주의 이론 시각에서 본 기록학/기록관리의 패러다임 변화와 기록화 전략의 의미와 의의: 거버넌스 사회의 실현과 역사연구의 새 지평을 위하여" 역사문화연구소 (45) : 313-358, 2013
48 노명환,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발전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10) : 97-121, 2011
49 김성민, "건축과 공간의 상징성 아카이빙의 의미와 방법모색: 명동성당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50 박성수, "體相用 원리에 의거한 불교경전 아카이브" 한국외대 대학원 2016
51 정만조, "承政院日記의 作成과 史料的 價値" 한국학연구소 24 : 95-116, 2002
52 吳恒寧, "實錄의 儀禮性에 대한 硏究 ― 象徵性과 編纂慣例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26) : 5-38, 2003
53 노명환, "‘성리학적 구성주의’와 기호학 이론을 적용한 빌리 브란트와 김대중의 분단극복 정책과 사상의 비교" 2015
54 Meung-Hoan Noh, "The Value and Meaning of Semiotics for Archival Scienc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3
55 O’Toole, James M.,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Archives" 56 (56): 234-255, 1993
56 Burke, Frank G., "The Future Course of Archival Theory in the United States" 44 : 40-46, 1981
57 Gustafson, Milton O., "The Empty Shrine: The Transfer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Constitution to the National Archives" 39 (39): 271-285, 1976
58 Meung-Hoan Noh, "Sunglihak (metaphysics on human nature and universe order), Confucian Community Construction, and Records/Archives Management of Joseon Dynasty of Korea" UCLA 2012
59 Upward, Frank,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Part Two: Structuration Theory and Recordkeeping. Archives and Manuscripts"
60 Upward, Frank, "Structuring the Records Continuum, Part One: Postcustodial Principles and Properties. Archives and Manuscripts"
61 Booms, Hans,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a Documentary Heritage : Issues in the Appraisal of Archival Sources" 24 : 69-107, 1987
62 Gilliland, Anne, "Reflections on the Value of Metadata Archaeology for Recordkeeping in a Global, Digital World" 32 : 103-118, 2011
63 Geuijen, Karin, "Post-Modernism and Anthropology: Theory and Practice" Van Gorcum and Comp BV 1995
64 Cook, Terry, "Fashionable Nonsense or Professional Rebirth : Postmodernism and the Practice of Archives" 51 : 14-35, 2001
65 Meung-Hoan Noh, "Der Prozess der Zivilisationen: 20 Jahre nach Huntington. Analysen für das 21" Frank & Timme Verlag 2014
66 Capra, Fritjof, "Das Tao der Physik: Die Konvergenz von westlicher Wissenschaft und östlicher Philosophie" Scherz 1983
67 Ketelaar, Eric, "Being Digital in People’s Archives" 31 (31): 8-22, 2003
68 Posner, Ernst, "Archives in the Ancient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1972
69 Cook, Terry, "Archival science and postmodernism : new formulations for old concepts" 1 (1): 3-24, 2001
70 김경수,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27 : 15-57, 2008
71 신병주, ""朝鮮王朝實錄"의 奉安儀式과 관리" 115 : 75-105, 2001
72 연갑수, ""日省錄"의 사료적 가치와 활용 방안" 27 : 37-85, 2004
73 신병주, ""承政院日記"의 자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24 : 1-20,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