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지역주의는 지역내 경제협력과 안보문제에 치중한 반면 신지역주의에서는 사회문화 분야를 포함하며 정체성 형성에 대한 관심을 보인다. 교육협력은 신지역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18442
2012
-
900
KCI등재
학술저널
187-210(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구지역주의는 지역내 경제협력과 안보문제에 치중한 반면 신지역주의에서는 사회문화 분야를 포함하며 정체성 형성에 대한 관심을 보인다. 교육협력은 신지역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
구지역주의는 지역내 경제협력과 안보문제에 치중한 반면 신지역주의에서는 사회문화 분야를 포함하며 정체성 형성에 대한 관심을 보인다. 교육협력은 신지역주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이는 구성주의적 시각에서 살필 수 있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지역내 협력과 함께 지역간 협력 현상이 대두되었는데 교육분야의 협력은 비교적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와 유럽의 지역내 교육협력과 아셈을 위시한 양지역간 교육협력 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대서양 협력이나 태평양 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던 아시아와 유럽간 협력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협력에서의 지역내 및 지역간 비대칭성이 극복되어야 하며 유럽의 경험을 반면교사로 하여 아시아에서의 진전된 지역협력을 위해 현실적으로 한중일 협력이 중요하며 캠퍼스 아시아 사업의 새로운 시도를 통해 동아시아의 지역주의와 정체성 형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와 태국어의 어휘 비교 연구 -중국어 영향을 중심으로-
Thematic Progression in Thai Historical 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