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만성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보리 추출물 섭취가 Cytochrome P450 효소 조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56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에서는 보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 유도 P450 계열 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라디칼 및 중간체의 발생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증강에 의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 mice를 대상으로 대조군(Control), 알코올군(EtOH),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EtOH-B)으로 나누어 전체 열량의 35%에 해당하도록 조성된 알코올 액체 식이를 알코올군 및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에 28일 간 공급하였다. 알코올 투여군은 P450 함량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추출물 급여군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는 알코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 추출물 투여군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체 내 방어시스템의 변화 면에서 알코올 급여군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catalase 활성이 보리 추출물 급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CYP2E1의 활성억제에 의한 라디칼 발생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보리 추출물은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 효소 활성의 억제와 생체 내 방어 기작의 효과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알코올성 간 손상의 개선 소재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보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 유도 P450 계열 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라디칼 및 중간체의 발생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증강에 의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 mice를 ...

      본 연구에서는 보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 유도 P450 계열 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라디칼 및 중간체의 발생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증강에 의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 mice를 대상으로 대조군(Control), 알코올군(EtOH),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EtOH-B)으로 나누어 전체 열량의 35%에 해당하도록 조성된 알코올 액체 식이를 알코올군 및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에 28일 간 공급하였다. 알코올 투여군은 P450 함량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추출물 급여군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는 알코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 추출물 투여군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체 내 방어시스템의 변화 면에서 알코올 급여군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catalase 활성이 보리 추출물 급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CYP2E1의 활성억제에 의한 라디칼 발생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보리 추출물은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 효소 활성의 억제와 생체 내 방어 기작의 효과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알코올성 간 손상의 개선 소재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barely (Hordeum vulgare) on alcohol-induced damages of liver were investigated in male ICR mic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ethanol, and ethanol plus 0.15% of barley extract. After four weeks of ethanol feeding, ethano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450 content, CYP2E1 and CYP1A2 enzyme activities, whereas ethanol plus barely group markedly decreased to levels similar to control group. Catalase activity in ethan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however, ethanol plus barely group stimulated catalase activity as well as SOD activit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arely extract modulated P450 enzymes for ethanol-induced liver damage and might be useful in developing functional food for alcoholic liver damage.
      번역하기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barely (Hordeum vulgare) on alcohol-induced damages of liver were investigated in male ICR mic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ethanol, and ethanol plus 0.15% of barley extract. After four weeks of et...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barely (Hordeum vulgare) on alcohol-induced damages of liver were investigated in male ICR mic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ethanol, and ethanol plus 0.15% of barley extract. After four weeks of ethanol feeding, ethano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450 content, CYP2E1 and CYP1A2 enzyme activities, whereas ethanol plus barely group markedly decreased to levels similar to control group. Catalase activity in ethan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however, ethanol plus barely group stimulated catalase activity as well as SOD activity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arely extract modulated P450 enzymes for ethanol-induced liver damage and might be useful in developing functional food for alcoholic liver dam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희복, "알코올 간질환" 대한소화기학회 53 (53): 275-282, 2009

      2 김세나, "식이에 첨가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가 만성적으로알코올을 섭취한 쥐에서 간조직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105-110, 2007

      3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4 심창구, "생물약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96-299, 1999

      5 석호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9-892, 2002

      6 Omura T, "The carbon monoxide-binding pigment of liver microsomes. I. Evidence for its hemoprotein nature" 239 : 2370-2378, 1964

      7 McCord JM,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244 : 6049-6055, 1969

      8 Wolf KK, "Role of CYP3A and CYP2E1 in alcohol-mediated increases in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comparison of wild-type and Cyp2e1(-/-) mice" 35 : 1223-1231, 2007

      9 Wilson TA, "Reduced and high molecular weight barley beta-glucans decrease plasma total and non-HDL-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Syrian golden hamsters" 134 : 2617-2622, 2004

      10 Kamimura A, "Procyanidin B-3, isolated from barley and identified as a hair-growth stimulant, has the potential to counteract inhibitory regulation by TGF- beta1" 11 : 532-541, 2002

      1 채희복, "알코올 간질환" 대한소화기학회 53 (53): 275-282, 2009

      2 김세나, "식이에 첨가한 Conjugated Linoleic Acid (CLA)가 만성적으로알코올을 섭취한 쥐에서 간조직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105-110, 2007

      3 유양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4-159, 2009

      4 심창구, "생물약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96-299, 1999

      5 석호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상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4 (34): 889-892, 2002

      6 Omura T, "The carbon monoxide-binding pigment of liver microsomes. I. Evidence for its hemoprotein nature" 239 : 2370-2378, 1964

      7 McCord JM,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ic function for erythrocuprein (hemocuprein)" 244 : 6049-6055, 1969

      8 Wolf KK, "Role of CYP3A and CYP2E1 in alcohol-mediated increases in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comparison of wild-type and Cyp2e1(-/-) mice" 35 : 1223-1231, 2007

      9 Wilson TA, "Reduced and high molecular weight barley beta-glucans decrease plasma total and non-HDL-cholesterol in hypercholesterolemic Syrian golden hamsters" 134 : 2617-2622, 2004

      10 Kamimura A, "Procyanidin B-3, isolated from barley and identified as a hair-growth stimulant, has the potential to counteract inhibitory regulation by TGF- beta1" 11 : 532-541, 2002

      11 Caro AA,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44 : 27-42, 2004

      12 Caro AA, "Oxidative stress, toxicology, and pharmacology of CYP2E1" 44 : 27-42, 2004

      13 Jaeschke HG, "Mechanism of hepatotoxicity" 65 : 166-176, 2002

      14 Gaudineau C, "Inhibition of human P450 enzymes by multiple constituents of the Ginkgo biloba extract" 318 : 1072-1078, 2004

      15 Schoedel KA, "Induction of nicotine-metabolizing CYP2B1 by ethanol and ethanol-metabolizing CYP2E1 by nicotine: summary and implications" 1619 : 283-290, 2003

      16 Schoedel KA, "Induction of nicotine-metabolizing CYP2B1 by ethanol and ethanol-metabolizing CYP2E1 by nicotine: summary and implications" 1619 : 283-290, 2003

      17 Marí M, "Induction of catalase, alpha, and microsomal glutathione S-transferase in CYP2E1 overexpressing HepG2 cells and protection against short-term oxidative stress" 33 : 652-661, 2001

      18 Zduńczyk Z,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barley, husked oat, naked oat, triticale, and buckwheat wast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growth and biomarkers of antioxidant status in rats" 54 : 4168-4175, 2006

      19 Rizzo N, "Impact of long-term ethanol consumption on CYP1A2 activity" 62 : 505-509, 1997

      20 Rizzo N, "Impact of long-term ethanol consumption on CYP1A2 activity" 62 : 505-509, 1997

      21 Shim SI, "Hepatopotective Effects of Black Rice on Superoxide Anion Radicals in HepG2 Cells" 한국식품과학회 15 (15): 993-996, 2006

      22 Gillam EM, "Expression of modified human cytochrome P450 3A4 in Escherichia coli and purificat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enzyme" 305 : 123-131, 1993

      23 Hidestrand M, "Effects of light and dark beer on hepatic cytochrome P-450 expression in male rats receiving alcoholic beverages as part of total enteral nutrition" 29 : 888-895, 2005

      24 Heeok Hong, "Effects of Malted Barley Extract and Banab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Genetically Diabetic Mic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7 (7): 487-490, 2004

      25 Zuber R, "Effect of silybin and its congeners on human liver microsomal cytochrome P450 activities" 6 : 632-638, 2002

      26 Kessova IG, "Effect of beta-carotene on hepatic cytochrome P-450 in ethanol-fed rats" 25 : 1368-1372, 2001

      27 Aebi H, "Catalase in vitro" 105 : 121-126, 1984

      28 Lieber CS, "CYP2E1: ASH to NASH" 28 : 1-11, 2004

      29 Lu Y, "CYP2E1 and oxidative liver injury by alcohol" 44 : 723-738, 2008

      30 McLean L, "Aminoflavone induces oxidative DNA damage and reactive oxidative species-mediated apoptosis in breast cancer cells" 122 : 1665-167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