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늦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광장을 밝혔던 촛불, 그 항쟁을 통하여 시민들은 정권교체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시민들이 그렸던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 가는 길은 아직 멀다. 주권자인 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52352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104(5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늦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광장을 밝혔던 촛불, 그 항쟁을 통하여 시민들은 정권교체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시민들이 그렸던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 가는 길은 아직 멀다. 주권자인 국...
2016년 늦가을부터 2017년 봄까지 광장을 밝혔던 촛불, 그 항쟁을 통하여 시민들은 정권교체를 이루어냈다. 하지만 시민들이 그렸던 새로운 민주공화국으로 가는 길은 아직 멀다. 주권자인 국민이 주권을 온전히 행사하는 나라, 대표들이 국민의 뜻에 따라 국가의사결정을 하고 국민에게 책임지는 나라, 그리고 모든 중요한 국가적 의사결정과정에 국민들이 자유롭고 의미 있게 참여하는 나라, 이것이 촛불시민이 원했고 지금도 원하고 있는 진정한 민주공화국일 것이다.
이런 관점을 전제로 하여 이 글에서는 새로운 민주공화국의 수립을 위한 `권력구조의 민주적 재편`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직접민주주의의 현실화, 대의민주주의의 정상화, 그리고 숙의민주주의의 제도화가 그것이다.
첫째, 직접민주주의의 현실화 방안으로서 국민소환제와 국민발안 및 국민표결제의 필요성과 도입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국민소환과 관련해서는 국회의 탄핵소추와 국민투표에 의한 탄핵결정이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대의민주주의 정상화 방안으로서는, 선거제도 개혁과 함께 선출직 공직자의 임기제도 개선, 그리고 국회의 기능 강화와 고위공직자 임명제도 개선 및 사법권력의 구성방식과 권한 재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숙의민주주의의 제도화를 모색하면서, 일부 정치학자들에 의하여 제시된 시민의회 구상의 내용과 특징을 검토하고 그 한계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이런 논의들을 통하여 필자는 `이게 나라냐?`라는 촛불시민들의 질문에 `이게 나라다!`라고 답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ts of citizens have brightened the plaza with countless candles for nearly five months since late October, 2016, and finally they achieved a regime change. However the new democratic republic they envisaged is yet too far. Those citizens wanted, and...
Lots of citizens have brightened the plaza with countless candles for nearly five months since late October, 2016, and finally they achieved a regime change. However the new democratic republic they envisaged is yet too far. Those citizens wanted, and still want a democratic state where sovereign people exert their sovereignty fully. In such a state representatives of the citizen make decisions following people`s will and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em. What the people wants is an open and republican society where every single citizen can freely and widely participate in the important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tate.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citizens, I suggested three directions for the democratic reform of the state power structure as follows:
First, realization of direct democrac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emocratic state is suggested. For that, I am proposing various ways of direct democracy including recall, people`s initiative and referendum.
Second, I emphasized the normaliza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o make the state republican. Reforming the election system and the term of elected officials,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parliament, improving the appointment system of high officers, and restructuring the judicial power are suggested.
Third, I proposed to institutionalize a deliberative democracy for securing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For this, I examined the political ideas of Citizens` Assembly.
In short, I tried to answer the question: “Is this worthy of a state?”, with a reply: “This is the stat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현, "헌법개정의 기본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49-82, 2006
2 함께하는 시민행동,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007
3 김상준,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144-185, 2007
4 오현철,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93-313, 2007
5 박동천, "한국 민주주의에서 의회제의 적실성" 2017
6 알렉산더 해밀턴, "페더랄리스트 페이퍼" 한울아카데미 1995
7 곽노현, "탄핵이후 국면, 시군구 지역민회로 돌파하자"
8 김도현, "청소년보호법의 이념과 현실: ‘배제’에서 ‘대화’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2 : 2-84, 2002
9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한나라당 조진형 의원 대표발의안)에 대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의견서"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43) : 549-556, 2010
10 김종서, "집시법의 몇 가지 문제점 - 집회의 개념, 사전신고제, 야간옥외집회 금지에 관하여 -" 법학연구소 13 (13): 147-178, 2010
1 김문현, "헌법개정의 기본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49-82, 2006
2 함께하는 시민행동,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007
3 김상준,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144-185, 2007
4 오현철, "헌법 다시 보기: 87년 헌법 무엇이 문제인가" 창비 293-313, 2007
5 박동천, "한국 민주주의에서 의회제의 적실성" 2017
6 알렉산더 해밀턴, "페더랄리스트 페이퍼" 한울아카데미 1995
7 곽노현, "탄핵이후 국면, 시군구 지역민회로 돌파하자"
8 김도현, "청소년보호법의 이념과 현실: ‘배제’에서 ‘대화’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2 : 2-84, 2002
9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한나라당 조진형 의원 대표발의안)에 대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의견서" 민주주의 법학연구회 (43) : 549-556, 2010
10 김종서, "집시법의 몇 가지 문제점 - 집회의 개념, 사전신고제, 야간옥외집회 금지에 관하여 -" 법학연구소 13 (13): 147-178, 2010
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 개정 의견"
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치관계법 개정 의견"
13 김종서, "정당해산에 관한 베니스위원회 기준과 그 적용 ―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를 계기로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6) : 57-96, 2014
14 김종서, "인터넷 선거운동의 주요 쟁점 검토" 한국헌법학회 18 (18): 1-50, 2012
15 김종서, "인권과 권력구조: 국가권력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통제" (12) : 32-52, 1997
16 김명식, "사법권독립과 민주주의의 조화 -미국의 州법관선거제도에 대한 찬반논쟁을 중심으로-" 미국헌법학회 22 (22): 1-28, 2011
17 하승수, "박근혜 이후, 새로운 정치체제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18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5
19 김종서,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본 헌법재판제도 ― 미국의 논의를 중심으로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54) : 317-367, 2014
20 김선택, "민주주의의 구조변화와 헌법개혁" 안암법학회 통 (통): 1-43, 2007
21 곽준혁,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헌정체제의 두 가지 원칙" 한국정치학회 39 (39): 33-57, 2005
22 국순옥, "민주주의 헌법론" 아카넷 2015
23 케빈 올리어리, "민주주의 구하기: 미국에서 날아온 하나의 혁신적 개혁 모델" 글항아리 2014
24 신용인, "민주공화주의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28 (28): 339-372, 2016
25 이진순, "듣도 보도 못한 정치" 문학동네 2016
26 권영설,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그 긴장과 조화의 과제" 한국공법학회 33 (33): 125-158, 2004
27 박경철, "대의민주주의국가에서 직접민주제적 제도의 헌법적 의미" 한국토지공법학회 29 : 483-510, 2005
28 박명림, "다음 국가를 말하다: 공화국을 위한 열세 가지 질문" 웅진지식하우스 2011
29 김종서, "광장 한 가운데서, 촛불 이후를 생각한다"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3) : 77-137, 2017
30 김경희, "공화주의" 책세상 2009
31 조승래, "공화국을 위하여" 길 2010
32 허석재, "결선투표제는 좋은 제도인가?"
33 하승수, "개헌특위 대신 ‘국민개헌참여법’을"
34 박규하, "政治的 基本權과 實質的 國民主權理論" 법학연구소 (28) : 67-115, 2007
35 김종서, "“헌법과 정치개혁”, 정치개혁, 더 미룰 수 없다!"
36 Waldron, J., "The Core of the Case Against Judicial Review" 115 : 1346-1406, 2006
37 Davis, Christopher M., "Presidential Appointee Positions Requiring Senate Confirmation and Committees Handling Nominations" 2017
38 Waldron, J., "Law and Disagre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9 Piaker, Zach, "Help Wanted: 4,000 Presidential Appointees"
40 주성수, "'직접, 대의, 심의' 민주주의 제도의 통합 : 주민투표와 주민발안 사례를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77-204, 2007
촛불집회와 사법부 : 오욕과 회한의 세월에서부터 민주적 사법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5 | 1.186 | 0.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