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지훈, "현대 중국의 한국전쟁 인식 변화 — 역사 교과서의 서술 변화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4) : 311-348, 2018
2 장희흥, "한ㆍ중 역사 교과서의 왜란 서술 내용 분석" 한국사학회 (96) : 125-154, 2009
3 김한종, "한·중·일 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고구려연구재단 2005
4 김지훈, "한·중 역사갈등 줄이기-동북공정과 중국의 역사교과서-" 17 : 2007
5 김지훈 ; 鄭永順, "최근 중국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한국사 ―역사교학대강 교과서와 역사과정표준 교과서의 비교검토―" 중국근현대사학회 (23) : 161-192, 2004
6 김지훈, "최근 중국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한국사" 23 : 2004
7 권소연, "중국의 역사교육과 교과서" 고구려연구재단 2006
8 방영춘, "중국의 역사교육" 8 : 1992
9 김종박, "중국의 역사교과서와 통일적다민족국가론"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젠보짠, "중국사강요 2(오대십국부터 근대까지)" 중앙북스 2015
1 김지훈, "현대 중국의 한국전쟁 인식 변화 — 역사 교과서의 서술 변화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64) : 311-348, 2018
2 장희흥, "한ㆍ중 역사 교과서의 왜란 서술 내용 분석" 한국사학회 (96) : 125-154, 2009
3 김한종, "한·중·일 3국의 근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고구려연구재단 2005
4 김지훈, "한·중 역사갈등 줄이기-동북공정과 중국의 역사교과서-" 17 : 2007
5 김지훈 ; 鄭永順, "최근 중국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한국사 ―역사교학대강 교과서와 역사과정표준 교과서의 비교검토―" 중국근현대사학회 (23) : 161-192, 2004
6 김지훈, "최근 중국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과 한국사" 23 : 2004
7 권소연, "중국의 역사교육과 교과서" 고구려연구재단 2006
8 방영춘, "중국의 역사교육" 8 : 1992
9 김종박, "중국의 역사교과서와 통일적다민족국가론"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젠보짠, "중국사강요 2(오대십국부터 근대까지)" 중앙북스 2015
11 송요후, "중국과 타이완·홍콩 역사교과서 비교" 동북아역사재단 2008
12 장희흥, "중국계 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분석 - 중국 · 대만 · 홍콩을 중심으로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7) : 197-230, 2009
13 오병수, "중국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양식과 역사인식" 80 : 2001
14 강택구 ; 박재영, "중국 조선족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내용분석(Ⅰ) - 중국 조선족의 정체성과 중국의 역사 만들기 -" 백산학회 (81) : 409-436, 2008
15 권소연, "중국 의무교육교과서 『중국역사』 근대사 서술분석 -국정화 교과서의 역사인식의 특징과 교과서 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33) : 49-82, 2019
16 윤세병, "중국 역사교과서의 서사 구조와 이데올로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47-87, 2013
17 임상선, "중국 역사교과서의 북방민족영토관련 서술분석" 101 : 2015
18 윤재운, "중국 역사교과서에 보이는 소수민족정책과 내용" 역사교육학회 (44) : 81-113, 2010
19 김종건,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명청사(明淸史)내용과 변화 검토-최근 초급중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27 : 2004
20 문형진 ; 최갑순, "중국 역사교과서(1949~2003)의 한국 현대사 서술" 역사문화연구소 (24) : 383-412, 2006
21 윤휘탁, "중국 역사 교과서의 민족·국가·영토 문제" 동북아역사재단 2006
22 권은주,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고조선(한4군)과 임나일본부에 대한 서술 변화 - 식민사학의 영향과 중화주의가 결합한 한국고대사상(像)" 동북아역사재단 (74) : 165-200, 2021
23 이경룡, "중국 대학 역사교재 속의 한국·한국사" 동북아역사재단 2008
24 김유리, "중국 교육과정의 변천과 역사교육" 2 : 2001
25 윤세병, "중국 교과서 속의 지도의 현황과 문제점-인민교육출판사판 초중 [중국역사]를 중심으로" 20 : 2010
26 이유표, "중국 고등교육 역사 교재 중국사강요 의 편찬과 개정- 노예사회, 봉건사회 서술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725-746, 2021
27 정동준, "중국 『역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분석 ― 2016년판 중학교 국정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52) : 191-230, 2019
28 손성욱, "종번(宗藩)과 중화(中華)로 청제국을 볼 수 있는가 - 왕위안총 ‘조선 모델’의 가능성과 한계" 동북아역사재단 (66) : 116-160, 2019
29 손성욱, "종번(宗藩) 해석과 중국 대외관계 인식" 2022
30 이승민, "조선산 黃毛筆의 생산과 일본과의 교역" 한일관계사학회 (70) : 157-182, 2020
31 박정수,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문화갈등: 한중(韓中) 간 한류와 반한류의 사례분석" 아태지역연구센터 37 (37): 271-307, 2013
32 이희재, "백운화상초록직지심체요절과 조선 초기 활자 인쇄 문화" 한국서지학회 (28) : 99-136, 2004
33 장세윤, "근간 한·중 역사교과서의 양국 관련내용 검토" 68 : 2004
34 오병수, "국내 학계의 중국 역사교과서 연구 경향과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53) : 147-170, 2016
35 황정하, "고려시대 금속활자의 발명과 「직지」활자 주조방법" 한국서지학회 (32) : 479-509, 2005
36 "고등학교 세계사" 미래엔 2020
37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미래엔 2020
38 吳靜, "麗末鮮初朱子學對朝鮮半島的影響" (18) : 2020
39 김순자, "韓國史의 構造와 展開(河炫綱敎授定年紀念論叢)" 혜안 2000
40 우성민, "韓‧中間 ‘相互理解와 歷史和解’의 認識 提高를 위한 歷史敎科書의 課題 - 韓‧中 中高校 歷史敎科書의 敍述 事例를 中心으로 -" 중국사학회 (75) : 231-264, 2011
41 谷小溪, "金昌業《老稼齋燕行日記》中的清代遼西走廊民俗" (1) : 2022
42 程水龍, "論朝鮮李朝将《近思錄》作爲策试的歷史文化意義" 2021
43 賈艶, "試論燕行使臣對中朝文化交流的貢献" (7) : 2022
44 陳在教, "燕行錄與知識及信息-知識及信息的收集與記錄方式" (2) : 2021
45 鄒愛芳, "朝鮮文字 “訓民正音”與中國哲學思想的相關性" 2020
46 王小芳, "朝鮮文人李海應燕行詩歌中的中國元素" (4) : 2021
47 金哲, "明清时期“燕行錄”中孟姜女傳說變异考-以“情節”和“人物”演變爲例" (3) : 2022
48 劉喜濤, "明朝東亞地缘政治思想及其在抗倭援朝戰爭中的體現" 2021
49 孫衛國, "明抗倭援朝水師統帥陳璘與露粱海戰" (4) : 2020
50 周一良, "明代援朝抗倭戰爭" 北京古籍出版社 2019
51 劉子敏, "明代抗倭援朝戰爭" 香港亚洲出版社 2006
52 孫衛國, "挂席浮沧海 長風萬里通-中國古代文化對朝鮮半島的影响" 2021
53 柳樹人, "壬辰抗倭戰爭" (2) : 1987
54 王微笑, "古文書學視域下的燕行錄研究献議-從奎章閣藏《啓下》談起" (4) : 2022
55 孫衛國, "古代朝鮮對纪传体的認知與實践" 2022
56 剪伯贊, "中國史綱要" 人民出版社 2006
57 朱紹侯, "中國古代史 上" 第5版修訂說明 2010
58 김종건, "中國 歷史敎科書上의 韓國 關聯 敍述 內容 變化에 대한 檢討 -最近 初級中學 『中國歷史』 敎科書를 中心으로-" 중국사학회 (69) : 129-156, 2010
59 임상훈, "中國 國定 歷史敎科書 中外歷史綱要의 導入과 그 性格" 역사문화연구소 (82) : 223-246, 2022
60 오병수, "中國 中等學校 歷史敎育課程의 推移와 最近 動向"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61 李荣, "中唐岭南谪臣與越南獨立-基于《熱河日記》文献的中國岭南歷史認識" (4) : 2022
62 오병수, "中, 日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運用 實態" 역사교육연구회 (91) : 51-72, 2004
63 金明實, "《燕行錄》中的遼貯歷史文化資源開發與保護研究-以遼陽地區爲中心" (6) : 2022
64 조영헌, "‘문명굴기’와 제삼세계: 2000년 이후 중국 고등학교 세계사 인식" 112 : 2009
65 구도영, "Items of Tributary Gifts (Pangmul 方物) Sent to the Ming Dynasty by Chosŏn and their Changing Trends" 한국사연구소 26 (26): 151-180, 2021
66 이성원, "2019 검정 교과서 『중학교 역사 ①』의 분석 ― 중국 고대사를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97) : 103-141, 2021
67 구도영, "16세기 조선 대명對明 사행무역使行貿易의수입품과 그 전개양상" 한국국학진흥원 (34) : 709-76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