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기환, "한사군은 ‘어디에 있었나?’ 그리고 ‘어떤 역사인가?’" 60 : 2015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3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4 송호정,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과 그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100) : 17-55, 2016
5 정호섭,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구려사와 발해사 서술 검토" 한국고대학회 (46) : 43-76, 2015
6 강종훈,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린 역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선사·고대 부분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6) : 211-245, 2008
7 장신, "조선총독부의 언론통제와 동아일보․조선일보 폐간"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87-424, 2016
8 김수태, "제7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정치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47-82, 2003
9 이정빈,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와교육학회 (27) : 85-125, 2018
10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1 임기환, "한사군은 ‘어디에 있었나?’ 그리고 ‘어떤 역사인가?’" 60 : 2015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상고사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3 젊은역사학자모임, "한국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 역사비평사 2017
4 송호정, "최근 한국상고사 논쟁의 본질과 그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100) : 17-55, 2016
5 정호섭,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고구려사와 발해사 서술 검토" 한국고대학회 (46) : 43-76, 2015
6 강종훈,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실린 역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선사·고대 부분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06) : 211-245, 2008
7 장신, "조선총독부의 언론통제와 동아일보․조선일보 폐간" 역사문제연구소 20 (20): 387-424, 2016
8 김수태, "제7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 정치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47-82, 2003
9 이정빈,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와교육학회 (27) : 85-125, 2018
10 이부오,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225-267, 2010
11 이문영, "유사역사학비판-"환단고기"와 일그러진 고대사-" 역사비평사 2018
12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13 기경량, "사이비 역사학과 역사 파시즘" 역사문제연구소 (114) : 218-237, 2016
14 정요근, "박근혜 정부의 비호 아래 진행된 국수주의 유사 역사의 세력 확장" 70 : 2018
15 송기호, "동아시아의 역사분쟁" 솔 2007
16 이정빈,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31) : 7-37, 2018
17 윤종영, "국사교과서 파동" 혜안 1999
18 조인성,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사학의 망령" 역사문제연구소 (118) : 10-39, 2017
19 조인성, "‘고대사 파동’과 고조선 역사지도" 한국사연구회 (172) : 1-33, 2016
20 임기환, "3~7차 교육과정 국정 국사교과서의 고조선, 한군현 관련 서술의 변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21-44, 2017
21 안정준, "1990년대 이후 한국학계의 樂浪郡 연구현황과 문제의식" 인문학연구원 (34) : 99-12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