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서비스 공공성 측정의 한계와 과업 - 공공성 평가 틀의 재구성 - = The Limitations and New Direction of Publicness Assessment in Social Servic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사회서비스 공공성 측정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 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측...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사회서비스 공공성 측정의 한계를 살펴보고, 향후 관련 연구 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측정은 공공성 추구 주체에 기반을 둔 해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공공성 측정의 한계는 상반된 관점의 공공성 측정 기준을 동시에 적용하고, 사회서비스를 포함하는 공공서비스와 관련된 가치들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개념적 논의들에서 언급된 사회정의, 민주주의, 공평, 공정 등 공공성의 속성, 내용, 기준으로 제시된 개념들은 공공성의 실제 내용이라할 수 있는 공공 가치로써 공공성을 평가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 가치를 반영하는 공공성 평가의 틀을 재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공 가치를 반영함 있어 공공의 의미로서 사회구성원인 시민에게 초점을, 가치의 의미로서 성과나 결과뿐만 아니라 공공의 가치가 반영되는 과정과 내용까지 포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성 평가에 대한 실증적 방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못하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제시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공공성의 본질적 개념으로서 공공 가치를 고려하는 새로운 평가 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ublicness measurement and provide new tasks directions. Despite the discussion of various views, measure of publicness has limitations on the extent of public disclos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the p...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publicness measurement and provide new tasks directions. Despite the discussion of various views, measure of publicness has limitations on the extent of public disclosur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the public sector. Additionally, previous empirical studies are inconsistent and subject to conflicting measurement criteria.
      According to this situation, this study review development process of publicness and find that the public s perception of public values, or the ways of determining or simplifying public values, could distort or reduce the meaning of public values. Therefore it need for comprehensive visibility into public and values in terms of publicness.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at public disclosure of public values in evaluating public values should reflect the process of values, values, and outcomes as a means of achievement, as a means of evaluating public valu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has not specifically mentioned the feasibility of public values scrutiny and suggested that it is presented in an abstract dimension.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assessment as a fundamental concept of public values and public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측정과 한계
      • Ⅲ. 공공 가치의 다면성
      • Ⅳ. 공공성 평가 틀의 재구성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 측정과 한계
      • Ⅲ. 공공 가치의 다면성
      • Ⅳ. 공공성 평가 틀의 재구성
      • Ⅴ. 결 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정무권,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목" 사회과학연구원 50 (50): 33-79, 2011

      3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서울행정학회 18 (18): 1-22, 2007

      4 채장수, "정치 이념적 스펙트럼과 공공성: ‘사분 모델’의 모색" 동서문제연구원 25 (25): 133-154, 2013

      5 소영진, "정책평가에 있어서 가치의 역할에 관한 소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33-66, 2009

      6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21-249, 2014

      7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합리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23-451, 2017

      8 소영진, "새로운 시대의공공성 연구" 법문사 32-63, 2008

      9 김준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공공성 위기 고찰: 정당성 위기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187-208, 2014

      10 김종해, "사회서비스 시장화, 무엇을 위한 것인가" 105-122, 2008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정무권,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목" 사회과학연구원 50 (50): 33-79, 2011

      3 백완기, "한국행정과 공공성" 서울행정학회 18 (18): 1-22, 2007

      4 채장수, "정치 이념적 스펙트럼과 공공성: ‘사분 모델’의 모색" 동서문제연구원 25 (25): 133-154, 2013

      5 소영진, "정책평가에 있어서 가치의 역할에 관한 소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9 (19): 33-66, 2009

      6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 -현행 전략의 한계와‘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21-249, 2014

      7 석재은,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합리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423-451, 2017

      8 소영진, "새로운 시대의공공성 연구" 법문사 32-63, 2008

      9 김준현,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공공성 위기 고찰: 정당성 위기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4 (24): 187-208, 2014

      10 김종해, "사회서비스 시장화, 무엇을 위한 것인가" 105-122, 2008

      11 양기용, "사회서비스 공급체계변화와 공공성: 지역사회서비스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89-114, 2013

      12 문혜진, "사회복지서비스의 보편화와 공공성" 2012

      13 한동우,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 이행을 위한 지배구조의 요소" 한국비영리학회 7 (7): 3-42, 2008

      14 류연규, "복지국가 아동 돌봄 서비스 공공성 강화의 사회경제적 조건"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9) : 177-204, 2013

      15 주은선, "복지공급 주체로서 국가, 시장, 시민사회에 관한정책 패러다임 검토: 이념과 쟁점" 한국사회보장학회 32 (32): 175-202, 2016

      16 백선희, "보육서비스 공급체계의 공공성 강화 방안" 23-42, 2012

      17 선우덕, "노인요양서비스공급체계의 공공성 강화 방안" 43-61, 2012

      18 이승훈,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 개념과 사상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13) : 13-45, 2008

      19 권인석, "공공조직에 있어서 가치의 유형과 구조 : 논의의 제기" 한국조직학회 2 (2): 1-21, 2005

      20 박근후, "공공정책과정의 가치와 공공관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9) : 79-113, 2013

      21 권현정, "공공성이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2 남찬섭, "공공성의 재구성과 생활공공성의 등장 : 학교급식과 무상급식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56 (56): 77-114, 2013

      23 구혜란, "공공성은 위험수준을 낮추는가?: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2 (22): 19-47, 2015

      24 은재호, "공공성 개념 연구 : ‘프랑스식 공공서비스’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213-239, 2008

      25 주은혜, "공공가치실패모형(Public Value Failure model)을 적용한 서울시 무상급식정책 분석 - 무상급식정책의 공공가치실패 가능성 진단 -" 한국정책학회 25 (25): 269-296, 2016

      26 곽현근, "‘공적 가치 관리’의 맥락에서 바라본 시민관점의 공공서비스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행정학회 22 (22): 201-228, 2011

      27 West, K., "What is the public value of government action? towards a(new)pragmatic approach to values questions in public endeavours" 89 (89): 226-241, 2011

      28 Bozeman, B., "The ‘Publicness Puzzle’ in the Organization Theory : A Tes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of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4 (4): 197-223, 1994

      29 Pesch, U., "The Public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40 (40): 170-193, 2008

      30 Rhodes, R., "The Limits to Public Value, or Rescuing Responsible Government from the Platonic Guardians" 66 (66): 406-421, 2007

      31 Haque, M. S., "The Diminishing Publicness of Public Service under the Current Mode of Governance" 16 (16): 65-82, 2001

      32 Bahel, T., "The Changing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services in England and Wales, France and Germany : is the welfare state on the retreat?" 13 (13): 5-20, 2003

      33 Moulton, S., "Putting Together the Publicness Puzzle : A Framework for Realized Publicness" 69 (69): 889-900, 2009

      34 Antonsen, M., "Publicness of Public Organization" 75 (75): 337-357, 1997

      35 Goodsell, C. T., "Publicness" 49 (49): 471-490, 2017

      36 Bozeman, B., "Public values and public interest : Counterbalancing economic individualism"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7

      37 Chandler, J. A., "Public administration and private management : Is there a difference?" 69 (69): 385-392, 1991

      38 Jǿrgensen, T. B., "Public Values-An Inventory" 39 (39): 354-381, 2007

      39 Bozeman, B., "Public Values Concepts and Criteria: The Case for “Progressive Opportunity” as a Criterion" University of Minnesota, Center for Integrative Leadership 1-31, 2012

      40 Benington, J., "Public Values -Theory & Practice" Palgrave Macmillan 31-51, 2011

      41 Mulgan G., "Public Values -Theory & Practice" Palgrave Macmillan 212-224, 2011

      42 Horner, L., "Public Values -Theory & Practice" Palgrave Macmillan 112-126, 2011

      43 Meynhardt, T., "Public Value Inside : What is Public Value Creation?" 32 (32): 192-219, 2009

      44 Talbot, C., "Paradoxes and prospects of ‘public value’" 31 (31): 27-34, 2011

      45 Anheier, H. K., "Nonprofit Organization: Theory, management, policy" Routledge 2005

      46 Dolnicar, S., "Mission or money? Competitive challenges facing public sector nonprofit organisations in an institutionalised environment" 13 : 107-117, 2008

      47 Mulgan, G., "Measuring Social Value" (Summer) : 38-43, 2010

      48 Talbot, C., "Measuring Public Value A competing values approach" Work Foundation 2008

      49 Moore, M. H., "Managing for Value : Organizational Strategy in For-Profit, Nonprofit, and Government Organization" 18 (18): 183-204, 2000

      50 Alfird, J., "Making Sense of Public Value : Concepts, Critiques and Emergent Meaning" 32 : 171-191, 2009

      51 Lowndes, V.,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 The Impact of Rules-in-use" 84 (84): 539-561, 2006

      52 Bozeman, B., "Integrative Publicness : A Framework for Public Management Strategy and Performance" 21 (21): 363-380, 2011

      53 O' Flynn, J., "From New Public Management to Public Value : Paradigmatic Change and Managerial Implications" 66 (66): 353-366, 2007

      54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Allyn & Bacon 2010

      55 Andrews, R., "Dimensions of Publicn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Review of the Evidence" 21 : i301-i319, 2011

      56 Sen, A., "Democracy as a Universal Value" 10 (10): 3-17, 1999

      57 Moore, M. H., "Creating Public Value: Strategic Management in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58 Kelly, G., "Creating Public Valu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Public Services Reform" Cabinet Office Strategy Unit 2002

      59 Evers, A., "Civicness and Civility : Their Meanings for Social Services" 20 : 239-259, 2009

      60 Williams, I., "Appraising Public Value : Past, Present and Futures" 89 (89): 1367-1384, 2011

      61 Bozeman, B., "All Organizations Are Public: Bridg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Theory" Jossey-Bass 1987

      62 Schwartz, S. H., "Advances in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Academic Press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6 1.41 1.78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