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쭉제』의 유해 찾기, 장례 모티프의 상징적 의미와 해한 구조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zalea Festival』 as Finding the remains of a person, the Symbolic Meaning Structure of the Funeral Motif and relieving one’s resen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68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철쭉제』는 불효의 한을 심리적 기제로 하여 아버지의 유해 찾기와 유해의 안장의례가 중심서사를 이루는 작품으로 죽음과 재생의 제의 구조를 통해 한을 극복한 조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철쭉제』는 불효의 한을 심리적 기제로 하여 아버지의 유해 찾기와 유해의 안장의례가 중심서사를 이루는 작품으로 죽음과 재생의 제의 구조를 통해 한을 극복한 조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문순태의 『철쭉제』에 나타난 효 의식을 고찰하고 아버지의 유해 찾기 모티프와 장례의례 모티프를 통한 해한의 제의 구조를 고찰한다. 문순태의 『철쭉제』의 핵심 서사는 아버지의시신을 찾아 장례를 치러 효를 다하려는 아들의 엿새 동안의 지리산 등정으로 구성되며, 전반부서사는 나의 아버지에 대한 불효의 한과 한의 해소로 구성되고, 후반부 서사는 ‘나’와 ‘박판돌’ 가족의 비극적인 가족사로 구성된다. 특히 작품의 중심 모티프인 유해 찾기 모티프는 망자의 한을위로하는 의례로 기능하며, 인물 간에 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화해의 국면으로 전환하는 계기가된다. 또한 과거라는 시간 속에 봉인된 조부와 부친의 숨겨진 진실이 드러나면서 주인공의 참회와반성의 계기가 마련된다. 반면 제의 모티프는 죽음을 통한 재생의 과정을 구현하여, 어긋난 세계를 새로운 조화의 세계로 출발하게 한다. ‘철쭉꽃’이 가진 신성성을 매개로 베풀어지는 제의는곧 혼돈의 세계에서 질서를 부여하여 상실된 에너지를 회복하는 역할을 한다. 『철쭉제』는 개인의생의 위기, 집단의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희망, 새로운 질서를 탄생시키는 제의에 대한소설적인 기술이다. 『철쭉제』는 효라는 유교적 가치, 유해 찾기, 상 제례를 모티프로 통해 죽음-재생의 세계를 구현하는 제의로서 한 맺힘-한 풀림의 해한 구조를 서사화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zalea Festival” is a work that consists of the central narrative of father’s search for the remains and the saddle ritual of the remains, based on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ill-fated resentment, and shows the world of harmony that ove...

      ”The Azalea Festival” is a work that consists of the central narrative of father’s search for the remains and the saddle ritual of the remains, based on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ill-fated resentment, and shows the world of harmony that overcame it through the structure of death and regeneration. The core narrative of Moon Soon-tae’s “The Azalea Festival” consists of the six-day climb of Jirisan Mountain, where he tries to find his father’s body and perform a funeral, and the second half of the story consists of the tragic family history of “I” and “Park Pan-dol. In particular, the find remains motif, which is the central motif of the work, serves as a rite of consolation for the deceased, and provides a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s to change the phase of reconciliation. In addition, the hidden truth of the grandfather and father sealed in the time of the past is revealed,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main character’s penance and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motif of the offering embodies the process of regeneration through death, starting a new world of harmony. The offer, which is carried out through the medium of the sacredness of the azalea flower, serves to restore lost energy by giving order in the world of chaos. “The Royal Azalea Festival” is an epic story about the Confucian values of filial piety, the search for dead bodies, and the ritual for mourning through motifs, which unravels the resentment of being united and uni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화 유전자로서 효(孝) 2. 심리적 기제로서 불효의 한(恨) 3. 유해 찾기 모티프, 진실 드러내기 4. 장례 의례 모티프, 상실된 질서 회복 5. 마무리
      • 1. 문화 유전자로서 효(孝) 2. 심리적 기제로서 불효의 한(恨) 3. 유해 찾기 모티프, 진실 드러내기 4. 장례 의례 모티프, 상실된 질서 회복 5. 마무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길, "효 사상과 한국문학의 상관성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7) : 127-151, 2013

      2 J. G, Frazer, "황금가지Ⅱ" 삼성출판사 1997

      3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4 황수영, "충효사상의 한계와 비판적 재구성" 한국사상문화학회 (94) : 207-229, 2018

      5 문순태, "철쭉제" 삼성출판사 2008

      6 Mircea Eliade,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7 임돈희,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에서의 효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회 1982

      8 박대수, "장례문화에 투영된 한국인의 효 사상 연구" 24 : 2014

      9 최정묵, "유가 효사상의 본질과 현대적 의의" 한국동서철학회 (70) : 143-164, 2013

      10 한순미, "용서를 넘어선 포용 - 문순태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165-195, 2014

      1 정영길, "효 사상과 한국문학의 상관성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7) : 127-151, 2013

      2 J. G, Frazer, "황금가지Ⅱ" 삼성출판사 1997

      3 김택규,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4 황수영, "충효사상의 한계와 비판적 재구성" 한국사상문화학회 (94) : 207-229, 2018

      5 문순태, "철쭉제" 삼성출판사 2008

      6 Mircea Eliade,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7 임돈희,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에서의 효의 의미" 한국학중앙연구회 1982

      8 박대수, "장례문화에 투영된 한국인의 효 사상 연구" 24 : 2014

      9 최정묵, "유가 효사상의 본질과 현대적 의의" 한국동서철학회 (70) : 143-164, 2013

      10 한순미, "용서를 넘어선 포용 - 문순태 소설의 공간 변모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한국문학치료학회 30 : 165-195, 2014

      11 이경덕, "어느 외계인의 인류학 보고서" 사계절 2014

      12 여기현, "신고전시가론" 새문사 2002

      13 David Fontana, "상징의 비밀" 문학동네 2003

      14 이상섭, "문학비평용어사전" 민음사 1991

      15 박성천, "문순태 소설의 한(恨)의 서사적 특징" 현대문학이론학회 (31) : 191-210, 2007

      16 최창근, "문순태 소설의 탈향 모티프와 서사성"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6 : 2005

      17 조은숙, "문순태 소설의 지형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66) : 265-289, 2016

      18 임은희, "문순태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인식 고찰 - 성과 여성, 자연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0) : 363-400, 2008

      19 이내관, "문순태 <철쭉제>의 서사전략과 의미 읽기"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419-446, 2018

      20 김요섭, "무덤 없는 자들 — 임철우·문순태 소설의 매장 모티프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82) : 79-104, 2020

      21 문순태, "가정의 사랑과 평화" 대한지방행정공제회 46-520, 1997

      22 김정자, "‘한’의 문체, 그 맥락의 오늘"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7 : 1986-, 1986

      23 최선경, "<獻花歌>에 대한 祭儀的 考察" 인문학연구원 84 : 25-47, 2002

      24 정유미, "1980년대 중반 한국 소설에 나타난 섬의 공간적 상징성 연구 - 시선과 권력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9) : 69-11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