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로즈매리 잭슨,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2004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3 오정애, "현대과학 시술의 급속한 발전과 과학환상소설" (502) : 1989
4 안희열, "주체적 문예리론 연구 22-문학예술의 종류와 형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로동당출판사 1992
6 보리스 그로이스,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문예마당 1995
7 정성무, "시대와 문학예술의 형태" 사회과학출판사 1987
8 리현순, "사회주의영화예술건설" 문화예술종합출판사 1998
9 정영권, "북한의 소련영화 수용과 영향 1945~1953" 현대영화연구소 11 (11): 7-35, 2015
10 민병욱, "북한영화의 장르론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20) : 371-392, 2007
1 로즈매리 잭슨,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2004
2 츠베탕 토도로프, "환상문학 서설" 일월서각 2013
3 오정애, "현대과학 시술의 급속한 발전과 과학환상소설" (502) : 1989
4 안희열, "주체적 문예리론 연구 22-문학예술의 종류와 형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5 김정일, "주체문학론" 평양로동당출판사 1992
6 보리스 그로이스, "아방가르드와 현대성" 문예마당 1995
7 정성무, "시대와 문학예술의 형태" 사회과학출판사 1987
8 리현순, "사회주의영화예술건설" 문화예술종합출판사 1998
9 정영권, "북한의 소련영화 수용과 영향 1945~1953" 현대영화연구소 11 (11): 7-35, 2015
10 민병욱, "북한영화의 장르론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20) : 371-392, 2007
11 민병욱, "북한영화 연구의 방법론적 전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95-124, 2005
12 전영선, "북한 영화의 유형과 학문분류 체계" 인문학연구원 48 : 33-62, 2009
13 안지영, "북한 영화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27 (27): 243-277, 2015
14 민병욱, "북한 영화문학의 성립과 갈래체계 연구" 한중인문학회 (15) : 53-76, 2005
15 김정수, "북한 문학예술의 유형분류 연구 -분류개념과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123-160, 2009
16 정혜원, "북한 동화의 환상성 연구 -1990년대 『아동문학』잡지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299-326, 2009
17 서동수,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내적형식과 교육서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9) : 153-184, 2016
18 황정상, "과학환상문학창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3
19 J.R.R Tolkin, "The Tolkin Reader" Ballantine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