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시대의 SW 교육에 관한 고찰-컴퓨팅 사고력과 ICT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0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we find ourselves dependent on an increasingly digital world-whether thats in contactless payments, telemedicine, or online learning-were seeing increased opportunity in not only the adoption of ICT (big data, AI, IoT), but also how we prepare for ...

      As we find ourselves dependent on an increasingly digital world-whether thats in contactless payments, telemedicine, or online learning-were seeing increased opportunity in not only the adoption of ICT (big data, AI, IoT), but also how we prepare for it in the education space. Thats why in this research, we examine different education models for SW and computational thinking to create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for big data, AI, and IoT, including a case study of a class of 80 freshmen at C University. By surveying the stude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ourse, we measured how perceptions of ICT evolved throughout the semester. Overall, the ICT-focused online course left students with a greater interest in ICT and encouraged some students to pursue an ICT major. In the free-response section of the survey, many of the students also shared that the course helped them realize the growing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the future of work regardless of their majo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수, "학습자의 인식과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한 대학의 컴퓨팅 사고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67-191, 2020

      2 송해남,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SW 융합 교육"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325-333, 2018

      3 임서은,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기반의 교수학습방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629-638, 2017

      4 송의성, "초등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처리학회 6 (6): 353-360, 2017

      5 이미화, "초등 융합SW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213-222, 2018

      6 김수환, "차세대 소프트웨어(SW)교육 표준 모델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4 (24): 337-367, 2020

      7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16-424, 2017

      8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9 오미자,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1-11, 2017

      10 정승화,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621-640, 2019

      1 박윤수, "학습자의 인식과 교수자의 의견을 반영한 대학의 컴퓨팅 사고 교육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67-191, 2020

      2 송해남,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 SW 융합 교육"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325-333, 2018

      3 임서은, "컴퓨팅사고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기반의 교수학습방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1 (21): 629-638, 2017

      4 송의성, "초등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처리학회 6 (6): 353-360, 2017

      5 이미화, "초등 융합SW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213-222, 2018

      6 김수환, "차세대 소프트웨어(SW)교육 표준 모델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4 (24): 337-367, 2020

      7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16-424, 2017

      8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9 오미자,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비전공자의 인식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1-11, 2017

      10 정승화,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621-640, 2019

      11 정화민, "빅데이터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9-45, 2018

      12 김영민, "비전공자를 위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비교 연구: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원칙의 관점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47-61, 2019

      13 박윤수, "보편적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성 연구 - 빅데이터 전문가의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 24 (24): 201-214, 2020

      14 한영신,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433-445, 2018

      15 김완섭, "대학생들의 소프트웨어 교양필수 교과목에 대한 인식 추이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61-180, 2019

      16 성정숙,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5-54, 2015

      17 나정은, "교양교육으로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니즈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3-89, 2017

      18 Ministry of Education, "[Explanatory Material] The Ministry of Education Plans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methods to manage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20.07.21)"

      19 D. Long, "What is AI literacy? Competencies and design considerations" 1-16, 2020

      20 J. S. Kim,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e-Learning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2006

      21 Ministry of Education, "The 19th Meeting of Ministers of Social Relations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olicy, etc.)"

      22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lanning & evaluation, "Public Announcement of SW-centered university support"

      23 Ministry of Science and ICT, "Public Announcement of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o. 2018-0576"

      24 Ministry of Education, "Public Announcement Ministry of Education No. 2015-74 (Attachment 10)"

      25 Zeng, D, "From Computational Thinking to AI Thinking" (6) : 2-4, 2013

      26 신승기,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교육 프레임워크 및 인지적학습환경 설계" 한국정보교육학회 23 (23): 639-653, 2019

      27 J. M. Wing, "Computational Thinking" 49 (49): 33-35, 2006

      28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ment of 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AI) Strategy"

      29 S. H. Kim,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Based on Flipped-Learning" 39 (39): 1-20, 2019

      30 유양석, "4차 산업혁명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과 준비 여부"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66-575, 2019

      31 주강진,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 현황, 사례, 규제에 대한 개괄적 고찰" 한국경영과학회 42 (42): 1-14, 2017

      32 김누리,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101-121, 2017

      33 민윤지, "4차 산업혁명과 ICT산업 및 정책 동향분석" 국제e-비즈니스학회 21 (21): 103-118, 2020

      34 전형기,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의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교구 평가 준거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1 (21): 37-4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지털컨텐츠학회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9-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컨텐츠학회논문지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7 0.636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