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기존의 가족이 남녀 성별 역할, 이성애중심주의, 혈연성, 공사 영역의 이분화 등 많은 부분에서 비판의 요건들을 상당 부분 가지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67052
김세서리아 (이화여대)
2017
Korean
Lugalda Lee(이루갈다) ; Letters written from prison(옥중서간) ; Family narrative ; Self ; Public Community ; The Catholic in Late Chosun dynasty ; 가족 ; 자아 ; 공동체 ; 재배치 ; 중층결정 ; 감정 ; 천주교 ; 이루갈다
KCI등재
학술저널
31-57(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기존의 가족이 남녀 성별 역할, 이성애중심주의, 혈연성, 공사 영역의 이분화 등 많은 부분에서 비판의 요건들을 상당 부분 가지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
】이 논문은 기존의 가족이 남녀 성별 역할, 이성애중심주의, 혈연성, 공사 영역의 이분화 등 많은 부분에서 비판의 요건들을 상당 부분 가지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하지만 단지 거기에서 머물지 않고 가족담론을 단지 이념이나 제도적 차원에서 접근하지 않는다면, 가족 서사의 재배치가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를 고려한다. 가족이 어떻게 상호작 용하며 그 안에서 의미 있는 실재를 이끌어내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논의 할 때, 이제까지와는 다른 가족 서사의 재배치가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단순히 가족을 폐기하는 논리 보다는 가족의 관계성에 주목하면서 그것이 주체를 이루는 하나의 계기를 논의한다. 가족을 자아 혹은 공적 공동체와 대립적인 구도에 놓기 보다는 그들을 자아-가족-공동체로 잇 는 하나의 연결고리로 간주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천주교 여성인 이순이 루갈 다의 옥중서간을 살펴본다. 옥중서간에 나타난 가족 감정을 검토하는 속에서 자아와 가족, 공적 공동체의 관계를 재고한다. 또한 유교적 이념과 천주교 신앙과의 관계를 단지 갈등하는 차원으로 이해해온 기존의 연구 방식 을 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희, "한국천주교여성사" 한국인문과학원 1983
2 김구정, "피묻은 쌍백합:동정부부 유요한 이루갈다" 전주교구 초남이 성지 1958
3 베리 쏘온,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1991
4 김옥희, "최석우신부화갑기념 한국교회사논총"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5 김정경,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의 주체화 방식과 생애 기술 방식에 대한 고찰 - <기해일기>에 실린 여성 순교자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33-62, 2014
6 김윤성,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들의 금욕적 실천: 음식 절제와 성적 절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24 (24): 233-265, 2007
7 김정숙,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 신도의 사회적 특성" 한국교회사연구소 19 : 2002
8 김정경, "조선 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의 죽음의 의미화 방식 연구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3) : 131-156, 2011
9 김세서리아, "조선 유학의 가족 서사를 통한 관계적 자아의 정교화 : 송덕봉의 서간문에 나타난 부부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5 : 1-33, 2016
10 김진소, "이순이 루갈다 남매 옥중편지" 디자인흐름 2010
1 김옥희, "한국천주교여성사" 한국인문과학원 1983
2 김구정, "피묻은 쌍백합:동정부부 유요한 이루갈다" 전주교구 초남이 성지 1958
3 베리 쏘온,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아카데미 1991
4 김옥희, "최석우신부화갑기념 한국교회사논총"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5 김정경,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의 주체화 방식과 생애 기술 방식에 대한 고찰 - <기해일기>에 실린 여성 순교자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9) : 33-62, 2014
6 김윤성,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들의 금욕적 실천: 음식 절제와 성적 절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24 (24): 233-265, 2007
7 김정숙, "조선후기 천주교 여성 신도의 사회적 특성" 한국교회사연구소 19 : 2002
8 김정경, "조선 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의 죽음의 의미화 방식 연구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3) : 131-156, 2011
9 김세서리아, "조선 유학의 가족 서사를 통한 관계적 자아의 정교화 : 송덕봉의 서간문에 나타난 부부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5 : 1-33, 2016
10 김진소, "이순이 루갈다 남매 옥중편지" 디자인흐름 2010
11 김옥희, "순교자 이순이 루갈다의 삶과 그 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12 김혜련, "서사담론으로서의 가족애" 한국여성철학회 (7) : 59-86, 2007
13 김윤성, "몸의 여성과 몸의 정치 : 조선후기 천주교에서 주체와 권력" 한신문화연구소 6 : 2004
14 루이 알튀세르, "맑스를 위하여" 백의출판사 2007
15 루이 알튀세르, "루이 알튀세르-아미앵에서의 주장" 솔출판사 1991
16 노성숙, "“조선 후기 천주교 여성의 가족감정을 통한 가족서사의 재배치”에 대한 논평" 한국여성철학회 2017
여성주의 개발담론으로서 영(Young)의 ‘사회적 연결 모델’의 가능성
한국 영화의 가족담론을 통해 본 여성주체 : 영화 <하녀(1960)>와 <하녀(2010)>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0.8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6 | 1.515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