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 지도의 교재화 연구 = Study on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M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a subject to convey and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a subject capable of historical thinking, judgment, and inquiry. The fact that cultivating such advanced thinking ability is an essence of subject matter reflectsthe fact that many history education studies are important. However, history textbooks that learners use as the priority of learning are still presented in the form of a list of various supporting materials mainly focusing on text-oriented narrative.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cademic needs of history education and actual learning. One of the causes of this disparity is that learners do not construct contents of the textbook that are important for learning history. While all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consist of content based on proper balance of knowledge and function, history including toxic social studies is not structured systematically in textbooks of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only sporadic learner activities exist. Thus,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 are not systematically structured. If functions necessary for history learning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and presented and function learning contents can be composed of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advanced thinking skills required for history education based on textbooks in which knowledge and functions are appropriately structured.
      번역하기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a subject to convey and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a subject capable of historical thinking, judgment, and inquiry. The fact that cultivating such advanced thinking ability is an essence of subject matter refl...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a subject to convey and acquire historical knowledge, but also a subject capable of historical thinking, judgment, and inquiry. The fact that cultivating such advanced thinking ability is an essence of subject matter reflectsthe fact that many history education studies are important. However, history textbooks that learners use as the priority of learning are still presented in the form of a list of various supporting materials mainly focusing on text-oriented narrative.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cademic needs of history education and actual learning. One of the causes of this disparity is that learners do not construct contents of the textbook that are important for learning history. While all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consist of content based on proper balance of knowledge and function, history including toxic social studies is not structured systematically in textbooks of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only sporadic learner activities exist. Thus, functional learning contents for education are not systematically structured. If functions necessary for history learning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and presented and function learning contents can be composed of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advanced thinking skills required for history education based on textbooks in which knowledge and functions are appropriately structu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역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텍스트 위주의 지식 이해 관점에서 벗어나, 내용적 타당성이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기능화 하여 텍스트와 기능이 균형 잡힌 교과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중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하고자 하였다.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한다는 것은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절차적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지도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역사 지도의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을 밝히고 역사 지도가 교과서에서 내용의 보조적 역할, 탐구적 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임영태(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화 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1단계 사전 차시 학습, 2단계 본문 보조 학습 형태, 3단계 단원 마무리 학습 형태의 3단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교재화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역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텍스트 위주의 지식 이해 관점에서 벗어나, 내용적 타당성이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기능화 하여 텍스트와 기능이 균형 잡힌...

      본고는 역사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의 내용 구성이 텍스트 위주의 지식 이해 관점에서 벗어나, 내용적 타당성이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기능화 하여 텍스트와 기능이 균형 잡힌 교과서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그 중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하고자 하였다. 역사 지도를 기능화 한다는 것은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절차적 지식을 바탕으로 역사지도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역사 지도의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을 밝히고 역사 지도가 교과서에서 내용의 보조적 역할, 탐구적 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임영태(2018)의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 지도 학습 기능의 절차적 지식을 구조화 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1단계 사전 차시 학습, 2단계 본문 보조 학습 형태, 3단계 단원 마무리 학습 형태의 3단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교재화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춘희,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97-111, 2009

      2 박덕규, "학습능력신장을 위한 역사 지도 활용방안" 13 : 96-, 2001

      3 조현미, "학습 자료로서의 역사지도의 효율성에 관하여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 교육연구" 1 : 19-68, 1995

      5 하경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43-59, 2007

      6 유이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역사지도에 관한 연구 : 6학년 1학기 『사회』 및 『사회과 탐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8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5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9 임영태,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기능’의 구조분석과 역사용어의 기능화" 공주대학교대학원 2018

      10 강선주, "초·중·고등학생이 구성하는 역사담론과 추구하는 역사의식: 역사 텍스트의 선택적 읽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51-111, 2014

      1 한춘희,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97-111, 2009

      2 박덕규, "학습능력신장을 위한 역사 지도 활용방안" 13 : 96-, 2001

      3 조현미, "학습 자료로서의 역사지도의 효율성에 관하여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 교육연구" 1 : 19-68, 1995

      5 하경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43-59, 2007

      6 유이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역사지도에 관한 연구 : 6학년 1학기 『사회』 및 『사회과 탐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8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5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9 임영태,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기능’의 구조분석과 역사용어의 기능화" 공주대학교대학원 2018

      10 강선주, "초·중·고등학생이 구성하는 역사담론과 추구하는 역사의식: 역사 텍스트의 선택적 읽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51-111, 2014

      11 조윤진, "지도를 활용한 역사 수업 실행연구"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12 구효미, "역사수업에서 지도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 함께 2014

      14 정선영, "역사 교육의 이해" 삼지사 2005

      15 이원순, "역사 교육론" 삼영사 1999

      16 최용규, "살아있는 역사 수업" 교육과학사 2013

      1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8 김영석,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13, 2007

      19 홍미화, "미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 체제 분석" 교육연구원 30 (30): 39-57, 2014

      20 정태호,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기능 영역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17-35, 2016

      21 Houghton Mifflin, "United States History" Houghton: Mifflin 2012

      22 Harcourt, "The United States Teacher Edition" Harcourt 2007

      23 Harcourt, "The United States" Harcourt 2007

      24 Scott Foresman, "The United States" Scott Foresman 2013

      25 Keith C. Barton, "Teaching History for the Common Good" Routledge 2004

      26 Piaget, J., "Structuralism" Happer Colophon Books 1970

      27 Macmillan-Mcgraw Hill, "Our Nation" Macmillan-Mc graw Hill 2012

      28 Good, J. M., "Developing inquiry skills with an experimental social studies curriculum" 63 (63): 31-35, 1969

      29 한춘희,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69-181, 2010

      30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 '를 넘어서. E. H. 카의 모던 역사학에서 포스트모던 역사로‘" 서양사학회 66 (66): 147-15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