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춘희,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97-111, 2009
2 박덕규, "학습능력신장을 위한 역사 지도 활용방안" 13 : 96-, 2001
3 조현미, "학습 자료로서의 역사지도의 효율성에 관하여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 교육연구" 1 : 19-68, 1995
5 하경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43-59, 2007
6 유이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역사지도에 관한 연구 : 6학년 1학기 『사회』 및 『사회과 탐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8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5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9 임영태,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기능’의 구조분석과 역사용어의 기능화" 공주대학교대학원 2018
10 강선주, "초·중·고등학생이 구성하는 역사담론과 추구하는 역사의식: 역사 텍스트의 선택적 읽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51-111, 2014
1 한춘희,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97-111, 2009
2 박덕규, "학습능력신장을 위한 역사 지도 활용방안" 13 : 96-, 2001
3 조현미, "학습 자료로서의 역사지도의 효율성에 관하여 :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 교육연구" 1 : 19-68, 1995
5 하경수,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 논쟁과 현장 역사교육"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43-59, 2007
6 유이화,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역사지도에 관한 연구 : 6학년 1학기 『사회』 및 『사회과 탐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6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8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과 5학년 교과서" 지학사 2018
9 임영태,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기능’의 구조분석과 역사용어의 기능화" 공주대학교대학원 2018
10 강선주, "초·중·고등학생이 구성하는 역사담론과 추구하는 역사의식: 역사 텍스트의 선택적 읽기"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51-111, 2014
11 조윤진, "지도를 활용한 역사 수업 실행연구"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2015
12 구효미, "역사수업에서 지도의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 함께 2014
14 정선영, "역사 교육의 이해" 삼지사 2005
15 이원순, "역사 교육론" 삼영사 1999
16 최용규, "살아있는 역사 수업" 교육과학사 2013
17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18 김영석,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1-13, 2007
19 홍미화, "미국의 초등 사회교과서 내용구성 체제 분석" 교육연구원 30 (30): 39-57, 2014
20 정태호,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기능 영역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3 (23): 17-35, 2016
21 Houghton Mifflin, "United States History" Houghton: Mifflin 2012
22 Harcourt, "The United States Teacher Edition" Harcourt 2007
23 Harcourt, "The United States" Harcourt 2007
24 Scott Foresman, "The United States" Scott Foresman 2013
25 Keith C. Barton, "Teaching History for the Common Good" Routledge 2004
26 Piaget, J., "Structuralism" Happer Colophon Books 1970
27 Macmillan-Mcgraw Hill, "Our Nation" Macmillan-Mc graw Hill 2012
28 Good, J. M., "Developing inquiry skills with an experimental social studies curriculum" 63 (63): 31-35, 1969
29 한춘희, "2009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69-181, 2010
30 김기봉, "'역사란 무엇인가 '를 넘어서. E. H. 카의 모던 역사학에서 포스트모던 역사로‘" 서양사학회 66 (66): 147-155,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