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노년기가구의 소득이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2005년 소득분위 분포에 대한 2013년 소득분위 분포의 변화는 어떠한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6157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노년기가구의 소득이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2005년 소득분위 분포에 대한 2013년 소득분위 분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를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노년기가구의 소득이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2005년 소득분위 분포에 대한 2013년 소득분위 분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2. 소득분위 분포의 변화(소득분위유지/소득분위상승/소득분위하락)에 따른 소득 패턴과 소비패턴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3. 소득분위 분포의 변화(소득분위유지/소득분위상승/소득분위하락)에 영향을 주 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노년기가구의 빈곤지위이동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2005년 빈곤지위에 대한 2013년 빈곤지위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2. 빈곤지위의 변화(빈곤유지/비빈곤유지/빈곤탈출/빈곤진입)에 따른 소득패턴과 소비패턴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3. 빈곤지위의 변화(빈곤유지/비빈곤유지/빈곤탈출/빈곤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 소득이동(income mobility) : 소득이동 측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이행행렬(transition matrix)을 이용하여 파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행행렬은 소득 5분위 또는 10분위를 기준으로 한 비교대상이 기준시점의 특정 분위에서 비교시점 어느 분위로 이동했는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Fields, 2001).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소득분위표를 기초로 2005년 소득분위가 2013년 소득분위의 어느 위치로 이동했는가를 파악하여 2013년 소득분위가 2005년 소득분위 보다 상승한 경우 소득분위 상승집단으로 2013년 소득분위가 2005년 소득분위 보다 하락한 경우 소득분위 하락집단, 그리고 2005년 소득분위와 2013년 소득분위가 동일한 경우 소득분위 유지집단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 빈곤지위이동 : 빈곤지위이동 또한 소득이동 방법과 동일하게 이행행렬을 이용하여 파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절대빈곤 기준을 적용하여 통계청에서 발표한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가구의 소득이 최저생계비 미만일 경우 빈곤집단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 비빈곤집단으로 구분한 후, 2005년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이 2013년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 중 어디로 이동했는지를 파악하기로 한다. 2005년과 2013년 모두 빈곤집단일 경우 빈곤지속 집단으로, 2005년 빈곤집단이였지만 2013년 비빈곤집단 으로 이동한 경우 빈곤탈출 집단으로, 2005년 비빈곤집단이 였지만 2013년 빈곤집단인 경우 빈곤진입 집단으로, 마지막으로 2005년과 2013년 모두 비빈곤집단인 경우 비빈곤지속 집단으로 분류하기로 한다.
․ 소득이동과 빈곤지위이동에 따른 소득패턴과 소비패턴 : 소득이동과 빈곤지위이동에 따른 소득패턴과 소비패턴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 집단별 소득패턴의 각 비목과 소비패턴의 각 비목들 간의 비율 차이를 ANOVA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각 집단 간의 면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사후분석으로 Tukey test를 실시하고자 한다.
․ 소득이동과 빈곤지위이동에 대한 영향변인 검증 : 소득이동과 빈곤지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항로짓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