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白秋 金圭冕의 독립운동 기반과 大韓新民團 = Kim Gyu-myun's the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DAEHAN SINMIND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studies were not focused on role of Kim Gyu-myun who created Daehan Sinmindan and relationship with Daehan Sungrigyo. This paper aim to explore his initial activities and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Daehan Sinmindan. Kim tried to recover t...

      Previous studies were not focused on role of Kim Gyu-myun who created Daehan Sinmindan and relationship with Daehan Sungrigyo. This paper aim to explore his initial activities and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Daehan Sinmindan.
      Kim tried to recover the sovereignty of a nation through the religious activities at the beginning. However, he noticed limitation of foreign missionaries and established the Daehan Sungrigyo. Kim started to establish Daehan Sinmindan, when he heard the Japanese intervention in Siberia in 1918, and officially declared establishment in 1919. Soon after, he accepted socialism and merged with the Korean Socialist Party.
      However, Daehan Sinmindan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way about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angcheng troops independently combined with other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engag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On the other hand, Hunchun troops accepted socialism and engaged in the Russian Civil War. Kim and Hunchun troops tried to achieve Korean independence by supporting the Bolshevik Revol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연구에서는 대한신민단을 창설한 김규면의 역할과 그 조직 기반을 이룬 대한성리교와의 관계를 크게 주목하지 못했다. 이 논문은 김규면의 초기 활동과 대한신민단의 재편과정을 살펴...

      기존 연구에서는 대한신민단을 창설한 김규면의 역할과 그 조직 기반을 이룬 대한성리교와의 관계를 크게 주목하지 못했다. 이 논문은 김규면의 초기 활동과 대한신민단의 재편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김규면은 교원이 되기 위해 한성사범학교를 다니고, 무관의 꿈을 이루기 위해 육군무관학교를 다니기도 했다. 그러나 함경도 출신들에 대한 차별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무관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다. 김규면은 종교활동을 통해 국권을 회복하고자 했다. 그는 원산에서 독립선교사였던 펜윅을 만난 후, 훈춘으로 이주하여 대한기독교회에 입교했다. 그는 목사라는 신분을 활용해 국경은 넘나들며 사관학교 생도를 모집하는 등 독립군양성에 힘을 쏟았다. 그러던 중 그는 교단의 포교규칙 수용으로 외국 선교사 교단의 한계를 깨닫고 만주를 근거지로 대한성리교를 조직했다.
      볼셰비키 혁명과 일제의 시베리아 침공 소식이 들리자 김규면은 1918년부터 대한성리교 조직을 기반으로 대한신민단 창설에 착수하여 1919년 설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했다. 그는 곧이어 사회주의를 수용하며 한인사회당과 합당했다. 하지만 대한신민단의 각 지단은 항일무장투쟁의 의견 차이에 따라 재편되었다. 왕청 지단은 ‘대한신민단’ 명칭을 유지했지만, 독자적으로 다른 독립군과 연합하여 청산리전투에 참가했다. 반면 김규면과 지연·종교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던 훈춘 지단은 사회주의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러시아 내전에 참여했다. 김규면과 훈춘 지단은 볼셰비키 혁명을 지지하고, 이를 통해 민족독립을 달성하고자 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규면, "老兵 金規勉 備忘錄"

      2 장석흥, "훈춘 북일학교의 건립과 독립운동" 한국학연구소 31 : 449-480, 2009

      3 김에밀리야, "한국의 독립투사 김백추 집안의 역사(История рода КИМ БЯК-ЧУ, борца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Кореи)"

      4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5 허긴, "펜윅과 대한기독교회의 오지선교(奧地宣敎)" 21 : 1998

      6 이영일, "이동휘 성재선생-출생110주년을 기념하면서"

      7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 범우사 1998

      8 윤상원, "러시아지역 한인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 1918-1922"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긴, "대한기독교회와 교권 파동(1914)" 19 : 1996

      10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 역사편찬위원회, "韓國浸禮敎會史" 침례회출판사 1990

      1 김규면, "老兵 金規勉 備忘錄"

      2 장석흥, "훈춘 북일학교의 건립과 독립운동" 한국학연구소 31 : 449-480, 2009

      3 김에밀리야, "한국의 독립투사 김백추 집안의 역사(История рода КИМ БЯК-ЧУ, борца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Кореи)"

      4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역사비평사 2003

      5 허긴, "펜윅과 대한기독교회의 오지선교(奧地宣敎)" 21 : 1998

      6 이영일, "이동휘 성재선생-출생110주년을 기념하면서"

      7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 범우사 1998

      8 윤상원, "러시아지역 한인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 1918-1922"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9 허긴, "대한기독교회와 교권 파동(1914)" 19 : 1996

      10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 역사편찬위원회, "韓國浸禮敎會史" 침례회출판사 1990

      11 임재찬, "舊韓末 陸軍武官學校에 대하여" 4 : 1982

      12 신용하, "大韓新民團 獨立軍의 硏究" 18 : 1988

      13 박창욱, "反日義士 松岩 李興秀에 대한 연구" 12 : 2008

      14 국학자료원 편집부, "三,一 運動編 (현대사자료 26)"

      15 이인섭, "「回想記(俄領과 中領에서 進行되던 朝鮮民族解放運動) 1」, 「류진규, 이동휘를 추억하면서」, 「조선민족 해방운동에 참가하던 빨찌산들 회상긔」, 「한인사회당-한인공산당」, 「늙은 빨찌산들 회상긔 4편」"

      16 조동걸, "3·1운동의 역사(于史 趙東杰 저술전집 6)" 역사공간 2010

      17 윤선자, "1910년대 일제의 종교규제법령과 朝鮮天主敎會의 대응" 6 : 1997

      18 경흥군지편찬위원회, "(咸鏡北道) 慶興郡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