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후산업단지 재활성화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51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 초 경제개발계획의 시행과 더불어 시작된 산업단지 개발은 우리나라 산업화 정책의 주요한 수단으로 국가경제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산업정책은 경공업에...

      1960년대 초 경제개발계획의 시행과 더불어 시작된 산업단지 개발은 우리나라 산업화 정책의 주요한 수단으로 국가경제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의 산업정책은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 첨단산업, 지식기반산업, 녹색성장산업으로 끊임없이 변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산업단지는 변화를 필요로 하는 시기에 도달하였다. 특히, 산업화초기 1960, 70년대에 개발된 산업단지는 시설의 낙후 및 녹지, 도로 등 기반시설의 미비로 인해 산업단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노후 산업단지의 효율적인 재생사업을 통하여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도시 재활성화차원에서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촉진하고 도시재정비를 위한 도시계획적 방법으로도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어 노후산업단지 재생을 위한 바람직한 기준의 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경제 및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노후산업단지 재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여 사업실현성 제고를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significant means of Korea’s industrialization policy, the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in the early 1960s, along with the execution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served the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 foc...

      As a significant means of Korea’s industrialization policy, the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in the early 1960s, along with the execution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served the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 focus of Korea’s industrial policy has constantly shifted from light industries to high-tech, knowledge-based, and green growth ones, and with such paradigm shift, existing industrial districts are facing the challenges of change.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the industrial districts built in the 1960s and 70s to fully serve their original purposes due to the outdated facilities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such as open spaces and roads. Therefore, it becomes an urgent task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se old industrial complex through the regeneration project. In addition,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old industrial districts’ regeneration projects has been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planning tool to stimulate local economies and reorganize urban structur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raw the planning standards to regenerate outdated industrial districts which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rehabilitation of national and regional economy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ject re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분석 및 관련 이론 검토
      • 3. 해외 산업단지 재활성화 사례분석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분석 및 관련 이론 검토
      • 3. 해외 산업단지 재활성화 사례분석
      • 4. 실증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산업단지공단"

      2 "핀란드 오울루 테크노폴리스"

      3 한국산업단지공단, "통계로 본 한국의 산업단지 10년(2003~2013)"

      4 안정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산업형 제2종지구단위계획의 계획기준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7-29, 2009

      5 최정은,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덜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 단지계획적 측면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7-38, 2008

      6 이일희,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01-114, 2011

      7 "일본 키타큐슈 에코타운"

      8 박태원,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과정의 시계열 분류 및 특성 연구" 국토연구원 68 : 99-120, 2011

      9 "영국 트레포드파크"

      10 "싱가포르 주롱"

      1 "한국산업단지공단"

      2 "핀란드 오울루 테크노폴리스"

      3 한국산업단지공단, "통계로 본 한국의 산업단지 10년(2003~2013)"

      4 안정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산업형 제2종지구단위계획의 계획기준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7-29, 2009

      5 최정은,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 본 독일 및 네덜란드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및 국내 적용가능성 분석 - 단지계획적 측면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27-38, 2008

      6 이일희,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01-114, 2011

      7 "일본 키타큐슈 에코타운"

      8 박태원,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과정의 시계열 분류 및 특성 연구" 국토연구원 68 : 99-120, 2011

      9 "영국 트레포드파크"

      10 "싱가포르 주롱"

      11 "스페인 포블레노우"

      12 유상민, "쇠퇴산업단지의 재생기법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65-77, 2009

      13 이광국, "생태주거단지의 계획요소 설정과 한?일 비교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71-100, 2006

      14 전경구, "생존모형을 통한 도심 노후산업단지의 쇠퇴 분석 - 대구 성서산업단지 퇴장기업의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45-61, 2016

      15 김대근, "산업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노후산단재생사업과 구조고도화사업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99-115, 2011

      16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단지, 미래를 생각하다"

      17 신기동, "산업단지 조성사업 개선방안 연구: 해외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2010

      18 진정규, "산업단지 쇠퇴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전국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49-61, 2014

      19 이원빈, "산업단지 관리 개선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2008

      20 김창수, "산업단지 개발의 수요변화 분석" (3) : 93-108, 2007

      21 김수미, "복합 상업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29-38, 2011

      22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23 "독일 하펜시티"

      24 "대만 신주과학산업단지"

      25 장철순,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2007

      26 강호제,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방안" 50-60, 2009

      27 김태현,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방향 연구- 원주시 우산산업단지를 사례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59-180, 2014

      28 이정찬, "노후 산업단지의 재생 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29 이재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차원에서의 탄소완화 계획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119-131, 2009

      30 최정호, "기성 노후산업단지 재생기준 선정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2

      31 최윤아, "공동주택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친환경 계획요소의 특성 및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09-118, 2007

      32 Saaty, TL, "Priority Setting in Complex problems" 30 (30): 140-155, 1983

      33 Saaty, TL, "Models, Methods,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0

      34 반영운, "FGI를 통한 녹색산업단지 계획요소 도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227-241, 2014

      35 황규승, "AHP기법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32 : 83-97,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