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14 체조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링 결승경기의 연기내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3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 45회 기계체조세계선수권대회 링 종목 결승경기에 출전한 8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연기내용을 분석 하였다. 첫째, 8명의 선수가 실시한 80개의 기술 분포는 D난도가 33회로 41.25%, C난도가 18회 22.50%, E난도가 16 회 20.0%, F난도는 13회 16.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8명의 선수가 구성한 연기의 난도점수는 C, D, E, F난도만 으로 점수를 획득하였으며, 실시된 기술은 C난도가 4개, D난도가 7개, E난도가 9개, F난도가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난도별로 가장 많이 실시한 기술의 분포는 C난도에서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기술이 38.89%, D난도에서 Jonasson기술이 24.25%, E난도에서 Uprise bwd. to sup. scale at ring height기 술이 25.0%, F난도에서 Roll bwd. slowly with str. arms and body to swallow기술이 46.20%로 나타났다. 넷째, 8 명의 선수가 실시한 연기 중 요소그룹 분포는 GroupⅣ가 30회로 37.50%, GroupⅢ가 16회로 20.0%, GroupⅠ, Ⅱ가 각각 13회로 16.25%, 그리고 GroupⅤ가 8회로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8명의 선수가 실시한 기술은 GroupⅠ이 3개, GroupⅡ가 2개, GroupⅢ가 5개, GroupⅣ가 12개, GroupⅤ가 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각 그 룹별로 가장 많이 실시한 기술의 분포는 GroupⅠ에서 Jonasson기술이 61.55%, GroupⅡ에서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기술이 53.85%, GroupⅢ에서 Uprise bwd. to support scal기술이 37.50%, GroupⅣ에서 Nakayama기술이 23.32%, GroupⅤ에서 Double salto bwd. stretched with 1/2 or 1/1t기술이 62.50%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4년 45회 기계체조세계선수권대회 링 종목 결승경기에 출전한 8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연기내용을 분석 하였다. 첫째, 8명의 선수가 실시한 80개의 기술 분포는 D난도가 33회로 41.25...

      본 연구는 2014년 45회 기계체조세계선수권대회 링 종목 결승경기에 출전한 8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연기내용을 분석 하였다. 첫째, 8명의 선수가 실시한 80개의 기술 분포는 D난도가 33회로 41.25%, C난도가 18회 22.50%, E난도가 16 회 20.0%, F난도는 13회 16.25%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8명의 선수가 구성한 연기의 난도점수는 C, D, E, F난도만 으로 점수를 획득하였으며, 실시된 기술은 C난도가 4개, D난도가 7개, E난도가 9개, F난도가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난도별로 가장 많이 실시한 기술의 분포는 C난도에서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기술이 38.89%, D난도에서 Jonasson기술이 24.25%, E난도에서 Uprise bwd. to sup. scale at ring height기 술이 25.0%, F난도에서 Roll bwd. slowly with str. arms and body to swallow기술이 46.20%로 나타났다. 넷째, 8 명의 선수가 실시한 연기 중 요소그룹 분포는 GroupⅣ가 30회로 37.50%, GroupⅢ가 16회로 20.0%, GroupⅠ, Ⅱ가 각각 13회로 16.25%, 그리고 GroupⅤ가 8회로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8명의 선수가 실시한 기술은 GroupⅠ이 3개, GroupⅡ가 2개, GroupⅢ가 5개, GroupⅣ가 12개, GroupⅤ가 2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각 그 룹별로 가장 많이 실시한 기술의 분포는 GroupⅠ에서 Jonasson기술이 61.55%, GroupⅡ에서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기술이 53.85%, GroupⅢ에서 Uprise bwd. to support scal기술이 37.50%, GroupⅣ에서 Nakayama기술이 23.32%, GroupⅤ에서 Double salto bwd. stretched with 1/2 or 1/1t기술이 62.50%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the most performed skills by each difficulty level were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 skill was 38.89% in difficulty level C, Jonasson skill was 24.25% in difficulty level D, Uprise bwd. to sup. scale at ring height skill was 25.0% in difficulty level E and Roll bwd. slowly with str. arms and body to swallow skill was 46.20% in difficulty level F. Second, the element group distribution in the performances by 8 gymnastics were GroupⅣ was 37.50% by 30times, GroupⅢ was 20.0% by 16times, GroupⅠ, Ⅱ were 16.25% 13times and GroupⅤ was 10.0% by 8times. Third, the number of skills performed by 8 gymnastics were 3 skills in GroupⅠ, 2 skills in GroupⅡ, 5 skills in GroupⅢ, 12 skills in GroupⅣ and 2 skills in GroupⅤ. Fourth, the most performed skills by each Group werw as following. Only Jonasson skill was performed in GroupⅠ,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 skill was 53.85% in GroupⅡ, Uprise bwd. to support scal skill was 37.50% in GroupⅢ, Nakayama skill was 23.32% in GroupⅣ and Double salto bwd. stretched with 1/2 or 1/1t skill was 62.50% in GroupⅤ.
      번역하기

      First, the most performed skills by each difficulty level were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 skill was 38.89% in difficulty level C, Jonasson skill was 24.25% in difficulty level D, Uprise bwd. to sup. scale at ring height ski...

      First, the most performed skills by each difficulty level were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 skill was 38.89% in difficulty level C, Jonasson skill was 24.25% in difficulty level D, Uprise bwd. to sup. scale at ring height skill was 25.0% in difficulty level E and Roll bwd. slowly with str. arms and body to swallow skill was 46.20% in difficulty level F. Second, the element group distribution in the performances by 8 gymnastics were GroupⅣ was 37.50% by 30times, GroupⅢ was 20.0% by 16times, GroupⅠ, Ⅱ were 16.25% 13times and GroupⅤ was 10.0% by 8times. Third, the number of skills performed by 8 gymnastics were 3 skills in GroupⅠ, 2 skills in GroupⅡ, 5 skills in GroupⅢ, 12 skills in GroupⅣ and 2 skills in GroupⅤ. Fourth, the most performed skills by each Group werw as following. Only Jonasson skill was performed in GroupⅠ, Uprise bwd. or giant swing to hdst. with straight arms skill was 53.85% in GroupⅡ, Uprise bwd. to support scal skill was 37.50% in GroupⅢ, Nakayama skill was 23.32% in GroupⅣ and Double salto bwd. stretched with 1/2 or 1/1t skill was 62.50% in Group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2. 연구의 목적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조사도구
      • 3. 자료 처리
      • Ⅲ. 결과 및 논의
      • 1. 난도 분석
      • 2. 요소그룹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영길, "축구 경기력 결정 요인의 구조와 위계적 중요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7 (17): 87-100, 2006

      2 남승구, "제 29회 북경 하계올림픽대회 남자 마루운동의 점수분포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73-1081, 2009

      3 전혜령, "여자 체조경기 평균대의 구성과 난도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2 (12): 129-139, 2010

      4 김동화,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체조선수 평행봉종목 기술 동향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265-1274, 2009

      5 한윤수, "세계 우수체조선수의 철봉 연기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학회 43 (43): 325-336, 2004

      6 김동화, "베이징 올림픽 체조선수의 마루종목 연기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13-125, 2010

      7 이정래, "미적표현을 요구하는 여자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일탈에 대한 질적분석- 섭식장애를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2 (42): 65-76, 2003

      8 남승구, "남자 마루운동의 요소그룹유형별 기술실시분포와 난도요소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359-1366, 2010

      9 김동화, "남자 기계체조 룰 개정 전ㆍ후에 따른 마루운동 종목 기술동향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363-1376, 2011

      10 한윤수, "기계체조 채점규칙 변경에 따른 안마 연기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 46 (46): 171-180, 2007

      1 윤영길, "축구 경기력 결정 요인의 구조와 위계적 중요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7 (17): 87-100, 2006

      2 남승구, "제 29회 북경 하계올림픽대회 남자 마루운동의 점수분포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073-1081, 2009

      3 전혜령, "여자 체조경기 평균대의 구성과 난도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2 (12): 129-139, 2010

      4 김동화,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체조선수 평행봉종목 기술 동향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265-1274, 2009

      5 한윤수, "세계 우수체조선수의 철봉 연기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학회 43 (43): 325-336, 2004

      6 김동화, "베이징 올림픽 체조선수의 마루종목 연기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13-125, 2010

      7 이정래, "미적표현을 요구하는 여자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일탈에 대한 질적분석- 섭식장애를 중심으로 -" 한국체육학회 42 (42): 65-76, 2003

      8 남승구, "남자 마루운동의 요소그룹유형별 기술실시분포와 난도요소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359-1366, 2010

      9 김동화, "남자 기계체조 룰 개정 전ㆍ후에 따른 마루운동 종목 기술동향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363-1376, 2011

      10 한윤수, "기계체조 채점규칙 변경에 따른 안마 연기내용 분석" 한국체육학회 46 (46): 171-180, 2007

      11 김동화,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 철봉종목 기술동향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071-1082, 2011

      12 국제체조연맹, "기계체조 남자 채점규칙집 2013-1016"

      13 이영오, "21세기 국제테러범죄의 인식변화와 국내환경" 한국스포츠리서치 18 (18): 995-1008, 2007

      14 김동화, "2012년 런던올림픽 기계체조 평행봉 종목 우수선수 연기내용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69-77, 2012

      15 한윤수, "2011 기계체조 세계선수권대회 도마 결승경기의 연기요소, 라인감점, 착지 성공률 및 정성적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361-1370, 2012

      16 서연희, "2011 KOREA CUP 여자체조 이단평행봉 종목구성에 따른 경기력 동향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9 (9): 31-41, 2011

      17 한윤수, "2008 베이징 올림픽대회 평행봉 내리기동작의 감점요인, 감점의 비중도 및 성공률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1367-137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