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혁신역량을 현재의 정태적 관리역량을 넘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적 역량이라는 동태적 개념으로 파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역량의 주요 구성요인으로 지방공직자와 시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6009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혁신역량을 현재의 정태적 관리역량을 넘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적 역량이라는 동태적 개념으로 파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역량의 주요 구성요인으로 지방공직자와 시민...
본 연구는 혁신역량을 현재의 정태적 관리역량을 넘어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적 역량이라는 동태적 개념으로 파악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역량의 주요 구성요인으로 지방공직자와 시민의 혁신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혁신역량 모델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주된 내용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지방정부의 혁신과 관련한 국제적 비교연구 프로젝트인 FAUI(Fiscal Austerity and Urban Innovation)의 표준화된 측정 방법을 기반으로 하되 한국적 상황에 맞는 특수한 요인들을 고려한 항목과 지표를 개발하였다.
지방공직자의 혁신역량은 지방정부의 단체장, 지방의회의 의원, 지방정부의 고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지표를 개발하였고 시민의 혁신역량은 기본적으로 시민단체의 활동성, 다양성, 정책관여도 등을 측정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지표를 구성요인으로 하여 지방정부 혁신역량 모델을 도출할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각 지방정부의 구조적 요인, 정치구조적, 행정구조적, 경제구조적, 사회구조적 요인들을 혁신역량의 영향요인으로 보고, 각각의 요인들이 혁신역량 지표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FAUI 국제 통합자료와의 양적 비교분석을 통해 혁신역량의 한국적 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세계유수의 혁신적 정부에 대한 질적인 깊은 사례분석을 통해 혁신적 지방정부의 종합적인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