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 목적은 학업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 학업성취도에 대한 양적분석과 함께 참여 수기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성적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31414
2021
-
371
학술저널
53-66(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목적은 학업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 학업성취도에 대한 양적분석과 함께 참여 수기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성적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
본 연구 목적은 학업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의 참여 전·후 학업성취도에 대한 양적분석과 함께 참여 수기에 대한 질적분석을 통해 성적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성적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W대학교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학습전략검사와 재학생 실태조사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성적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중에서 성적향상 프로그램은 직전학기 70점 미만 학생과 교수가 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부진에서 탈출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수-학생 간 학습공동체는 일대일 또는 일대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심리·정서 및 행동적 지원을 통해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 시키고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성적향상 프로그램은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 대부분 학업성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적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다음으로 성적향상 프로그램 이수 후 제출한 참여 수기를 분석한 결과 학업부진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은 학업동기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학업성취도의 상승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로는 두 학기 동안 학업부진 학생이 1,000여명 정도 되는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만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검증한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나누어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n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notes for underachieved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operated by the W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W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operates a variety of grade improvement programs based on prior research on learning strategy tests and current student surveys. Among them,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s a program in which students and professors with less than 70 points in the previous semester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rough interactions, escape from poor academic performance. The learning communit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can be composed of one-to-one or one-to-many, and aims to improve stud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continuou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behavioral sup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was helpful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derachiever students, and in particular, most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the program showed an increas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proves that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tion notes submitted after completing the grade improvement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underachiever students increased.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means that academic motivation has increase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academic achievement.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with the professor could be seen as playing a key role in improving the academic motivation of underachiever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 도덕과 교과서 키워드(keyword)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