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학 진학 시 지역을 이동하는 학생들에 주목하여대학 입학 초기 학업적 성과와 경제적 비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88126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3-324(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학 진학 시 지역을 이동하는 학생들에 주목하여대학 입학 초기 학업적 성과와 경제적 비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대학 진학 시 지역을 이동하는 학생들에 주목하여대학 입학 초기 학업적 성과와 경제적 비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의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통상최소자승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과 함께 고교-대학 소재지 일치 여부에 따른표본 선택 편의를 해소하고자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시도에서 고교-대학 소재지 일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도별 편차가 존재하며, 인접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인 서울, 경기 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교-대학간 지역 이동을 한 학생들의 대학 입학 초기 성적과 전공 만족도가 높았으며, 대학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고교-대학 간 지역 이동을 할 경우 경제적 비용 측면에서 주거비 본인부담률이 높았으며, 월평균 생활비에는 차이가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교-대학 간 지역 이동 여부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 초기 적응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지역 이동 여부에 따라 원활한 적응과 학업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구 설계는 가치 개입의 영역인가: 가치 개입에 관한 사회·문화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의과대학 교육 프로그램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