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시, 반제 및 응제 자료의 편재 상황 = The Current Status of Materials on Civil Service Examination of Kwashi, Panje, and Ŭng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9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근대 이전의 ‘문’과 ‘학’은 정치권력과 화해하여 그것을 추동하거나 혹은 정치권력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방법과 내용을 모색해 왔다.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문학의 독자성을 운위하는 것은 실상에 맞지 않는다. 종래 정치권력의 구현에서 가장 중요한 제도가 인재 선발과 인력 관리의 방식이었다. 이에 정치권력의 향배를 이해하고 문과 학의 발전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과거 제도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래 조선시대 과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제도의 연혁과 합격자 등용의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과거에서 부과된 문체나 제목은, 당시 국가가 인재에게 요구하는 현실감각을 문학 및 학문의 내용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는 이념과 논리를 담고 있다. 따라서 과거제도를 전면적,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행 세칙을 검토하는 이외에, 부과 문체 및 제목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필수 공용서적(운서, 자서 등), 수험대비용 서적, 수험결과 편찬물의 유통을 조사하여, 각 시대의 학술 경향과 문화적 역량, 학술논쟁의 역사와 학술방법의 변화를 이해하는 바탕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필자는 과거 관련 자료가 방목 자료 이외에, 문집, 과문편집본, 필기잡록류, 단행(별행) 자료, 시권 등 다양한 종류의 문헌 자료에 편재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향후의 연구방향 설정에 작은 도움을 주고자 했다.
      번역하기

      한국의 근대 이전의 ‘문’과 ‘학’은 정치권력과 화해하여 그것을 추동하거나 혹은 정치권력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방법과 내용을 모색해 왔다.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문학...

      한국의 근대 이전의 ‘문’과 ‘학’은 정치권력과 화해하여 그것을 추동하거나 혹은 정치권력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방법과 내용을 모색해 왔다.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문학의 독자성을 운위하는 것은 실상에 맞지 않는다. 종래 정치권력의 구현에서 가장 중요한 제도가 인재 선발과 인력 관리의 방식이었다. 이에 정치권력의 향배를 이해하고 문과 학의 발전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과거 제도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종래 조선시대 과거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제도의 연혁과 합격자 등용의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과거에서 부과된 문체나 제목은, 당시 국가가 인재에게 요구하는 현실감각을 문학 및 학문의 내용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하는 이념과 논리를 담고 있다. 따라서 과거제도를 전면적,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시행 세칙을 검토하는 이외에, 부과 문체 및 제목을 세밀하게 검토하고, 필수 공용서적(운서, 자서 등), 수험대비용 서적, 수험결과 편찬물의 유통을 조사하여, 각 시대의 학술 경향과 문화적 역량, 학술논쟁의 역사와 학술방법의 변화를 이해하는 바탕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필자는 과거 관련 자료가 방목 자료 이외에, 문집, 과문편집본, 필기잡록류, 단행(별행) 자료, 시권 등 다양한 종류의 문헌 자료에 편재되어 있음에 주목하여, 향후의 연구방향 설정에 작은 도움을 주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혁, "한국한문학의 탐구" 국학자료원 2003

      2 심경호,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한국한문학회 (77) : 225-300, 2020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5 박재경, "책문(策文)으로 본 조선시대 과거사의 이면"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8 (38): 137-165, 2013

      6 조혁상, "조선후기 도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조혁상, "조선후기 刀劒 素材 科擧 答案사례에 대한 一考察 -「劒策問」과 「劒對策文」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83) : 361-384, 2020

      8 안세현, "조선중기 文風의 변화와 科文" 대동문화연구원 (74) : 225-254, 2011

      9 심재권, "조선조 과거시험과목인 책문의 내용 및 주제 분석" 한국행정사학회 (37) : 183-208, 2015

      10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탐구당 1981

      1 이병혁, "한국한문학의 탐구" 국학자료원 2003

      2 심경호, "한국한문학의 변문 활용 문체와그 역사문화상 기능" 한국한문학회 (77) : 225-300, 2020

      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4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5 박재경, "책문(策文)으로 본 조선시대 과거사의 이면"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8 (38): 137-165, 2013

      6 조혁상, "조선후기 도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7 조혁상, "조선후기 刀劒 素材 科擧 答案사례에 대한 一考察 -「劒策問」과 「劒對策文」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83) : 361-384, 2020

      8 안세현, "조선중기 文風의 변화와 科文" 대동문화연구원 (74) : 225-254, 2011

      9 심재권, "조선조 과거시험과목인 책문의 내용 및 주제 분석" 한국행정사학회 (37) : 183-208, 2015

      10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탐구당 1981

      11 김경용, "조선시대 과거제도 시행의 법규와 실제" 대한교육법학회 16 (16): 1-25, 2004

      12 안소연, "조선시대 經世觀의 변화 연구 : 策問⋅對策분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13 박재경, "조선시대 策文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4 이상욱, "조선 후기 대책(對策) 형식의 역사적 추이" 열상고전연구회 (44) : 311-348, 2015

      15 이상욱, "조선 후기 科表의 문체적 특징과 글쓰기-科表 작성을 위한 참고서를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3 (53): 159-193, 2017

      16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17 丁若鏞,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재단 2012

      18 최봉수, "옛날의 科擧答案集" 서광문화사 1998

      19 한국학중앙연구원, "시권"

      20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1 장만장군기념사업회, "낙서집 번역본" 2018

      22 심경호, "낙서와 지천 최명길의 창수(唱酬) 및지천의 서찰에 관하여" 열상고전연구회 (71) : 124-170, 2020

      23 "국역홍재전서"

      24 "국역 동문선" 민족문화추진회 1998

      2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26 심경호, "국문학연구와 문헌학" 태학사 167-191, 2002

      27 "국립중앙도서관 통합검색 디브러리"

      2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29 이응백, "갑오경장 이전의 작문 교육"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4 : 1-73, 1962

      30 丁若鏞, "與猶堂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2

      31 심경호, "續文範卷之二" 계명대학교 출판부 156-163, 2009

      32 최식, "策文의 특징과 글쓰기 -『策文準的』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39) : 381-404, 2009

      33 정경주, "科文 表箋의 형식과 문체의 특성"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9 (39): 83-125, 2013

      34 張晩, "洛西集" 민족문화추진회 2006

      35 심경호, "木活字本『東國論選』에 관하여" 한국서지학회 11 : 130-153, 1993

      36 김동석, "朝鮮時代 試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37 임완혁, "朝鮮前期 策文과 士의 世界 認識 -殿策精粹를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20 : 355-382, 2009

      38 "承政院日記"

      39 正祖, "弘齋全書" 민족문화추진회 2001

      40 "內閣日曆"

      41 申万里, "元代科举新探" 人民出版社 2018

      42 "三政策 乾冊⋅坤冊"

      43 백진우, "『집책』 해제"

      44 윤병태, "『御試策』과 朝鮮前期의 小型活字印本―反「元刊銅活字本」考―"

      45 송찬섭, "1862년 三政策問에 따른 京外對策의 검토" 수선사학회 (48) : 157-193, 2014

      46 정원용, "(국역) 경산일록 5" 보고사 2009

      47 盧思愼, "(影印標點) 東文選" 민족문화추진회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