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선부인회잡지』는 자선부인회라는 여성 자선 단체의 기관지로, 1908년 8월 창간되었다. 창간호를 끝으로 폐간된 이 잡지는 자선부인회가 생각하는 자선과 여성 교육에 대한 인식이 고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자선부인회잡지』는 자선부인회라는 여성 자선 단체의 기관지로, 1908년 8월 창간되었다. 창간호를 끝으로 폐간된 이 잡지는 자선부인회가 생각하는 자선과 여성 교육에 대한 인식이 고스...
『자선부인회잡지』는 자선부인회라는 여성 자선 단체의 기관지로, 1908년 8월 창간되었다. 창간호를 끝으로 폐간된 이 잡지는 자선부인회가 생각하는 자선과 여성 교육에 대한 인식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기록물이다. 본고는 여성 주도 잡지의 시초인 『자선부인회잡지』를 동시기 여성들의 공적 글쓰기의 양상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 보고 있다.
여성들의 공적 발화는 1900년대에 들어서 급증했다. 이는 사적 존재로 여겨져 온 여성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공적 존재’로서 스스로 자기 존재를 증명하기 시작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자신의 존재를 주체적으로 드러내는 수단이었던 글쓰기는 역설적으로 ‘여성의 억압이 재생산되는 장소’이기도 했다. 『자선부인회잡지』를 비롯하여 1900년대에 여성 담론을 전개하던 잡지들에 실린 여러 글들은 이 억압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자선부인회잡지』는 당시 다수의 잡지들이 생산하는 근대 여성 담론의 구조(여성→문명화→애국(부국강병))에서 벗어나, 독특한 구조(여성→문명화→자선)로 여성 담론을 전개한다. 담론의 전개 양상은 다소 다르지만, 이 두 구조는 모두 공적 존재로서의 자기 증명을 위하여 여성 필자들이 공통적으로 보인 글쓰기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당시 여타 잡지들은 여성들이 공적 언어의 접근권을 허락받았던 발화 전략(애국하는 여성)을 지속해서 재생산하고 있었다. 반면 『자선부인회잡지』는 자기 증명적 글쓰기를 생산하기는 하지만, 독특한 영역을 확보하며 동시기 다른 잡지들과의 차이점을 낳고 있다. 이들이 ‘애국’ 대신 택한 ‘자선’은 여성이 사적 영역에 갇혀 사회적 존재로의 가능성이 차단되지 않게 하는 수단이자, 여성이 공적 영역으로 진출할 때 그 정체성이 부차적 존재 혹은 후발 주자로 제한되지 않게 하는 기제였다.
그러나 『자선부인회잡지』는 보편자로서의 자기 존재를 규명하기 위하여 분열적 양상을 보인다. 『자선부인회잡지』에는 여성들을 ‘어머니’로 호명하는 글이 네 편이나 등장한다. 여성의 ‘어머니’라는 정체성이 자선의 선행적 주체로서의 정체성보다 우위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논조는 여성을 ‘전문가의 권위에 복종‧협력함으로써 주부로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가정을 국민 양성의 장소로 만드는’ 1900년대 남녀 동등론과 그 결을 같이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자선’은 타자화를 통하여 타자를 구제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자선부인회잡지』는 규문에 갇혔던 과거의 여성들, 또한 그 모습을 여전히 재현하고 있는 여성들을 계도의 대상으로 삼는다. 문명적 존재로서의 공적 발화권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는 ‘공적 글쓰기’라는 영역에서 자기 증명을 끊임없이 요구받았기 때문에 생긴 자기 착취적 과업이기도 하다. 이처럼 『자선부인회잡지』는 여성 필자들이 공적 글쓰기 영역에서 재현한 ‘자기증명-자기착취’의 과정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as a bulletin of a women's charitable organization called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ith its first issue published in August, 1908. The magazine was discontinued only after its first issue, but it conta...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as a bulletin of a women's charitable organization called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ith its first issue published in August, 1908. The magazine was discontinued only after its first issue, but it contained records that showed the perceptions of charity and women's edu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association as they were. This study assumed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woman-led magazines, as a case of women's public writing patterns during the times.
Women's public voice made a rapid increase in the 1900s. It implied that women started to demonstrate their own being as "public beings" capable of working in the society after years of being considered as private beings. Writing, which was a means of women revealing their being in an independent manner, paradoxically offered a "venue to reproduce the suppression of women." Women writers were not free from the bridle of this suppression, which was demonstrated in many writings published in magazines that developed a women's discourse in the 1900s including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developed a women's discourse in a unique structure(women→civilization→charity), breaking away from the structure(women→civilization→patriotism(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of modern women's discourse produced in many magazines of the times.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discourse, the two structures represented a common writing style among female writers trying to demonstrate themselves as public beings. In those days, other magazines maintained and reproduced the speech strategy(patriotic women) through which women were granted access to public language.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on the other hand, differentiated itself from its contemporary magazines by securing a unique domain even though it produced self-demonstration writing. "Charity," which they chose instead of "patriotism," was a means of preventing women from being trapped in the old private domain and having their possibilities as social being blocked and also a mechanism of keeping women's identity from being restricted to secondary being or second mover in case of women's entry into the public domain.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however, displayed disruptive patterns to demonstrate its existence as the universal. Its first issue contained as many as four writings that called women "mothers," which indicates that women's identity as "mothers" was perceived to be superior to their identity as proactive subjects of charity. This tone of argument was in line with the man-woman equality theory of the 1900s, which tried to make women "obey and cooperate with the authority of experts in order to establish women's roles as housewives and family as the place of cultivating citizens." In addition, their "charity" had its limitations as it attempted to save others through objectification. The magazine saw the women of the past trapped in a boudoir and the women still reproducing the old image of ladies as the objects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secure women's right to public voice as civilized beings. It was a self-exploiting task they had to take as they were constantly challenged to demonstrate themselves in the domain of "public writ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gazine of Women's Charitable Association was a specific case of the "self-demonstration and self-exploitation" process reproduced by female writers in the domain of public writ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자선부인회 (창간) : 1908
2 이방원, "한말 여성자선단체 ‘자선부인회’ 연구" 이화사학연구소 (50) : 267-305, 2015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제1권" 현암사 2004
4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담론의 생성과 변모(2) - 근대 초기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0) : 129-173, 2016
5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담론의 생성과 변모 - 근대 초기 신문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95) : 223-260, 2016
6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7 우수진, "초기 가정비극 신파극의 여주인공과 센티멘털리티의 근대성" 한국근대문학회 (13) : 7-34, 2006
8 이상경, "여성의 근대적 자기표현의 역사와 의의" 민족문학사학회 9 : 1996
9 엘렌 식수, "메두사의 웃음/출구" 동문선 2004
10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의 양상과 "여성주체"의 형성 과정 -1908년 『대한매일신보』, 『여자지남』, 『자선부인회잡지』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03-130, 2006
1 자선부인회 (창간) : 1908
2 이방원, "한말 여성자선단체 ‘자선부인회’ 연구" 이화사학연구소 (50) : 267-305, 2015
3 최덕교, "한국잡지백년 제1권" 현암사 2004
4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담론의 생성과 변모(2) - 근대 초기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0) : 129-173, 2016
5 김영민, "한국 근대 초기 여성담론의 생성과 변모 - 근대 초기 신문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95) : 223-260, 2016
6 김복순,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7 우수진, "초기 가정비극 신파극의 여주인공과 센티멘털리티의 근대성" 한국근대문학회 (13) : 7-34, 2006
8 이상경, "여성의 근대적 자기표현의 역사와 의의" 민족문학사학회 9 : 1996
9 엘렌 식수, "메두사의 웃음/출구" 동문선 2004
10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의 양상과 "여성주체"의 형성 과정 -1908년 『대한매일신보』, 『여자지남』, 『자선부인회잡지』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03-130, 2006
11 한희숙, "구한말 순헌황귀비 엄비의 생애와 활동"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195-239, 2006
12 전미경, "개화기 ‘남녀동등’ 담론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계몽의 시각"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87-101, 2002
13 권보드래, "가족과 국가의 새로운 상상력: 신소설의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0 : 2001
14 홍인숙, "‘첩’의 인정투쟁-근대계몽기 매체를 통해 본 ‘첩’ 재현과 그 운동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8) : 519-554, 2009
15 이영아,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II)- 1898~1910년을 중심으로" 석당학술원 (67) : 151-185, 2017
16 이유미, "1900년대 근대적 잡지의 출현과 문명 담론" 한국현대소설학회 (26) : 29-48, 2005
17 조윤정, "1896~1909년 신문과 잡지를 통해 본 ‘자선’ 개념의 형성과 변천" 한국현대문학회 (57) : 137-172, 2019
미당 서정주의 「밀어(密語)」 자세히 읽기 - 시의 리듬을 중심으로
문덕수 초기시의 시어 변이와 상징성 연구 - 칸단스키의 추상 원리에 의한 상징어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3 | 0.82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