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당 서정주의 「밀어(密語)」 자세히 읽기 - 시의 리듬을 중심으로 = Close Reading of “Mil-e” written by Seo Jeong-ju―Focus on the rhythm of a po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8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密語' in Seo Jeong-Ju’s second collection <歸蜀道>. The rhythm of <歸蜀道> has already been praised by many critics. However, few studies have discussed the rhythm of individual poems in <歸蜀道>. This paper analyzes the rhythm of '密語', which is the first poem in <歸蜀道>, and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Through this, it interprets the rhythm and meaning of poetry together,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hythm of Seo’s early poems.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 three courses. First, review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oem. Second, organize the different ideas about interpretation of the poem. Finally, take into account the rhythm of the poem and answer the argument of interpretation of the poem. Looking at the rhythm of the poem, '密語' is not simply a poem of celebrates and delights the moment when spring flowers bloom. The flower of the poem is more like a symbol than a natural object, and the three people appearing in the poem are judged to be more than just an ordinary girl.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is composed of a layered. These realistic interpretations and symbolic interpretations form a layer-deep relationship in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composed of a layered. These layered features correspond to a surface-deep structure at the text level, and to a autobiographical compulsion and inner other’s voice at the poet’s level.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密語' in Seo Jeong-Ju’s second collection <歸蜀道>. The rhythm of <歸蜀道> has already been praised by many critics. However, few studies have discussed the rhythm of individual poems in <歸蜀道>. T...

      This paper discusses '密語' in Seo Jeong-Ju’s second collection <歸蜀道>. The rhythm of <歸蜀道> has already been praised by many critics. However, few studies have discussed the rhythm of individual poems in <歸蜀道>. This paper analyzes the rhythm of '密語', which is the first poem in <歸蜀道>, and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Through this, it interprets the rhythm and meaning of poetry together, and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rhythm of Seo’s early poems. This process is carried out in three courses. First, review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oem. Second, organize the different ideas about interpretation of the poem. Finally, take into account the rhythm of the poem and answer the argument of interpretation of the poem. Looking at the rhythm of the poem, '密語' is not simply a poem of celebrates and delights the moment when spring flowers bloom. The flower of the poem is more like a symbol than a natural object, and the three people appearing in the poem are judged to be more than just an ordinary girl.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is composed of a layered. These realistic interpretations and symbolic interpretations form a layer-deep relationship in the meaning structure of '密語' composed of a layered. These layered features correspond to a surface-deep structure at the text level, and to a autobiographical compulsion and inner other’s voice at the poet’s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당(未堂) 서정주의 제 2시집 歸蜀道(1948)에 수록된 '密語'를 그 리듬을 중심으로 자세히 이해한다. 歸蜀道의 리듬은 이미 여러 사람들이 높이 평가한 바 있다. 하지만 歸蜀道의 개별 시를 대상으로 리듬을 논의한 연구는 소략하다. 본고는 歸蜀道 1부 표제시이자 시집의 특징들이 집약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리와 뜻을 아울러 '密語'의 의미 구조를 해명하고, 미당 초기시의 리듬을 연구하는 일에 기여한다. 논문은 세 단계로 전개된다. 먼저 '密語'의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이어서 '密語' 해석의 첨예한 논쟁점을 중심으로 '密語'의 이전 해석들을 재분류한다. 끝으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하여 시의 의미 구조를 밝히고 첨예한 논쟁점에 나름대로 답한다. '蜜語'에 관한 여러 해석들은 결국 1연 “돌아간”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2연 1행을 1연과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입장 차이로 정리된다. 歸蜀道의 술어 ‘돌아가(오)다’ 사용법은 '密語'의 시어 “돌아간”을 죽음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密語'의 리듬은 1연의 ‘세 소녀’를 2연 1행과 관련지어 망자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를 종합하여 시 해석의 논리를 구축할 때, '密語'는 봄꽃이 피어남을 찬탄하는 시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오히려 '密語'는 상징적인 시에 가깝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密語'는 중층적인 의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중층성은 텍스트 차원에서는 표층-심층 구조에 대응하고, 시인의 차원에서는 자기 서술 충동과 내면의 타자의 목소리에 상응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미당(未堂) 서정주의 제 2시집 歸蜀道(1948)에 수록된 '密語'를 그 리듬을 중심으로 자세히 이해한다. 歸蜀道의 리듬은 이미 여러 사람들이 높이 평가한 바 있다. 하지만 歸蜀道의 개...

      본 논문은 미당(未堂) 서정주의 제 2시집 歸蜀道(1948)에 수록된 '密語'를 그 리듬을 중심으로 자세히 이해한다. 歸蜀道의 리듬은 이미 여러 사람들이 높이 평가한 바 있다. 하지만 歸蜀道의 개별 시를 대상으로 리듬을 논의한 연구는 소략하다. 본고는 歸蜀道 1부 표제시이자 시집의 특징들이 집약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소리와 뜻을 아울러 '密語'의 의미 구조를 해명하고, 미당 초기시의 리듬을 연구하는 일에 기여한다. 논문은 세 단계로 전개된다. 먼저 '密語'의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이어서 '密語' 해석의 첨예한 논쟁점을 중심으로 '密語'의 이전 해석들을 재분류한다. 끝으로 '密語'의 리듬을 분석하여 시의 의미 구조를 밝히고 첨예한 논쟁점에 나름대로 답한다. '蜜語'에 관한 여러 해석들은 결국 1연 “돌아간”의 의미는 무엇인가와 2연 1행을 1연과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입장 차이로 정리된다. 歸蜀道의 술어 ‘돌아가(오)다’ 사용법은 '密語'의 시어 “돌아간”을 죽음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그리고 '密語'의 리듬은 1연의 ‘세 소녀’를 2연 1행과 관련지어 망자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를 종합하여 시 해석의 논리를 구축할 때, '密語'는 봄꽃이 피어남을 찬탄하는 시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오히려 '密語'는 상징적인 시에 가깝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密語'는 중층적인 의미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중층성은 텍스트 차원에서는 표층-심층 구조에 대응하고, 시인의 차원에서는 자기 서술 충동과 내면의 타자의 목소리에 상응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ctavio Paz, "활과 리라" 1998

      2 김준오, "현대시와 장르 비평" 문학과지성사 2009

      3 이혜원, "현대시 운율과 형식의 미학" 서정시학 2015

      4 권혁웅, "한국 현대시의 운율 연구" 민족어문학회 (57) : 233-260, 2008

      5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6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 푸른나무 2005

      7 박슬기,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소명출판 2014

      8 유종호, "한국 근대시사" 민음사 2011

      9 유종호, "유종호 전집 5 : 문학의 즐거움" 민음사 1995

      10 윤재웅, "우주 학교의 젊은 시인 서정주의 ‘밀어’" 시안사 (12(3)) : 2009

      1 Octavio Paz, "활과 리라" 1998

      2 김준오, "현대시와 장르 비평" 문학과지성사 2009

      3 이혜원, "현대시 운율과 형식의 미학" 서정시학 2015

      4 권혁웅, "한국 현대시의 운율 연구" 민족어문학회 (57) : 233-260, 2008

      5 오연경, "한국 현대시와 리듬론의 반(反)운율학적 전망" 상허학회 49 : 39-70, 2017

      6 김흥규,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 푸른나무 2005

      7 박슬기, "한국 근대시의 형성과 율의 이념" 소명출판 2014

      8 유종호, "한국 근대시사" 민음사 2011

      9 유종호, "유종호 전집 5 : 문학의 즐거움" 민음사 1995

      10 윤재웅, "우주 학교의 젊은 시인 서정주의 ‘밀어’" 시안사 (12(3)) : 2009

      11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3

      12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010

      13 유종호, "시란 무엇인가 : 경험의 시학" 민음사 1995

      14 이남호, "서정주의 화사집 을 읽는다" 열림원 2003

      15 권혁웅, "서정주 초기시의 리듬 연구-『화사집』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9 : 177-206, 2013

      16 윤재웅, "서정주 시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 - 꽃의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9 (9): 177-203, 2005

      17 유종호, "서정적 진실을 찾아서" 민음사 2001

      18 김우창, "미당 연구" 민음사 1994

      19 이영광, "미당 시의 무속적 연구" 서정시학 2002

      20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7 : 문학적 자서전" 은행나무 2016

      21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10 : 산문" 은행나무 2017

      22 서정주, "미당 서정주 전집 1 : 시" 은행나무 2015

      23 조재룡, "리듬과 의미 — 프랑스어 리듬의 전제 조건에 비추어본 한국어 리듬의 문제들" 한국시학회 (36) : 97-142, 2013

      24 박목월, "동시의 세계" 서정시학 2009

      25 이남호, "녹색을 위한 문학" 민음사 1998

      26 이남호, "김우창 <서정주, 미당 시 전집> 강연 토론문"

      27 김억, "김억 평론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28 이승환, "고전 강연 1" 민음사 2018

      29 서정주, "白民 , 제7호" 白民文化社 1947

      30 서정주, "歸蜀道" 宣文社 1948

      31 김화영, "未堂徐廷柱의 詩에 대하여" 민음사 1984

      32 Philippe Lacoue-Labarthe, "Typograph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33 Octavio Paz, "Elarco y la lira" Fondo de Cultura Económica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3 0.82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