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주의적 한국사회를 위한 전망 = Persectives of Multiculturalism: Its Meaning and Practice in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00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can we understand multicultural phenomena arising from increase of foreign labourers and marriage-based immigrant woman.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is phenomena related with neo-liberalism,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Korean society. Meanwhile we have conventionally learned premises of traditional nation state consciousness, in which we are supposed to inherited pure-blooded nationality from one ancestor.
      But if we do not accepted the premises that nationality are the imagined community(Benedict Anderson) or the system to mobile mass on industrialization by capital(Ernest Gellner), nation is not an fixed reality but in corning into being a reality. In this world pure-blooded nation is not exist, and Korean also intermixed with neighbour nations in vicissitudes of history.
      By this time the globalization, driven by capitalism leads to the rise of 'multi-national and multi-race' society. But to accept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is not contradict to nationalism, necessary. Because of nationalism itself has many plural-dimensional factors. A question of the moment i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realization of pluralistic democracy with harmony and not to led to disorder of this phenomena.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dual-belonging consciousness and socio-political tights as a voter or member of association.
      At that time Korean penninsula would have a phase which realises ideal of liberal and egalitarian community in East Asia.
      번역하기

      How can we understand multicultural phenomena arising from increase of foreign labourers and marriage-based immigrant woman.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is phenomena related with neo-liberalism,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Korean society. M...

      How can we understand multicultural phenomena arising from increase of foreign labourers and marriage-based immigrant woman.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this phenomena related with neo-liberalism, democracy and nationalism in Korean society. Meanwhile we have conventionally learned premises of traditional nation state consciousness, in which we are supposed to inherited pure-blooded nationality from one ancestor.
      But if we do not accepted the premises that nationality are the imagined community(Benedict Anderson) or the system to mobile mass on industrialization by capital(Ernest Gellner), nation is not an fixed reality but in corning into being a reality. In this world pure-blooded nation is not exist, and Korean also intermixed with neighbour nations in vicissitudes of history.
      By this time the globalization, driven by capitalism leads to the rise of 'multi-national and multi-race' society. But to accept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ism is not contradict to nationalism, necessary. Because of nationalism itself has many plural-dimensional factors. A question of the moment is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y realization of pluralistic democracy with harmony and not to led to disorder of this phenomena.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dual-belonging consciousness and socio-political tights as a voter or member of association.
      At that time Korean penninsula would have a phase which realises ideal of liberal and egalitarian community in East 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외국인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급격한 증대로 나타난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신자유주의, 민주주의, 민족주의와 연결시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동안 우리는 근대국민국가 형성에 강박관념을 가지고 단일민족 순혈주의 전통을 강조하는 교육을 받아왔다. 그러나 민족을 상상의 공동체(베네딕트 앤더슨) 또는 자본이 산업화에 대중을 동원하는 체제(에른스트 겔너)라는 관점을 수용하지 않는다 해도, 민족은 결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부단히 생성중의 실체이다. 순혈의 민족이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민족 역시 역사의 부침을 거치면서 많은 이웃 민족구성원들과 혈통과 문화에서 혼합되었다. 민족주의 자체도 내부에 많은 다차원적 요소를 가지면 다문화 사회와 다문문화주의 정책을 수용하는 것이 민족주의와 반드시 충돌하는 것도 아니다. 지금 자본주의 세계화라는 또 다른 역사적 이유로 '다민족·다인종'의 다문화 사회가 대두하는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다. 당면과제는 이 현상을 혼란 요소로 만들지 않으면서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현하여 사회정치적 통합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사회의 소수자들이 가지는 이중 귀속의식과 사회정치적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 한반도는 동아시아인들의 자유로운 이상을 실현하는 공동체로서 위상을 가질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최근 외국인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급격한 증대로 나타난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신자유주의, 민주주의, 민족주의와 연결시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동안 우리는 근...

      이 논문은 최근 외국인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급격한 증대로 나타난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신자유주의, 민주주의, 민족주의와 연결시켜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동안 우리는 근대국민국가 형성에 강박관념을 가지고 단일민족 순혈주의 전통을 강조하는 교육을 받아왔다. 그러나 민족을 상상의 공동체(베네딕트 앤더슨) 또는 자본이 산업화에 대중을 동원하는 체제(에른스트 겔너)라는 관점을 수용하지 않는다 해도, 민족은 결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부단히 생성중의 실체이다. 순혈의 민족이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민족 역시 역사의 부침을 거치면서 많은 이웃 민족구성원들과 혈통과 문화에서 혼합되었다. 민족주의 자체도 내부에 많은 다차원적 요소를 가지면 다문화 사회와 다문문화주의 정책을 수용하는 것이 민족주의와 반드시 충돌하는 것도 아니다. 지금 자본주의 세계화라는 또 다른 역사적 이유로 '다민족·다인종'의 다문화 사회가 대두하는 것은 불가피한 현실이다. 당면과제는 이 현상을 혼란 요소로 만들지 않으면서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현하여 사회정치적 통합을 성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 사회의 소수자들이 가지는 이중 귀속의식과 사회정치적 권리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 한반도는 동아시아인들의 자유로운 이상을 실현하는 공동체로서 위상을 가질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신자유주의와 다문화주의
      • 3.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
      • 4.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 【국문초록】
      • 1. 서론
      • 2. 신자유주의와 다문화주의
      • 3. 민주주의와 다문화주의
      • 4.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유주의를 넘어서"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2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근대망령으로부터의 탈주, 동아시아의 멋진 반란을 위하여" 한겨레출판 2007

      3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출판부 1999

      4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관한 성찰" 나남출판사 1991

      5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 신화와 허무의 민족주의 담론을 넘어서" 소나무 1999

      6 "동북아 시대: 한국인이 연다" 백산서당 2002

      7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출판부 2000

      8 "나를 배반한 역사" 인물과 사상사 2003

      9 "국제 결혼 가족 및 아동 실태조사" 경상북도 여성정책개발원 2006

      10 "국제 결혼 가족 및 아동 실태조사" 경상북도 여성정책개발원 2006

      1 "자유주의를 넘어서"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2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근대망령으로부터의 탈주, 동아시아의 멋진 반란을 위하여" 한겨레출판 2007

      3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서울대출판부 1999

      4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관한 성찰" 나남출판사 1991

      5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 신화와 허무의 민족주의 담론을 넘어서" 소나무 1999

      6 "동북아 시대: 한국인이 연다" 백산서당 2002

      7 "노동력의 국제이동" 서울대출판부 2000

      8 "나를 배반한 역사" 인물과 사상사 2003

      9 "국제 결혼 가족 및 아동 실태조사" 경상북도 여성정책개발원 2006

      10 "국제 결혼 가족 및 아동 실태조사" 경상북도 여성정책개발원 2006

      11 "Why Social Justice Matters" Polity Press 2005

      12 "Who are We? The Challenges to America's National" Simon & Schuster 2004

      13 "What is Globalization" Polity Press 2000

      14 "Two Faces of Liberalism" Cambridge: Polity Press 2000

      15 "Toward Assimilation and Citizenship: Immigrants in Liberal Nation-States" Palgrave Macmillan 2003

      16 "The Myth of the Powerless State" Cornell U. P. 1998

      17 "The Multiculturalism of Fear" Oxford U. P. 2000

      18 "The Limit to Capital 자본의 한계 공간의 정치경제학" 19821995

      19 "The Ethics of Authenticity" 1991

      20 "The Disuniting of America Reflections on a Multicultural Society" W.W. Norton & Company 1991

      21 "The Clash of Fundamentalism: Crusades, Jihads and Modernity" London: Verso 2002

      22 "The Boundaries of Citizenship Ethnicity and Nationality in the Liberal State" 1994

      23 "The Age of Migration :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s III" New York: Gulford Pub 2003

      24 "States in the Global Economy: Bring Domestic Institutions Back In" New York: Cambridge U. P. 2003

      25 "Spheres of Justice A Defense of Pluralism and Equality 정의와 다원적 평등 정의의 영역들 철학과 현실사" Basic Books 1983

      26 "Spaces of Hope" Edinburgh U. P. 2000

      27 "Sortir des ghettos culturells" Paris: Presse de Science Po 1997

      28 "Runway World: How Globalization is Reshaping our Lives" Routledge 1999

      29 "Rethinking Multiculturalism :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al Theory" Macmillan 2000

      30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A Political- Philosophical Exchange" London: Verso 2003

      31 "Politics in the Vernacular: Nationalism, Multiculturalism, and Citizenship" Oxford U. P. 2001

      32 "Politics and Passion: Toward a More Egalitarian Liberalism" Yale U. P. 2004

      33 "On Toleration" Yale U. P. 1997

      34 "New Methods for Social History" Cambridge U. P. 1999

      35 "Nations and Nationalism" 19831988

      36 "Multiculturalism in a Global Society" Blackwell Pub 2002

      37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Recognition and Redistribution in Contemporary Democracies" Oxford U. P. 2006

      38 "Multicultural Questions" Oxford U. P. 1999

      39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Oxford: Clarendon Press 1995

      40 "Modern Social Imagineries" Duke U. P. 2004

      41 "Living Dangerously: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New York: Peterlang 1993

      42 "Liberals and Cannibals: The Implications of Diversity" Verso 2003

      43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1998, 1982

      44 "Liberal Nationa" Princeton U. P. 1998

      45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U. P. 1990

      46 "Is Multiculturalism Bad for Woman ?" Princeton U. P. 1999

      47 "Interesting Times: A Twentieth-Century Life" New York: The New Press 2002

      48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 P. 1994

      49 "Democracy, Education, and Multiculturalism: Dilemmas of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London: Rowman & Littlefield Pub., Inc. 1998

      50 "Culture and Equality: An Egalitarian Critique of Multiculturalism" Cambridge: Polity Press 2001

      51 "Cultural Pluralism and Dilemmas of Justice" Cornell U. P. 2000

      52 "Critical Pedagogy and Predatory Culture: Oppositional Politics in Post Modern Era" Routledge 1995

      53 "Cosmopolitan Vision" Polity Press 2006

      54 "Civil Rights and Social Wrongs : Black-White Relations since World War II" Penn. State U. P. 1997

      55 "Challenge to the Nation-State: Immigration in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xford U. P. 1998

      56 "Capitalist Agriculture and the Origins of the European World-Economy in the Sixteenth Century 자본주의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 Academic Press Inc. 1974 1974

      57 "Campus Wars;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Westview Press 1995

      58 "After Virtue" 문예출판사 1981

      59 "A Theory of Justice" 3 : 19711981-1983

      60 "2007 경상북도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와 정책과제" 경산: 정문기획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