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博物館 敎育을 통한 美術 鑑賞 프로그램 開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929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understanding-oriented art education presents several new forms of art education method unlike the former education which was interested in only developing originality. Aesthetic educati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BAE that is, art education based on learning belong to it.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of art education method, each section,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has to be taught general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of it calls for the museum education. One of the tasks which the future art education will deal with is lifelong learning, that is, bringing up academic ability essential to enjoy and understand the art for the abundant life, which has to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appreciation education. Many scholars recommend a museum as a suitable place where these aims can be accomplish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is, to implement the appreciation education with high quality which helps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and expression in contact with the real specimens, relics and works in a museum by extension of appreciating reference materials in the textbook and to develope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hich values the museum as a educational and cultural institution by expanding the program connected with school.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checked, and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the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In addition, the effectiv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show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importance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est point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is appreciation of real materials irreplaceable with duplicates, of which unique characteristics students can feel directly.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direct observation learning, conversation, meaning endowment, internalization, students bring up their own aesthetic sense, and make independent learning method of appreciation education. Third, it gives the chance to understand cultural space, to foster the quality as a cultured citizen and the proper cultural consciousness of general culture such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Most of schools conducts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museum once a year, and the actu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he 90% of teachers answer that the museum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museum which teachers like and visit often is National Daegu Museum. The major programs used there are students' taking notes themselves, writing up reports and work sheet(for appreciation) made by guiding teacher's own, and the minor are listening to guide explanation of museum's education officer and using guide book and work sheet offered by museum.
      On the other hand, the work sheet for students made by museum and the guide explanation by a specialist in education are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st necessary for the appreciation through the museum education in museum. 79% of all are neg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the program of museum is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The passage evok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school,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this study.
      The work sheet(for appreciation) most essential to teachers is a guide or supportive instrument which makes appreciators watch the work carefully and find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it has the intention which makes watch art work with affection and interest and catch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work as a whole, and has a goal to help self-appreciation.
      The problem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examined, and there are the solutions for this problem: designing and conduct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of appreciation education, supplying the materials of teaching·learning and reference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and developing of work sheet(for appreciation) with contents related with school curriculum about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which has various appreciation materials.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Furthermore, art work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a investigation was made in connection with National Daegu Museum. Work sheet(for appreciation) was developed by relating articles in exhibition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of 3, 4, 5, 6 grade. It can be used for self-leading appreciation in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of school or free appreciation on Saturday with no class.
      The museum education using work sheet(for appreci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t up to make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y of art curriculum easy, foster appreciation criticism ability on art work effectively, and give direct and practical help to understand the art history and express activity of art.
      번역하기

      Today's understanding-oriented art education presents several new forms of art education method unlike the former education which was interested in only developing originality. Aesthetic educati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BAE that is, art educat...

      Today's understanding-oriented art education presents several new forms of art education method unlike the former education which was interested in only developing originality. Aesthetic educati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BAE that is, art education based on learning belong to it.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of art education method, each section, art history,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has to be taught general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of it calls for the museum education. One of the tasks which the future art education will deal with is lifelong learning, that is, bringing up academic ability essential to enjoy and understand the art for the abundant life, which has to be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appreciation education. Many scholars recommend a museum as a suitable place where these aims can be accomplished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is, to implement the appreciation education with high quality which helps abundant aesthetic experience and expression in contact with the real specimens, relics and works in a museum by extension of appreciating reference materials in the textbook and to develope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hich values the museum as a educational and cultural institution by expanding the program connected with school.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checked, and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the museum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In addition, the effective method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showed through application of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importance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est point of museum appreciation education is appreciation of real materials irreplaceable with duplicates, of which unique characteristics students can feel directly.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direct observation learning, conversation, meaning endowment, internalization, students bring up their own aesthetic sense, and make independent learning method of appreciation education. Third, it gives the chance to understand cultural space, to foster the quality as a cultured citizen and the proper cultural consciousness of general culture such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Most of schools conducts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museum once a year, and the actu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he 90% of teachers answer that the museum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museum which teachers like and visit often is National Daegu Museum. The major programs used there are students' taking notes themselves, writing up reports and work sheet(for appreciation) made by guiding teacher's own, and the minor are listening to guide explanation of museum's education officer and using guide book and work sheet offered by museum.
      On the other hand, the work sheet for students made by museum and the guide explanation by a specialist in education are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at is the most necessary for the appreciation through the museum education in museum. 79% of all are negative answers to the question, whether the program of museum is based on the school curriculum. The passage evok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school,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this study.
      The work sheet(for appreciation) most essential to teachers is a guide or supportive instrument which makes appreciators watch the work carefully and find the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it has the intention which makes watch art work with affection and interest and catch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the work as a whole, and has a goal to help self-appreciation.
      The problem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examined, and there are the solutions for this problem: designing and conducting systematic training program of appreciation education, supplying the materials of teaching·learning and reference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and developing of work sheet(for appreciation) with contents related with school curriculum about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which has various appreciation materials.
      the museum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
      Furthermore, art work wa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and a investigation was made in connection with National Daegu Museum. Work sheet(for appreciation) was developed by relating articles in exhibition with the contents of textbooks of 3, 4, 5, 6 grade. It can be used for self-leading appreciation in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of school or free appreciation on Saturday with no class.
      The museum education using work sheet(for appreci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et up to make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y of art curriculum easy, foster appreciation criticism ability on art work effectively, and give direct and practical help to understand the art history and express activity of 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의 이해 중심 미술 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 향상에만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미술 교육과 달리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미술 교육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인 DBAE와 미적 교육, 다문화 미술 교육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새로운 미술 교육 방식의 변화에 따라 미술사, 미술 비평, 미학 등 각 영역이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지도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지도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됨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미술 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평생 학습으로서 미술을 즐기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력을 기르는 일로써 감상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수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소로 많은 학자들이 박물관 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를 통한 참고 작품 감상에서 나아가 박물관에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을 접함으로써 질 높은 감상 수업을 구현하여 풍부한 미적 체험과 더불어 표현에 도움이 되게 하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의 확대를 증진하여 교육적인 기관, 문화적 기관으로서 존재 가치를 높여줄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 감상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둔다.
      위에 열거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과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학교와 박물관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율적인 미술 감상 교육의 방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해 보았다.
      우선 박물관 미술 감상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감상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실물 감상 교육으로 어떤 복제품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작품 고유의 특성을 직접 느낄 수 있다. 둘째, 직접 작품을 관찰, 학습, 대화, 탐구, 의미부여,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미의식을 키우고 자주적인 감상 교육의 방법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셋째, 문화 공간에 대한 이해와 문화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키우고 또한 우리의 역사와 전통 문화 등 문화 예술 전반에 올바른 문화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박물관을 통한 감상 교육을 연 1회 정도 실시하고 있어 그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교육 과정에서 박물관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전체의 90%였으며 교사들이 선호하고 자주 방문 하는 곳으로 국립 대구박물관을 꼽았다. 그 곳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 메모하여 보고서 쓰기와 학교 인솔 교사가 직접 만든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가 대부분이었고 박물관 교육 담당자의 안내 설명 듣기와 박물관에서 제공한 가이드 북, 워크 시트를 활용한 경우도 소수 있었다.
      한편 박물관에서 감상 교육을 할 때 가장 필요한 요소를 묻는 질문에는 박물관에서 제작한 학생용 활동지와 교육 전문가의 안내와 설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기존 박물관의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느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가 전체의 79%였다. 이는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본 연구의 의의와 관련이 깊다.
      인솔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는 감상자에게 감상 작품을 주의 깊게 보도록 하여 작품의 의미 내용을 찾아들어가게 하는 안내 또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도구라 할 수 있으며 미술품에 친근감과 흥미를 갖고 보게 하여 작품이 지닌 성격이나 의미를 전체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의도를 가지며 자기 감상을 돕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감상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으로 감상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설과 감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참고 자료의 보급, 다양한 감상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에서의 감상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된 내용의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 개발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감상 미술품을 분석하고, 국립 대구박물관의 미술픔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3, 4, 5, 6학년과 관련된 미술품을 교재 내용과 관련지어 미술 감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학교 현장 체험 학습에서의 자기 주도적 감상이나 토요 휴업일의 자유 감상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 미술 감상은 미술 교과의 미적 체험 활동과 감상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 비평 능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으며 미술사 이해와 미술 표현 활동에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설정해 보았다.
      번역하기

      오늘날의 이해 중심 미술 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 향상에만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미술 교육과 달리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미술 교육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

      오늘날의 이해 중심 미술 교육은 어린이들의 창의력 향상에만 관심을 두었던 기존의 미술 교육과 달리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미술 교육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는데 학문에 기초한 미술 교육인 DBAE와 미적 교육, 다문화 미술 교육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이러한 새로운 미술 교육 방식의 변화에 따라 미술사, 미술 비평, 미학 등 각 영역이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지도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지도자의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됨으로써 박물관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미술 교육이 감당해야 할 과제 중의 하나는 평생 학습으로서 미술을 즐기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력을 기르는 일로써 감상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수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소로 많은 학자들이 박물관 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를 통한 참고 작품 감상에서 나아가 박물관에서 실제의 표본, 유물, 작품을 접함으로써 질 높은 감상 수업을 구현하여 풍부한 미적 체험과 더불어 표현에 도움이 되게 하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의 확대를 증진하여 교육적인 기관, 문화적 기관으로서 존재 가치를 높여줄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 감상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둔다.
      위에 열거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박물관 교육의 중요성과 미술 감상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학교와 박물관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율적인 미술 감상 교육의 방안을 본 연구에서 제시해 보았다.
      우선 박물관 미술 감상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감상 교육의 가장 큰 장점은 실물 감상 교육으로 어떤 복제품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작품 고유의 특성을 직접 느낄 수 있다. 둘째, 직접 작품을 관찰, 학습, 대화, 탐구, 의미부여,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미의식을 키우고 자주적인 감상 교육의 방법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셋째, 문화 공간에 대한 이해와 문화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키우고 또한 우리의 역사와 전통 문화 등 문화 예술 전반에 올바른 문화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박물관을 통한 감상 교육을 연 1회 정도 실시하고 있어 그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 교육 과정에서 박물관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전체의 90%였으며 교사들이 선호하고 자주 방문 하는 곳으로 국립 대구박물관을 꼽았다. 그 곳에서 활용한 프로그램은 학생 스스로 메모하여 보고서 쓰기와 학교 인솔 교사가 직접 만든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가 대부분이었고 박물관 교육 담당자의 안내 설명 듣기와 박물관에서 제공한 가이드 북, 워크 시트를 활용한 경우도 소수 있었다.
      한편 박물관에서 감상 교육을 할 때 가장 필요한 요소를 묻는 질문에는 박물관에서 제작한 학생용 활동지와 교육 전문가의 안내와 설명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기존 박물관의 프로그램이 학교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느냐는 질문에 부정적인 응답을 한 경우가 전체의 79%였다. 이는 학교와 연계한 박물관 감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는 본 연구의 의의와 관련이 깊다.
      인솔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는 감상자에게 감상 작품을 주의 깊게 보도록 하여 작품의 의미 내용을 찾아들어가게 하는 안내 또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도구라 할 수 있으며 미술품에 친근감과 흥미를 갖고 보게 하여 작품이 지닌 성격이나 의미를 전체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의도를 가지며 자기 감상을 돕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감상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 방안으로 감상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설과 감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및 참고 자료의 보급, 다양한 감상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박물관에서의 감상 수업을 위한 학교 교육 과정과 연계된 내용의 워크 시트형의 감상용 활동지 개발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감상 미술품을 분석하고, 국립 대구박물관의 미술픔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3, 4, 5, 6학년과 관련된 미술품을 교재 내용과 관련지어 미술 감상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학교 현장 체험 학습에서의 자기 주도적 감상이나 토요 휴업일의 자유 감상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워크 시트형 감상용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 미술 감상은 미술 교과의 미적 체험 활동과 감상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미술 작품에 대한 감상 비평 능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으며 미술사 이해와 미술 표현 활동에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설정해 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3
      • Ⅱ. 이론적 배경 = 4
      • 1. 박물관 교육 = 4
      • 가. 박물관 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 4
      • 나. 박물관 교육 이론 = 6
      • 2. 미술 감상 교육 = 10
      • 가. 감상 교육의 중요성 = 10
      • 나. 단계적 발문에 의한 감상 지도 = 12
      • 다. 감상용 활동지를 활용한 자기 주도적 감상 = 14
      • 라. 초등 학교 미술 감상 교육의 문제점 = 15
      • 3. 학교와 박물관 교육 = 15
      • 가. 학교와 박물관의 협력 방안 = 15
      • 나. 학교 대상의 박물관 교육 = 16
      • 다. 교과 학습 공간으로서의 박물관 교육 = 19
      • 라. 박물관을 이용한 감상 학습 방법 = 19
      • 마. 어린이용 가이드와 셀프 가이드 = 23
      • Ⅲ.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 26
      • 1. 학교에서의 박물관 교육 실태 = 26
      • 2.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 = 29
      • 3.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 32
      • 가. 형식 구성 = 32
      • 나. 내용 전개 = 32
      • 다. 활용 방안 = 33
      • 4.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 33
      • 가. 교육 과정 및 교과서 분석 = 33
      • 나.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 = 41
      • 다. 박물관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적용 및 결과 = 47
      • Ⅳ. 결론 및 제언 = 52
      • 1. 결론 = 52
      • 2. 제언 = 53
      • 참고문헌 = 55
      • 영문 초록 = 57
      • 부록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